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10] 우리말) 살품

조회 수 3520 추천 수 0 2015.06.10 11:03:47

.

안녕하세요.

메르스가 하루빨리 잡혀야할텐데 걱정입니다.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반보기]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 답은 '살품'입니다.
뜻이 좀 거시기하긴 하지만 참으로 멋진 말이라 생각합니다.

참,
달포쯤 전에 아버님께 드린다고 향기나는 종이를 좀 보내달라는 분이 계셨는데,
제가 주소를 미처 적어두지 못했습니다.
이제야 그 종이를 얻었습니다. 주소를 다시 보내주시면 종이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저에게 선물 받는 방법을 좀 똥겨드리자면...
부모님이나 식구 이야기하면서 부탁하면 저는 다 넘어갑니다. ㅋㅋㅋ ^^*

오랜만에 식구 이야기 좀 해 볼까요?

어제 오후에 어머니가 전화하셨더군요.
누나와 함께 마이산에 놀러 갔는데 단풍이 하도 멋져 제 생각이 났다면서 전화를 하셨습니다.

우리말에 '반보기'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사전에 오른 뜻은
"추석을 전후하여 서로 만나고 싶은 사람들 사이에 일자와 장소를 미리 약속하고 만나는 부인네들의 풍속"입니다.

옛날에는 친정어머니가 시집간 딸을 마음대로 만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농한기인 추석을 전후하여 어머니와 딸이 제각기 음식과 토산물을 가지고 양편 집의 중간쯤 되는 시냇가나 고개의 적당한 곳에 모여 잠시 만나 정을 나눴다고 합니다.
그래서 '반보기'입니다. 두 집의 가운데, 즉 반쯤 되는 곳에서 만난다는 뜻이겠죠.
딸은 평소에 어머니께 드리고 싶은 음식을 정성스럽게 싸서 가지고 나가고 어머니는 딸에게 먹이고 싶은 것을 골고루 챙겨서 나갔을 겁니다.
이런 깊은 뜻이 담긴 참으로 멋진 말이 '반보기'라 생각합니다.

저희 집은 팔 남매입니다.
광주에 사는 누나가 해남에서 어머니를 모시고 전북으로 가고
그 사이 부천에 사는 누나가 전북으로 내려와 
서로 사는 곳의 반쯤되는 곳에서 만나 단풍구경을 했나 봅니다.
그런 전화를 받으니 '반보기'라는 낱말이 절로 생각이 나더군요.

아버지는 예전에 팔 남매를 팔 도로 보내 나이 들면 팔도유람을 하시겠다고 했었습니다.
오늘따라 돌아가신 아버지가 부쩍 생각나네요.

여러분,
지금 바로 부모님께 전화 한 번 드려보시는 게 어때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1.
팔도 : 우리나라 전체를 이르는 말.
팔 도 : 여덟 개 도

2.
저희 집 팔 남매는
성복희
성금심
성효덕
성가옥
성효남
성제훈
성향숙
성해선입니다.
성별이 어떻게 되냐고요?
저만 아들이고 다 딸입니다. 누나 다섯, 여동생 둘... 1남 7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2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42
1736 [2014/03/13] 우리말) 점직하다/서머하다 머니북 2014-03-13 3426
1735 [2014/10/02] 우리말) 내일/모레/내일모레 머니북 2014-10-02 3426
1734 [2008/01/18] 우리말) 왜 농촌진흥청이 국가기관으로 있어야 하는가 id: moneyplan 2008-01-21 3427
1733 [2012/06/20] 우리말) 수탉과 수캉아지도 있습니다 머니북 2012-06-20 3427
1732 [2009/11/04] 우리말) 얼다와 얾 id: moneyplan 2009-11-04 3428
1731 [2016/08/04] 우리말) 헤어지다/해어지다 머니북 2016-08-10 3428
1730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428
1729 [2008/02/23] 우리말) 우리말이 아니라 제 이야기입니다 id: moneyplan 2008-02-24 3429
1728 [2008/11/19]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9 3429
1727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3429
1726 [2013/08/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8-07 3429
1725 [2007/10/02] 우리말)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 id: moneyplan 2007-10-02 3430
1724 [2008/03/06] 우리말) 양식이 아니라 서식입니다 id: moneyplan 2008-03-06 3430
1723 [2010/09/06] 우리말) 쉰둥이와 마흔둥이 moneybook 2010-09-06 3430
1722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30
1721 [2008/02/02] 우리말) 뉘누리... id: moneyplan 2008-02-02 3431
1720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431
1719 [2009/11/11] 우리말) 군자삼변 id: moneyplan 2009-11-11 3431
1718 [2013/01/16] 우리말) 야미 머니북 2013-01-17 3431
1717 [2015/05/21] 우리말) 사전에 이런 말도... 머니북 2015-05-26 3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