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보다는 덜 덥다고하네요. ^^*
오늘 대전에 가야할 일이 있어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정신없이 바쁘네요.

어제 편지에서 제가 실수한 게 있네요.

이런 전통에서 나온 속담이 왼손이 한 일을 오른손 모르게 하라는 겁니다.
따라서 이를 왼손이 한 일을 오른손 모르게 하라고 하면 틀립니다.
라고 했는데,
바른 속담은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가 맞습니다.
글을 쓰면서 저도 헷갈렸네요. 죄송합니다. 

여러분 오늘 아침 드셨나요?
저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날마다 아침을 먹습니다.
근데 요즘은 속이 더부룩하니 밥맛이 별로 없네요.

'밥맛'은 
"밥에서 나는 맛"이라는 뜻과 "밥을 비롯한 음식이 입에 당기어 먹고 싶은 상태."를 뜻하는 낱말입니다.
따라서 '밥맛 없다'고 하면 
"입맛이 없거나 해서 음식 먹을 맛이 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이를 '밥맛없다'로 띄어 쓰지 않고 붙여 쓰면 그 뜻이 전혀 달라집니다.
밥맛없다는 
"아니꼽고 기가 차서 정이 떨어지거나 상대하기가 싫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입니다.

'밥맛 없다'와 '밥맛없다'는 
띄어 쓴 빈 글자 하나 차이지만 그 뜻은 전혀 다릅니다.

요즘은 '밥맛없다'에서 '없다'를 떼고 
"그 친구 밥맛이야."라고도 이야기 합니다.
그러나 '밥맛없다'에서 '없다'가 떨어질 까닭이 없습니다.
따라서 "그 친구 밥맛이야."처럼 쓰면 바른 말이나 글이 아닙니다.

흔히,
버릇이 없거나 예의범절을 차리지 않은 사람을 가리켜 '싸가지 없다'고 합니다.
여기서 '없다'를 떼고 '싸가지'라고만 하면 안 됩니다.
"이런 싸가지를 봤나!"라고 쓰면 안 되고,
"이런 싸가지 없는 놈을 봤나!"라고 콕 집어서 이야기해야 합니다. 

염치를 속되게 이르는 얌통머리도 같은 경우입니다.
"이런 얌통머리를 봤나!"라고 하면 안 되고,
"이런 얌통머리 없는 녀석을 봤나!"처럼 써야 합니다.

안절부절, 어처구니, 터무니, 얼토당토, 칠칠맞다도 같습니다.

아침부터 욕하는 거 같아서 좀 거시기 하네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54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27
2516 [2017/01/12] 우리말) 흔줄 머니북 2017-01-13 3011
2515 [2017/01/11] 우리말) 우리말 사랑 머니북 2017-01-13 3474
2514 [2017/01/10] 우리말) 트롯트와 트롯 머니북 2017-01-10 3401
2513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3528
2512 [2017/01/02] 우리말) 끄트머리와 실마리 머니북 2017-01-02 3375
2511 [2016/12/29] 우리말) 올 한 해 읽은 책을 정리했습니다. 머니북 2016-12-29 3493
2510 [2016/12/28] 우리말) 올 한 해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를 모았습니다. 머니북 2016-12-29 3054
2509 [2016/12/27] 우리말) 해끝 머니북 2016-12-29 3567
2508 [2016/12/26] 우리말) 해넘이와 해맞이 머니북 2016-12-26 4455
2507 [2016/12/23] 우리말) 잉꼬부부와 원앙부부 머니북 2016-12-25 3727
2506 [2016/12/22] 우리말) 날개짓과 날갯짓 머니북 2016-12-23 3776
2505 [2016/12/21] 우리말) 첫걸음 머니북 2016-12-23 3736
2504 [2016/12/20] 우리말) 뚝배기와 곱빼기 머니북 2016-12-21 3720
2503 [2016/12/19] 우리말) 성 중립 언어 머니북 2016-12-20 3198
2502 [2016/12/16] 우리말) 거멀못 머니북 2016-12-19 3287
2501 [2016/12/15] 우리말) 혼밥, 혼술, 혼영, 혼말? 머니북 2016-12-19 3527
2500 [2016/12/14] 우리말) ‘살처분’에 숨겨진 의미 머니북 2016-12-15 4560
2499 [2016/12/13] 우리말) 자치동갑 머니북 2016-12-14 3315
2498 [2016/12/12] 우리말) 짐승의 어미와 새끼 머니북 2016-12-13 3675
2497 [2016/12/09] 우리말) AI, 우리말에 숙제를 던지다 머니북 2016-12-12 3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