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25] 우리말) 정종과 청주

조회 수 3042 추천 수 0 2015.06.26 08:13:11

.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정종과 청주]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 답은 '보람'입니다.
다른 물건과 구별하거나 잊지 않고자 표를 해 둠 또는 그런 표적도 보람이고,
제가 여러분에게 선물을 보내드리면서 우리말을 알리는 것도 제 '보람'입니다. ^^*

아침 뉴스에서 서울에 눈이 내린다기에 
혹시나 하는 마음에 창밖을 봤는데, 기다리는 눈이 안 보이네요.
여러분은 첫눈 보셨어요?

이렇게 날씨가 추운 날이면 따뜻한 청주 한잔이 생각납니다.
청주가 뭔지 아시죠? 오늘은 청주와 정종 이야기 좀 해 볼게요. 오랜만에 술 이야기로...^^*

정종을 아실 겁니다.
흔히 일본식 소주라고 하죠.
이 정종은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략했을 때 우리나라에 들어온 일본 청주의 상표이름입니다.
더 나가면
일본 전국시대 때 사람인 다테 마사무네(伊達正宗)라는 사람 이름에서 온 거라고 합니다.
우리에게 악명높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있고, 그 밑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있으며, 그 꼬봉이 다테 마사무네 정도 됩니다.
('꼬봉'은 こぶん[고붕]이라는 일본말입니다. 부하, 졸개라는 뜻입니다.)
그 다테 마사무네 가문에서 자랑하는 게 두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예리한 칼이고, 다른 하나는 쌀과 국화로 빚은 청주라고 합니다.

다테 마사무네 가문에서 빚은 술의 술 맛이 너무나 좋아 사람들이 이를 가리켜 국정종(菊正宗)이라고 했다네요.
우리가 아는 정종은 이 마사무네(正宗, まさむね[마사무네])를 우리 소리로 읽은 것이고,
이는 일본에 있는 수많은 청주 가운데 하나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사전에서 정종을 뒤져보면,
"일본식으로 빚어 만든 맑은술. 일본 상품명이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청주'는 "다 익은 술에 용수를 박고 떠낸 술"이라고 풀어놨습니다.

추운 날 몸 녹이는 데는 '정종'보다 '청주'가 훨씬 낫겠죠?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9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37
2516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55
2515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850
2514 [2017/11/24] 우리말) 엄중과 엄정 머니북 2017-11-24 5849
2513 [2006/10/13] 우리말) 알타리김치,총각김치,홀아비김치 id: moneyplan 2006-10-14 5849
2512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843
2511 [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머니북 2017-11-10 5839
2510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838
2509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831
2508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818
2507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817
2506 [2011/05/09] 우리말) 매다와 메다 moneybook 2011-05-09 5816
2505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807
2504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799
2503 [2012/10/04] 우리말) 밀리는 길과 막히는 길 머니북 2012-10-04 5777
2502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773
2501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773
2500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772
2499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764
2498 [2015/04/13] 우리말) 차출과 착출 머니북 2015-04-13 5721
2497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