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14] 우리말) 도긴개긴

조회 수 3117 추천 수 0 2015.07.15 16:26:27

'도 긴 개 긴', '도긴 개긴', '도긴개긴' 모두 바릅니다.
그러나 '도찐개찐'은 표준말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태풍이 지나간 뒤라서 그런지 그리 덥지 않아 좋습니다.

얼마 전에
우리말 '긴'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로
긴이 닿다, 모와 윷을 놓으니 걸 긴이 되었다처럼 쓴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면서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비슷해서 견주어 볼 필요가 없음을 뜻할 때
'도 긴 개 긴'으로 써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쓰면, 읽고 쓰기 불편하므로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에는 붙일 수 있도록 한 한글맞춤법 규정에 따라 '도긴 개긴'으로 써도 된다고 했습니다.

지난 6월 22일, 국립국어원이 한발 더 나가서 '도긴개긴'도 표제어로 올렸습니다.
'도 긴 개 긴', '도긴 개긴', '도긴개긴' 모두 바릅니다.

그러나
'도찐개찐'은 표준말이 아닙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잔불과 뒷불]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서 '잔불'이 틀렸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오늘은 잔불 이야기입니다.
며칠 전에 이천 물류창고에서 불이 났었죠?
그 불이 꺼진 뒤 '잔불'정리하는 중이라는 뉴스가 자주 들렸습니다.

여러분, 잔불을 타다남은 불쯤으로 알고 계시죠?

'잔불'은
작은 짐승을 잡는 데 쓰는 화력이 약한 총알을 뜻합니다.
반대로 '된불'은
바로 급소를 맞히는 총알이라는 뜻입니다.

(산)불이 꺼진 뒤에 타다 남은 것이 다시 붙어 일어난 불은 '뒷불'입니다.
일단 진화는 되었지만 뒷불을 조심해야 한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뒷불이라는 멋진 우리말이 있고,
잔불은 활활 타는 불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지금 쓰는 우리네 사전에도 그렇게 올라 있습니다.

지금 여러분이 가지고 계신 사전을 뒤져보십시오.
'잔불'에 뭐라고 풀이가 되어 있고, '뒷불'을 뭐라고 풀어놨는지...
이게 맞습니다.
이게 마땅합니다.

그런데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언제부터인가 '잔불'아래에 
잔-불(殘-)을 살며시 넣어놓고
타고 남은 불과 꺼져 가는 불이라는 풀이를 달아 놨습니다.
제 기억에 2006년 이후에 인터넷판 표준국어대사전에 오른 것 같습니다.

모름지기 사전은 말글살이의 길라잡이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에서 표준국어대사전을 만들었겠죠.
그런 훌륭한 사전에서 '뒷불'이라는 좋을 말을 널리 퍼트리지는 못할망정
없던 잔-불(殘-)을 사전에 올려 그 낱말을 쓰라고 하는 건가요?

그래놓고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 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걸 보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저는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정말 아니라고 봅니다.
좋은 우리말을 살려서 쓰려고 힘써야지 굳이 한자말을 살릴 까닭은 없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3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9
2456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3083
2455 [2009/07/09] 우리말) 도리기와 도르리 id: moneyplan 2009-07-09 3083
2454 [2009/03/27] 우리말)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3-27 3084
2453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3084
2452 [2008/05/07] 우리말) 족적과 발자취 id: moneyplan 2008-05-08 3086
2451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3086
2450 [2014/02/11]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머니북 2014-02-11 3086
2449 [2012/04/10] 우리말) 광어가 아닌 넙치 머니북 2012-04-10 3086
2448 [2015/11/05] 우리말) 찜찜하다/찝찝하다 머니북 2015-11-05 3086
2447 [2015/12/09] 우리말) 안녕'과 '하세요' 머니북 2015-12-10 3086
2446 [2016/03/30] 우리말) 머와 뭐 머니북 2016-03-31 3086
2445 [2009/03/18] 우리말) 사람 소개하는 방법 id: moneyplan 2009-03-18 3087
2444 [2009/05/25] 우리말) 조문의 뜻풀이 id: moneyplan 2009-05-26 3090
2443 [2009/05/22]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9-05-22 3091
2442 [2014/03/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ㄴㄲ하다) 머니북 2014-03-18 3091
2441 [2015/05/26] 우리말) 불을 켜고 물을 켜고 기지개 켜고 머니북 2015-05-26 3093
2440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3093
2439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3095
2438 [2017/01/12] 우리말) 흔줄 머니북 2017-01-13 3095
2437 [2016/10/26] 우리말) 뜨덤뜨덤 머니북 2016-11-01 3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