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8/26] 우리말) 붓다(2)

조회 수 2903 추천 수 0 2015.08.26 11:44:49

'붓다'는 '낫다'처럼 ㅅ불규칙용언입니다.
감기가 나아 움직일만하다처럼 ㅅ이 탈락하여 쓰입니다.
붓다도
간이 부은 겁니다로 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보내드린 편지에 제 실수가 있었습니다.

편지 끝부분에 
'간이 큰 게 아니라 간이 붓은 거겠죠.'라고 했는데
'간이 큰 게 아니라 간이 부은 거겠죠.'가 바릅니다.

'붓다'는 '낫다'처럼 ㅅ불규칙용언입니다.
감기가 나아 움직일만하다처럼 ㅅ이 탈락하여 쓰입니다.
붓다도
간이 부은 겁니다로 습니다.

참고로,
붇다와 붓다의 다른 점은 아시죠?
'붓다'는
살가죽이나 어떤 기관이 부풀어 오르다는 뜻이고,
'붇다'는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밤참을 너무 많이 먹고 자면 다음날 아침에 얼굴이 '붓고', 동시에 몸무게가 '붇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09년에 보냈던 편지입니다.

 

[엉터리 자막 몇 개]

오늘도 주말에 본 텔레비전에서 찾은 엉터리 자막 몇 개 소개할게요.

금요일 밤 10:46, MBC에서 '엑기스'라고 했습니다.
뽑아내다는 뜻의 extract를 일본말 투로 소리를 낸겁니다.
'진액'으로 다듬어서 쓰라고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와 있습니다.

토요일 아침 8:24, KBS1에서 '오케바리'라고 했습니다.
오케이(OK)를 일본어투로 읽은 것이라고도 하고,
'결정했어'라는 뜻의 일본말 お決(おきまり, 오키마리)에서 왔다고도 합니다.
'좋아'나 '아주 좋아'라고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토요일 아침 8:30, KBS2에서 '땡땡이 무늬'라고 했습니다.
땡땡(ててん)은 점점(点点)의 일본소리로,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모양, 물방울이 떨어진 모양"이라는 뜻입니다.
우리말이 아닙니다.
여기에 어울리는 우리말은,
'물방울무늬'나, '점박이 무늬'입니다.

토요일 아침 8:51, MBC에서 인터뷰하면서 출연자가 자기 남편을 '아빠'라고 했습니다.
인터뷰하신 분이 잘못하신 것이지만, 방송국에서는 그 말을 내보내지 않거나, 인터뷰를 다시 하는 게 옳다고 봅니다.

토요일 저녁 7:05, KBS2에서 '잉꼬부부'라고 했습니다.
잉꼬는 鸚哥를 일본에서 いんこ라 쓰고[잉고]라 읽는 데서 왔습니다.
'원앙 부부'라고 하는 게 좋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잉꼬부부를 '원앙 부부'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토요일 저녁 7:47, SBS에서 '제 3탄'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샘씨(수사) 앞에 붙어 "그 숫자에 해당하는 차례"를 뜻하는 '제(第)'는 앞가지(접두사)이니 다음에 오는 낱말과 붙여써야 바릅니다.

일요일 아침 7:46, MBC에서 '뇌두'라고 했습니다.
"인삼, 도라지, 더덕 따위의 뿌리에서 싹이 나오는 대가리 부분"은 노두(蘆頭)입니다.

일요일 아침 8:39, MBC에서 '깜짝 놀랬잖아'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놀랐잖아'가 맞습니다.

일요일 아침 8:46, MBC에서 '피로회복'이라는 말을 했는데, "원기회복과 피로회복에 좋다."고 말했습니다.
원기회복과 피로회복은 정 반대의 말인데 어떻게 같이 좋을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편지를 쓰면서 궁금한 게 하나 있습니다.
방송국에는 문서편집기인 hwp하나도 없나 봅니다.
hwp에서 글을 쓰다 보면 엉터리 맞춤법은 거의 다 빨간 줄이 나오는데...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39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19
36 [2017/09/14] 우리말) 절대감속? 머니북 2017-09-15 4403
35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4615
34 [2017/09/18] 우리말) 이력’과 ‘노총’ 머니북 2017-09-18 4192
33 [2017/09/19] 우리말) 땡깡 머니북 2017-09-20 4501
32 [2017/09/20] 우리말) 땡깡(2) 머니북 2017-09-21 3716
31 [2017/09/21] 우리말) '신문 읽기가 너무 힘들어요' 머니북 2017-09-21 4683
30 [2017/09/22] 우리말) 가족과 식구 머니북 2017-09-26 4608
29 [2017/09/27] 우리말) 광어와 넙치 머니북 2017-11-06 3647
28 [2017/09/29] 우리말) 갯벌과 개펄 머니북 2017-11-06 4084
27 [2017/10/10] 우리말) 한글날 맞아 읽어볼만한 기사 머니북 2017-11-06 4172
26 [2017/10/11] 우리말) 바람직한 국어 순화방향 학술대회 안내 머니북 2017-11-06 4114
25 [2017/10/16] 우리말) 조쌀하다 머니북 2017-11-06 3557
24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3539
23 [2017/10/18] 우리말) 카카오톡 머니북 2017-11-06 3667
22 [2017/10/25] 우리말) 너볏이/나볏이 머니북 2017-11-06 3986
21 [2017/10/26] 우리말) 제비 머니북 2017-11-06 3869
20 [2017/10/30] 우리말) 문안 인사 머니북 2017-11-06 6048
19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4585
18 [2017/11/01]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머니북 2017-11-06 4833
17 [2017/11/02] 우리말) 차담회 머니북 2017-11-06 5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