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30] 우리말) 줄다와 준

조회 수 3238 추천 수 0 2015.08.02 10:58:04

'늘다'와 '줄다'에 있는 'ㄹ'은 '-는, -ㄴ, -ㄹ, -ㅂ, -오, -ㅅ'로 된 어미 앞에서 떨어집니다.
곧, '줄다' 뒤에 '-ㄴ'이 붙으면 'ㄹ'이 탈락하여 '준'이 되는 거죠.

안녕하세요.

여름휴가는 다녀오셨는지요.

일터에서 동료가 휴가를 가면 그 일을 맡아서 해야 하는 때가 잦습니다.
일은 돌아가야 하니까요.
그렇게 되면 일이 평소보다 좀 늘게 되죠. ^^*

오늘은 '늘다'와 '줄다'를 알아보겠습니다.
'늘다'와 '줄다'에 있는 'ㄹ'은 '-는, -ㄴ, -ㄹ, -ㅂ, -오, -ㅅ'로 된 어미 앞에서 떨어집니다.
곧, '줄다' 뒤에 '-ㄴ'이 붙으면 'ㄹ'이 탈락하여 '준'이 되는 거죠.
(참고로, 관형사형 어미 '-은'은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에 붙습니다.)
'늘다'도 위와 같은 까닭으로 '는'이 됩니다.

동료가 휴가를 떠나면
제 일은 준 게 아니라 는 게 되는 거죠. ^^*
누가 뭐래도 업무는 준 게 좋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내년과 이듬해]

안녕하세요.

오늘이 성탄절 하루 앞입니다. 저는 성탄절만 되면 그 해가 다 간 것처럼 느낍니다.
한 해 한 해 가는 게 왜 이리 두려운지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해 놓은 게 없고 이룬 일이 없어서 그러겠죠. 
가진 것도 없고, 해 놓은 일도 없고, 거기에 실력까지 없으니 두렵고 겁나는 게 마땅한지도 모릅니다.
올 초에 이런 저런 일을 해 보겠다고 다짐한 게 많았는데 지금 보면 이룬 것은 없고...
이러면서 또 내년을 기약해야겠죠? 

오늘은 '내년'과 '이듬해'를 알아볼게요.
내년은 다가올 해로 "올해의 바로 다음해"를 뜻합니다.
이듬해는 "바로 다음의 해"라는 뜻입니다.
뜻이 같나요?
실은 조금 다릅니다.

'내년'은 말하는 해를 기준으로 그다음에 오는 해를 가리키고,
'이듬해'는 과거나 미래의 어느 해를 기준으로 해서 그다음에 오는 해를 뜻합니다.
따라서,
이듬해는 말하는 사람이 있는 해를 기준으로 그다음에 오는 해를 가리킬 수 없다는 것이 '내년'과 다릅니다.

보기를 들어보면,
홍길동은 1998년에 결혼했고 그 '이듬해'에 아이를 얻었다처럼 쓰고,
늦어도 '내년' 안으로는 도로가 뚫릴 것이다처럼 씁니다.

내일과 이튿날도 내년/이듬해와 같습니다.
내일은 오늘을 기준으로 다음날이고,
이튿날은 과거나 미래 어느 날을 기준으로 다음날입니다.

어찌 보면,
올해 못 한 일은 내년에 하면 되고,
그 해 못한 일은 이듬해에 하면 되니 딱히 조급하게 살 일도 아니지 싶지만...
그래도 가는 세월은 무섭네요. ^^*

가는 해를 아쉬워하며 오늘 저녁에는 존경하는 선배님 식구를 집에 모셔 함께할 생각입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6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97
2196 [2008/04/24] 우리말) 북돋우다 id: moneyplan 2008-04-24 3668
2195 [2008/04/25] 우리말) 가르치다의 말뿌리 id: moneyplan 2008-04-27 3775
2194 [2008/04/28] 우리말) 옥수수와 강냉이 id: moneyplan 2008-04-28 3731
2193 [2008/04/29] 우리말) 맑다와 곱다 id: moneyplan 2008-04-29 3553
2192 [2008/04/30] 우리말) 팽개치다 id: moneyplan 2008-04-30 3733
2191 [2008/05/01] 우리말) 짜뜰름짜뜰름 id: moneyplan 2008-05-02 3450
2190 [2008/05/02] 우리말) 몰강스럽다 id: moneyplan 2008-05-02 3565
2189 [2008/05/0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5-07 3891
2188 [2008/05/07] 우리말) 족적과 발자취 id: moneyplan 2008-05-08 3098
2187 [2008/05/08] 우리말) 안전선 안과 밖 id: moneyplan 2008-05-08 3387
2186 [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5-10 3521
2185 [2008/05/10]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05-10 3316
2184 [2008/05/13] 우리말) 졸리다와 졸립다 id: moneyplan 2008-05-13 3043
2183 [2008/05/15]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5-15 3252
2182 [2008/05/14] 우리말) 저승꽃과 검버섯 id: moneyplan 2008-05-15 3147
2181 [2008/05/16] 우리말) 게와 개 가르기 id: moneyplan 2008-05-23 3815
2180 [2008/05/23] 우리말) 본데와 본때 id: moneyplan 2008-05-28 3568
2179 [2008/05/26]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5-28 3660
2178 [2008/05/27] 우리말) 늘키다(억지로 참으며 울다) id: moneyplan 2008-05-28 3985
2177 [2008/05/2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6-03 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