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스럽다’의 풀이에
"자연과 함께하고자 농촌으로 가는 사람들"이나
"촌을 사랑하여 자연과 함께 삶을 가꾸려는 마음가짐"같은 풀이를 더 넣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국립국어원에서는 분기별로 표준국어대사전을 수정하고 있습니다.
낱말을 새로 넣기도 하고, 뜻풀이를 바꾸기도 합니다.
지난 22일 국립국어원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그동안 부정적인 상황에서 쓰였던 '너무'를 긍정적인 서술어와도 어울려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제는 너무 좋다, 너무 예쁘다처럼 써도 되는 겁니다.

저는 이런 걸 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낱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촌스럽다'입니다.
사전에는 "어울린 맛과 세련됨이 없이 어수룩한 데가 있다."는 풀이만 나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요즘 여유로운 삶을 누리고자 귀촌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귀촌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세련됨이 없이 어수룩해지고자 촌으로 가는 것은 아닐 겁니다.
지금처럼 사전에 ‘촌스럽다’의 풀이가 하나밖에 없으면, 귀촌 인구가 느는 것을 설명할 방법이 없습니다.
‘촌스럽다’의 풀이에
"자연과 함께하고자 농촌으로 가는 사람들"이나
"촌을 사랑하여 자연과 함께 삶을 가꾸려는 마음가짐"같은 풀이를 더 넣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낱말 풀이에
시대상황을 반영한 뜻풀이를 더 넣어줌으로써 조화로운 국어생활이 가능하리라 믿습니다.

성제훈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촌스럽다'의 뜻풀이에
"자연과 함께하고자 농촌으로 가는 사람들"이나
"촌을 사랑하여 자연과 함께 삶을 가꾸려는 마음가짐"같은 풀이를 더 넣어 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요구한다! 
요구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문제를 냈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옷 잘 챙겨 입으셨죠? 

오늘은 문제를 내겠습니다.
지난 주말에 네 살배기 아들 녀석과 시제에 다녀왔습니다.
저는 제사상을 차리는데 아들은 할 일이 없어서 큰 소나무 앞에 가서 비늘 모양으로 덮여 있는 겉껍질을 뜯거나
바로 옆 밭에 가서 고구마와 무를 캐더군요. 힘이 남아돌아 그냥 힘쓰는 거죠. ^^*

나중에 집에 돌아와서 보니 언제 가져왔는지 산에서 가져온 소나무 껍데기를 물에 띄워놓고 놀고 있었습니다.
그게 가벼워서 물에 잘 뜬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여기서 오늘 문제를 내겠습니다.
소나무 밑동을 보면 금이 쩍쩍 벌어져 있고, 물고기 비늘 모양의 굵은 껍데기가 더덕더덕 붙어 있는데요.
그 껍데기를 잡고 힘껏 떼 내면 한 조각씩 떨어져 나옵니다. 그 떨어져 나오는 껍데기를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설마 목피라고 답하시는 분은 안 계시겠죠?

맨 먼저 정답을 보내신 분께 갈피표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댓글을 달아주시는 분과 답장을 보내주시는 분 두 분께 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934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4983
2616 [2012/03/05] 우리말) 돌잔치 머니북 2012-03-05 2715
2615 [2014/12/02] 우리말) 추켜세우다/치켜세우다 머니북 2014-12-02 2721
2614 [2014/11/06]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머니북 2014-11-06 2722
2613 [2014/12/12]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머니북 2014-12-12 2722
2612 [2008/11/08] 우리말) 제가 상을 받았습니다 ^^* id: moneyplan 2008-11-10 2723
2611 [2016/10/04] 우리말) 부합하다 머니북 2016-11-01 2723
2610 [2015/06/30] 우리말) 자귀나무와 능소화 머니북 2015-06-30 2725
2609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726
2608 [2016/05/18] 우리말) 알맹이와 알갱이 openmind 2016-05-18 2726
2607 [2009/02/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2 2730
2606 [2009/09/03] 우리말) 징크스 id: moneyplan 2009-09-03 2730
2605 [2014/07/09] 우리말) 새집 머니북 2014-07-09 2730
2604 [2010/07/09] 우리말) 틀린 낱말 몇 개 moneybook 2010-07-09 2731
2603 [2015/03/20] 우리말) 이상한 병 머니북 2015-03-20 2733
2602 [2015/08/21] 우리말) 쫀쫀한 사람이 필요해! 머니북 2015-08-24 2733
2601 [2015/10/01] 우리말) 풋머리 머니북 2015-10-01 2734
2600 [2014/08/19] 우리말) 깨끗한 우리말 머니북 2014-08-19 2735
2599 [2015/10/30] 우리말) 무료로 주고 공짜로 받고 머니북 2015-11-02 2738
2598 [2016/01/15] 우리말) 드셔 보세요 머니북 2016-01-17 2738
2597 [2010/06/21] 우리말) 물은 셀프 moneybook 2010-06-21 2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