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 잘 했습니다.'는 뜻은
'좋은 구경 했습니다.'로 써야하고, '좋은 구경했습니다.'로 쓰면 틀립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제 일터에 대한 국정감사가 있었습니다.
오전 감사가 끝나고, 점심 드신 뒤, 저희가 준비해 놓은 농업기계를 둘러보셨습니다.
다 둘러보시고, "좋은 구경 했습니다."라면서 고맙다는 말씀을 하고 감사장으로 들어가신 의원님도 계시고,
그냥 말없이 들어가시는 분도 계시고... ^^*

'구경하다'는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보다."는 뜻입니다.
'영화를 구경하다, 집의 화장실 좀 구경합시다, 타인들의 공포 증후군을 구경하는 방관자였다.'처럼 씁니다.

그러나 '구경하다' 앞에 '좋은'이 들어가면 띄어쓰기가 헷갈리게 됩니다.
'좋은 구경했습니다.'가 바른지 '좋은 구경 했습니다.'가 옳은지.


'좋은 구경 했습니다'에서 '좋은'은 관형어입니다.
'좋은'이 뒤에 오는 '구경'을 수식합니다. 따라서 '좋은 구경'과 '했습니다.'로 나눌 수 있습니다.
'좋은 구경 했습니다.'로 띄어 써야 하는 거죠.
만약 이를 '좋은 구경했습니다.'로 붙여 쓰면,
'좋은'이 '구경했습니다.'를 수식하는 구조가 되어 어울리지 않습니다.
학교에서 배웠듯이 관형어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을 수식하지 동사를 수식하지는 못하잖아요.


어쨌든,
'구경 잘 했습니다.'는 뜻은
'좋은 구경 했습니다.'로 써야하고, '좋은 구경했습니다.'로 쓰면 틀립니다.

제 일터인 농촌진흥청이 어떤 곳인지 궁금하신가요?
언제든지 오세요.
제가 좋은 구경 시켜드리겠습니다.
아니, 제가 직접 구경거리를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09년에 보냈던 편지입니다.

 

[나름대로...]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건장 잘 챙기시길 빕니다.

지난주 금요일 낸 문제 답은 '양거지'입니다.
그 문제 답을 뚱겨드린다면서 첫 자음이 ㅇㅁㄹ라고 했습니다.
실은 목요일 저녁에 제가 친구들 만나 소주 한잔하면서 양미리를 먹었는데,
제가 양거지를 생각하면서 양미리가 손에 익어 있었나 봅니다.
제가 이렇게 지질합니다. ^^*
죄송한 마음에 금요일 편지에 댓글을 다신 모든 분들께 선물을 보내드렸습니다.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애들과 제부도에 다녀왔습니다.
오랜만에 그 섬에 갔는데 등대를 새로 세우고 간판을 바꾸는 등 나름대로 새 단장을 열심히 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봄이나 여름에 놀러 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요일 9:32, MBC에서 '발렌타인데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밸런타인데이가 맞습니다.

토요일 10:16, MBC에서
'나름 안정적인 출발'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오늘은 '나름'을 알아볼게요.
먼저, 사전에서 '나름'을 찾아보면
'의존명사'라고 나오며 ((명사, 어미 '-기', '-을' 뒤에 '이다'와 함께 쓰여)) 그 됨됨이나 하기에 달림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책도 책 나름이지..., 네가 열심히 하기 나름이다, 제 할 나름이다처럼 씁니다.
"각자가 가진 방식이나 깜냥을 이르는 말."로도 쓰이므로, 
나는 내 나름대로 일을 하겠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나름의 세상을 살기 마련이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쓰는 게 바릅니다.
그런데 요즘은 매인이름씨(의존명사) '나름'을 마치 어찌씨(부사)처럼 쓰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그것도 나름 좋구나, 나름 귀여운 맛이 있네, 나름 새 단장을 하고 있다처럼 쓰는 경우가 그런 겁니다.

그러나 매인이름씨는 꼭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써야 합니다.
의존 명사를 포함한 몸말(체언) 뒤의 토씨(조사)는 안 쓸 수도 있지만,
'나름' 뒤에는 '이다', '대로', '의', '(으)로' 따위의 토씨를 뒤에 붙여 쓰는 게 바릅니다.

그것도 나름 좋구나, 나름 새 단장을 하고 있다는
그것도 나름대로 좋구나, 나름대로 새 단장을 하고 있다처럼 써야 합니다.

언젠가 소개해 드린 '보다'는 너보다 크다, 그는 누구보다도 걸음이 빠르다처럼 토씨(조사)로도 쓰이지만,
사전에 어찌씨(부사)로도 쓸 수 있게 올라 있으므로 
보다 높게, 보다 빠르게라고 써도 틀리는 것은 아닙니다.
이렇게 쓰이는 게 꼭 바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사전에는 그렇게 올라 있습니다.

오늘은 글이 좀 길었네요.
내일은 짧게 쓰겠습니다.

여러분,
힘냅시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187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7492
2516 [2014/10/27] 우리말) 치 머니북 2014-10-27 2693
2515 [2009/08/19] 우리말) 마음눈과 마음자리 id: moneyplan 2009-08-19 2694
2514 [2010/08/03] 우리말) 미덥다와 구덥다 moneybook 2010-08-03 2694
2513 [2016/08/29] 우리말) 낫다/났다/낮다 머니북 2016-08-30 2694
2512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2695
2511 [2014/04/11] 우리말) 멋쟁이를 만드는 멋장이 머니북 2014-04-11 2696
2510 [2016/01/18] 우리말) 안틀다 머니북 2016-01-19 2696
2509 [2012/04/24] 우리말) 송춘종 어르신이 방송인에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4-24 2698
2508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698
2507 [2015/06/25] 우리말) 정종과 청주 머니북 2015-06-26 2698
2506 [2014/12/11] 우리말) 군드러지다 머니북 2014-12-11 2699
2505 [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머니북 2016-04-29 2700
2504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701
2503 [2014/12/31] 우리말) 요즘 쓸 말 머니북 2014-12-31 2701
»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700
2501 [2016/10/17] 우리말) 오늘 하루도 즐겁게 머니북 2016-11-01 2701
2500 [2015/10/26]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머니북 2015-10-27 2702
2499 [2009/07/23] 우리말) 옷깃 id: moneyplan 2009-07-23 2703
2498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704
2497 [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머니북 2015-05-06 2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