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보다는 덜 덥다고하네요. ^^*
오늘 대전에 가야할 일이 있어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정신없이 바쁘네요.

어제 편지에서 제가 실수한 게 있네요.

이런 전통에서 나온 속담이 왼손이 한 일을 오른손 모르게 하라는 겁니다.
따라서 이를 왼손이 한 일을 오른손 모르게 하라고 하면 틀립니다.
라고 했는데,
바른 속담은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가 맞습니다.
글을 쓰면서 저도 헷갈렸네요. 죄송합니다. 

여러분 오늘 아침 드셨나요?
저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날마다 아침을 먹습니다.
근데 요즘은 속이 더부룩하니 밥맛이 별로 없네요.

'밥맛'은 
"밥에서 나는 맛"이라는 뜻과 "밥을 비롯한 음식이 입에 당기어 먹고 싶은 상태."를 뜻하는 낱말입니다.
따라서 '밥맛 없다'고 하면 
"입맛이 없거나 해서 음식 먹을 맛이 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이를 '밥맛없다'로 띄어 쓰지 않고 붙여 쓰면 그 뜻이 전혀 달라집니다.
밥맛없다는 
"아니꼽고 기가 차서 정이 떨어지거나 상대하기가 싫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입니다.

'밥맛 없다'와 '밥맛없다'는 
띄어 쓴 빈 글자 하나 차이지만 그 뜻은 전혀 다릅니다.

요즘은 '밥맛없다'에서 '없다'를 떼고 
"그 친구 밥맛이야."라고도 이야기 합니다.
그러나 '밥맛없다'에서 '없다'가 떨어질 까닭이 없습니다.
따라서 "그 친구 밥맛이야."처럼 쓰면 바른 말이나 글이 아닙니다.

흔히,
버릇이 없거나 예의범절을 차리지 않은 사람을 가리켜 '싸가지 없다'고 합니다.
여기서 '없다'를 떼고 '싸가지'라고만 하면 안 됩니다.
"이런 싸가지를 봤나!"라고 쓰면 안 되고,
"이런 싸가지 없는 놈을 봤나!"라고 콕 집어서 이야기해야 합니다. 

염치를 속되게 이르는 얌통머리도 같은 경우입니다.
"이런 얌통머리를 봤나!"라고 하면 안 되고,
"이런 얌통머리 없는 녀석을 봤나!"처럼 써야 합니다.

안절부절, 어처구니, 터무니, 얼토당토, 칠칠맞다도 같습니다.

아침부터 욕하는 거 같아서 좀 거시기 하네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73
196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985
195 [2009/03/17] 우리말) 우연하다와 우연찮다 id: moneyplan 2009-03-17 2985
194 [2016/09/23] 우리말) 애띤 얼굴? 앳된 얼굴? 머니북 2016-11-01 2984
193 [2009/01/30] 우리말) 예탐과 여탐 id: moneyplan 2009-01-30 2984
192 [2011/02/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1-02-25 2982
191 [2009/05/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5-12 2981
190 [2016/09/19] 우리말) 한가위 머니북 2016-11-01 2980
189 [2016/05/26] 우리말) 가차 없다 머니북 2016-05-26 2980
188 [2016/04/15] 우리말) 아름다운 바라지 머니북 2016-04-16 2979
187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2979
186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979
185 [2012/04/10] 우리말) 광어가 아닌 넙치 머니북 2012-04-10 2978
184 [2009/03/10] 우리말) 스킨십도 외래어? id: moneyplan 2009-03-10 2978
183 [2016/10/12] 우리말) 개암 커피 머니북 2016-11-01 2977
182 [2008/12/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2-18 2976
181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2974
180 [2014/12/01] 우리말) 도 긴 개 긴 머니북 2014-12-01 2972
179 [2014/01/08] 우리말) 옴짝달싹 머니북 2014-01-08 2972
178 [2009/02/25] 우리말) 점심과 식사 id: moneyplan 2009-02-25 2972
177 [2015/06/25] 우리말) 정종과 청주 머니북 2015-06-26 2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