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11] 우리말) 빌다와 빌리다

조회 수 3073 추천 수 0 2015.09.11 15:55:55

자주 틀리는 '이 자리를 빌어 감사를 드리고...'는
이러한 기회를 이용해서 감사 인사를 하는 것이므로
'빌어'가 아니라 '빌려'가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부터 국정감사가 시작되었습니다.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간이 작아서...

국정감사장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말이 "이 자리를 빌어..."입니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리고, 소개하고, 설명하고......

'빌다'에는 크게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해 달라고 신이나 사람, 사물 따위에 간청하는 것과
누군가에게 잘못을 용서해 달라고 호소하는 것입니다.

'빌리다'는 
"남의 물건이나 돈 따위를 나중에 도로 돌려주거나 대가를 갚기로 하고 얼마 동안 쓰다"는 뜻과
"남의 도움을 받거나 사람이나 물건 따위를 믿고 기대다."는 뜻이 있습니다.

문제는
'빌리다'를 써야 할 자리에 '빌다'를 잘못 쓰는 때가 잦다는 겁니다.
‘빌리다’는 남의 물건이나 돈 따위를 나중에 돌려주거나 대가를 갚기로 하고 얼마 동안 쓰다, 남의 도움을 받거나 사람이나 물건을 믿고 기대다, 일정한 형식이나 이론, 또는 남의 말이나 글을 취해 따르다,

친구에게 연필을 '빌려' 쓰는 것이고,
친구 손을 '빌려야' 일을 제대로 마칠 수 있으며,
머리는 '빌릴' 수 있으나 건강은 '빌릴' 수 없습니다.

자주 틀리는 '이 자리를 빌어 감사를 드리고...'는
이러한 기회를 이용해서 감사 인사를 하는 것이므로
'빌어'가 아니라 '빌려'가 바릅니다.

억지로 따져보면,
'이 자리를 빌어 감사를 드리고...'는
'이 자리에게 용서를 빌어 감사를 드리고...'가 될 겁니다. 말이 좀 이상하긴 하지만요. ^^*

세상 살면서 되도록이면 용서를 비는 것보다는
누군가에게 빌려주고 나눠주며 사는 게 더 낫지 않을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09년에 보냈던 편지입니다.

 

[해사하다]

안녕하세요.

어젯밤 11:56, KBS1에서 한 탤런트가 "각국의 정서가 틀리다"라고 이야기 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아직도 다르다와 틀리다를 구별 못한다는 게 너무나 가슴이 아픕니다.

오늘 아침 KBS뉴스에서는
교복 이야기를 하면서 '곤색'이라고 씌여진 천을 보여줬습니다.
곤색은 "검은빛을 띤 푸른빛"을 뜻하는 일본말(紺色, こんいろ[곤이로])입니다.
紺을 こん[곤]이라 읽기에 우리도 '곤'을 그대로 따와서 紺色을 '곤색'이라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감색으로 다듬었습니다.
하필이면 '곤색'을 보여줬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침부터 이것저것 챙기느라 정신이 없어 이제야 편지를 보냅니다.
이제는 하늘이 제법 맑아졌네요. 아침에는 안개가 짙게 끼어 있었는데...

우리말에 '해사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그림씨(형용사)로 
얼굴이 희고 곱다랗다, 표정, 웃음소리 따위가 맑고 깨끗하다, 차림, 자태 따위가 말끔하고 깨끗하다는 뜻입니다.
다 좋은 뜻이죠? ^^*

해사한 맵시를 갖춘 여러분,
오늘도 해사하게 웃으시는 해사한 얼굴로 보내시길 빕니다.

즐거워서 웃는 게 아니라 
웃으면 즐겁다고 하잖아요.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70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275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169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3903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522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709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096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324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597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177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093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800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359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099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241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187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703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218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131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