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조회 수 2788 추천 수 0 2015.08.25 08:19:14

'쫀쫀하다'는 '존존하다'의 센말로 당당한 표준말이다.

안녕하세요.

웬만하면 편지를 보내려고 했는데,
도저히 짬이 안나네요.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아래는 지난 2009년에 보냈던 편지입니다.

 

[풋낯과 풋인사]

안녕하세요.

제 일터에는 '가정의 날'이라는 날이 있습니다.
한 주 걸러 수요일을 가정의 날로 정해 그날은 모두 7시에 퇴근합니다.
말이 좋아 가정의 날이지 실은 집으로 가는 사람은 거의 없더군요.
공식적(?)으로 일찍 퇴근하여 맘 편하게 목운동을 하는 날이죠. ^^*
그러다 보니 일터 앞 식당 골목에 가면 아는 사람들을 많이 만납니다.
어떤 사람은 잘 아는 사람이고, 어떤 사람은 얼굴만 겨우 아는 사이고...

우리 말에 풋낯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풋'이 몇몇 이름씨(명사) 앞에 붙어 '처음 나온', '덜 익은', '미숙한', '깊지 않은'이라는 뜻을 더합니다.
풋가지, 풋감, 풋거름, 풋고추, 풋곡식, 풋나물, 풋내, 풋사과, 풋잠 따위가 그런 뜻을 담고 있습니다.
'낯'은 얼굴입니다.
따라서 '풋낯'은
서로 낯이나 익힐 정도로 아는 것이나, 또는 그 정도의 낯을 뜻합니다.
어찌 보면 완전히 초면도 아니고,
그렇다고 구면도 아닌 어정쩡하게 아는 그런 사이를 뜻합니다.

'풋인사'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겨우 낯을 아는 정도의 사이에서 주고받는 인사를 뜻합니다.

잘 알지는 못하지만,
풋낯인 사람을 만나면 먼저 가볍게 목인사라도 하는 게 자연스럽게 사람과 친해지는 일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풋인사'를 나누다 보면 '풋낯'도 '익은 낯'이 되지 않을까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읽어보실만한 글이 있어 붙입니다.
http://media.hangulo.net/7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85
56 [2013/04/26] 우리말) 군대 간 아들에게 책 소개 머니북 2013-04-26 9054
55 [2007/03/13] 우리말) 숫자 읽기 id: moneyplan 2007-03-13 9087
54 [2010/04/05] 우리말) 박진감 id: moneyplan 2010-04-05 9109
53 [2008/06/18] 우리말) 방귀 뀌다와 방구 끼다 id: moneyplan 2008-06-18 9145
52 [2006/08/21] 우리말)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합니다. id: moneyplan 2006-08-21 9233
51 [2006/08/22] 우리말) 잔치는 벌리는 게 아니라 벌이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6-08-22 9339
50 [2012/09/24] 우리말) 착한 남자 머니북 2012-09-24 9348
49 [2006/08/24] 우리말) 그게 희귀병이라고요? id: moneyplan 2006-08-24 9435
48 [2007/09/20] 우리말) 기울이다와 기우리다 id: moneyplan 2007-09-20 9493
47 [2011/08/04]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1-08-04 9536
46 [2006/08/15] 우리말) 갈마들다 id: moneyplan 2006-08-17 9540
45 [2006/08/16] 우리말) 고참의 구타 id: moneyplan 2006-08-17 9588
44 [2006/08/17] 우리말) 연루보다는 관련이, 관련보다는 버물다가 낫습니다 id: moneyplan 2006-08-17 9611
43 [2013/03/20] 우리말) '가사 피고가 경락을 경료해'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3-20 9674
42 [2015/05/26] 우리말) 끝물과 맏물 머니북 2015-05-28 9708
41 [2013/02/28] 우리말) 짐벙지다 머니북 2013-02-28 9786
40 [2006/12/21] 우리말) 기여가 아니라 이바지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1 9890
39 [2006/08/26] 우리말) 공중화장실 ‘여성 변기’ 늘린다 id: moneyplan 2006-08-28 9908
38 [2007/02/09] 우리말) 개조식/서술식 id: moneyplan 2007-02-09 10012
37 [2011/11/22] 우리말) 아름되 머니북 2011-11-22 10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