[2015/06/03] 우리말) 늦장과 늑장

조회 수 3051 추천 수 0 2015.06.03 08:59:16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를 이르는 낱말로 '늑장'과 '늦장' 가운데 어떤 게 바른 낱말일까요?
제 생각에는 '늑장'이 표준말인데, 사람들이 '늦다'를 떠올려 '늦장'으로 자주 쓰다 보니 '늦장'도 표준말에 오른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십여 일 전에 어머니가 병원을 다녀가셨고, 오늘 제가 가서 그 결과를 들어야 합니다.
요즘 병원 가기가 찜찜한 것은 저만의 생각이 아니겠죠?
왜 자꾸 '늦장'이나 '늑장'이 떠오르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가뭄이 심각합니다. 아침 뉴스를 들으니 소양강 댐은 두 번째로 낮은 수위라고 하네요.
더 늦지 않도록 뭔가 대책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농사에 하느님과 같이 짓는 것이니까 달리 방법이 마땅치 않겠지만,
그래도 손 놓고 있을 수는 없잖아요.
너무 늦지 않게 대책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오늘은 '늑장'과 '늦장'입니다.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를 이르는 낱말로 '늑장'과 '늦장' 가운데 어떤 게 바른 낱말일까요?

일단 둘 다 표준어이긴 한데요.
제 생각에는 '늑장'이 표준말인데, 사람들이 '늦다'를 떠올려 '늦장'으로 자주 쓰다 보니 '늦장'도 표준말에 오른 것 같습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

늦장이건 늑장이건,
모든 일에는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정부 정책에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아다리]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뉴스를 들으니 모처럼 증시가 좀 나아졌다고 하네요.
참으로 반가운 소식입니다.

어제 누군가가 
요즘은 세계 경제 전체가 침체로 아다리가 되어 쉽게 벗어나기 힘들 거라고 했는데
아침에 그런 뉴스를 들으니 더 반갑네요.

어제 들은 '아다리'를 알아볼게요.
오랜만에 들어본 말이긴 한데 이 말은 일본어투 말입니다.

"바둑에서, 단 한 수만 더 두면 상대의 돌을 따내게 된 상태를 이르는 말."이 '단수'인데
이를 일본에서 あたり(單手, 아타리)라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이미 아다리를 다듬어 단수라고 내놨습니다.

우리가 쓰는 말은 우리 마음과 정신을 담고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깨끗하고 고운 우리말을 쓰면 내 마음도 고와지지만,
일본어투 찌꺼기 말을 쓰면 그 말 속에 일본사람들, 우리나라를 짓밟은 일본사람들 넋이 들어 있다고 봅니다.

어제 말씀드렸듯이
깨끗한 공기를 마셔야 건강하듯이,
깨끗하고 고운 말을 써야 내 정신고 넋도 맑아진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11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691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02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43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54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58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85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85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793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793
2667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797
2666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06
2665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11
2664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15
2663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821
2662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29
2661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829
2660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29
2659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30
2658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831
2657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