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지잼'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비가 겨우 먼지나 날리지 않을 정도로 조금 옴."이라는 뜻으로
비가 먼지잼으로 겨우 몇 방울 내리다 말았다처럼 씁니다.
오늘 아침에 내린 비가 딱 그런 비네요. ^^*

안녕하세요.

자고나면 메르스 환자 수가 늘어나니... 걱정이 큽니다.

요즘 한창 가물더니 아침에 비가 조금 내렸습니다.
비라고 하기에도 민망할 정도로, 겨우 땅만 적실 정도였는데요.
이런 비를 '먼지잼'이라고 합니다.
"비가 겨우 먼지나 날리지 않을 정도로 조금 옴."이라는 뜻으로
비가 먼지잼으로 겨우 몇 방울 내리다 말았다처럼 씁니다.
오늘 아침에 내린 비가 딱 그런 비네요. ^^*

오늘은
신문에 난 기사를 함께 읽고자 합니다.
경향신문에 난 기사로 '애급과 출애굽기'라는 제목입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6032121125&code=990100

얼마 전 독자로부터 e메일을 받았다. 이집트의 음역어가 애급(埃及)인데 <성경> 창세기 다음 제2장에 나오는 ‘출애굽기’는 왜 ‘출애급기’로 표기하지 않는지를 묻는 내용이었다.

헬라어(그리스어)로 이집트를 아이귑토스라고 한다. 아이귑토스를 음역화한 게 ‘애급’이다. 불란서(프랑스), 이태리(이탈리아), 화란(네덜란드) 등은 널리 쓰이는 음역어다. 영국(英國)은 ‘잉글랜드’의 음역어 ‘영란(英蘭)’에서 온 말이다. 영(英)이 중국어 발음으로 ‘잉’이다. 음역어는 한자를 가지고 외국어의 음을 나타낸 말이다.

표기상 ‘출애굽기’는 ‘출애급기’로 쓰는 게 맞다. 하지만 ‘애급’보다는 ‘애굽’으로 발음하는 게 쉬워 ‘급(及)’의 음이 ‘굽’으로 변한 것이다. ‘초생’이 ‘초승’, ‘이생/저생’이 ‘이승/저승’, ‘금슬’이 ‘금실’로 변한 것처럼 한자말을 우리말로 적을 때 원래 소리가 변한 것이 더러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도 ‘출애굽기’의 ‘굽’의 음이 변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출애굽기’와 ‘출애급기’ 중 어느 것이 맞느냐도 중요하겠지만 개인적으론 ‘이집트 탈출기’라고 쓰는 게 좋지 않을까 한다. 요즘 한글세대뿐만 아니라 한문에 웬만한 관심이 없으면 ‘애급’이 이집트의 음역어란 사실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다. 쉬운 말로 풀어놓으면 비기독교인도 좀 더 쉽게 <성경>에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잊혀진 철이 아니라 잊힌 철]

안녕하세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입니다.
이 날은 이용의 '잊혀진 철'때문에 이름을 탄 것 같습니다.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밤을... 뭐 이런 노래 있잖아요.

이 노래 제목인 잊혀진 철은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잊다의 입음꼴(피동형)은 잊혀지다가 아니라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차츰 잊혀 갔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잊혀진 철이 아니라 잊힌 철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문법을 보면,
'잊히다'가 '잊다'의 입음꼴인데,
여기에 부사형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인 '지다'가 한 번 더 합쳐졌기 때문에 이중피동이 됩니다.

쓰다보니 편지가 좀 길어졌네요.
빨리 일 마치고 들어가야 겠네요. 

주말 잘 쉬시길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6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86
2416 [2009/03/19] 우리말) 현안 문제 id: moneyplan 2009-03-19 3111
2415 [2009/04/30] 우리말)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5-06 3111
2414 [2009/06/19] 우리말) 오사바사하다 id: moneyplan 2009-06-19 3111
2413 [2015/11/20] 우리말) 엔담 머니북 2015-11-23 3111
2412 [2007/12/11] 우리말) 캐롤과 캐럴 id: moneyplan 2007-12-11 3112
2411 [2009/03/10] 우리말) 스킨십도 외래어? id: moneyplan 2009-03-10 3112
2410 [2008/12/1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12-13 3114
2409 [2009/07/24] 우리말) 직수굿하다 id: moneyplan 2009-07-24 3115
2408 [2010/05/03] 우리말) 가축 id: moneyplan 2010-05-03 3115
2407 [2013/11/28] 우리말) 오지랖 머니북 2013-11-28 3115
2406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3115
2405 [2013/01/04] 우리말) 쇄정이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1-04 3116
2404 [2009/04/02] 우리말) 예전 편지만 붙입니다. id: moneyplan 2009-04-02 3117
2403 [2010/06/24] 우리말) 한켠과 한편 moneybook 2010-06-24 3117
2402 [2013/11/07] 우리말) 족집게와 [족찝께] 머니북 2013-11-08 3117
2401 [2015/12/28] 우리말) 무엇이든 '가져야' 할까? 머니북 2015-12-28 3118
2400 [2009/04/27] 우리말) 삼천리강산 id: moneyplan 2009-04-27 3119
2399 [2009/05/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5-12 3119
2398 [2015/07/10] 우리말)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반대합니다. 머니북 2015-07-10 3119
2397 [2016/05/13]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6-05-13 3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