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08] 우리말) 우리말로 학문하기

조회 수 5559 추천 수 0 2015.10.13 08:06:01

.

안녕하세요.

요즘 거의 날마다 노벨상 받을 분들이 발표되네요.
우리는 왜 노벨상을 받지 못할까요?

지난 2008년 한국일보에 난 기사를 잇습니다.
내일이 한글날이라서 더 가슴아프네요.


http://www.hankookilbo.com/v/196508af110047d99e9d600dea9ef2df

[서화숙 칼럼] 우리말로 학문하기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일본인 일색이다. 고바야시 마코토 일본 고에너지가속기연구소 명예교수, 마스카와 도시히테 교토대 명예교수와 일본계 미국인인 남부 요이치로 시카고대 명예교수이다. 일본은 1949년 유카와 히데키가 물리학상으로 첫 노벨상을 수상한 이래 물리학상 수상자만 7명이 된다. 올해도 수상자를 또 배출한 화학상과 생리의학상 같은 이학상을 다 합치면 수상자가 13명이 되어 이 분야 국가별 순위에서도 세계 7위이다.

일본의 물리학상 수상자들은 한결같이 일본에서 대학을 마쳤지만 특히 이번 수상자 세 명은 최종 학위까지 모두 일본서 마쳤다. 80대인 남부 교수가 비록 1952년 프린스턴대 초빙을 계기로 미국에 정착했지만 도쿄대에서 공부했으며 60대인 고바야시와 마스카와 교수는 나고야대에서 박사과정까지 마쳤다. 이번에 수상계기가 된 '고바야시 마스카와 이론' 자체가 두 사람이 대학원생과 연구원으로 만난 나고야대에서 탄생했다.

일본 토종학자의 노벨물리학상 

일본의 기초과학이 왜 강한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내가 보기에는 일본말로 학문을 한다는 것도 큰 몫을 하는 것 같다. 

기초과학은, 특히 물리학 같은 분야는 물질계의 작동원리를 연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분야보다도 깊이 있고 독창적인 사고가 중요하다. 깊이 있고 독창적인 사고를 하려면 생각을 많이 해야 한다. 그러려면 기본적인 개념이 일찍부터 제대로 잡혀야 한다. 남부 교수는 초등학교 때 과학시간에 느낀 흥미가 그를 과학자로 이끌었다고 한다. 기본개념은 어떻게 해야 잘 잡힐까.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과학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을 것이다.

일본은 초등 중등과정은 물론 대학에서도 일본말로 과학을 가르친다. 그를 위해 서양에서 발달한 과학을 일본어로 옮기는 것을 당연한 기초과정으로 여겼다. 한자문화권인 동양 4국이 두루 쓰고 있는 과학이니 화학이니 물리학이니 하는 용어 자체가 알파벳권 언어를 제 나라 말로 파악하려 한 일본 지식인들의 번역의 소산이다. 소립자나 양자 전자 같은 용어들도 모두 일본인들이 만들었다.

덕분에 일본인들에게 세계적인 수준에서 사고한다는 것은 세계에서 가장 깊이 사고한다는 것이지 영어로 사고한다는 것이 아니게 되었다. 이것은 외국어가 약하기로는 둘째 가라면 서러울 일본인들이 기초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많이 받는 것에서나 마스카와와 고바야시의 연구가 일본의 대학에서 탄생한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반면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와 중 고등학교 과정에서 과학의 기본개념을 파악하도록 잘 가르치지도 않지만 대학에 들어가면 느닷없이 영어로 과학을 가르친다. 명문대학일수록 자연대 공대 의대에서 물리 화학 생리학 같은 기초분야에 영어교재가 쓰인다. 내용만 익혀도 부족할 시간에 외국어 부담까지 겹치니 한국어로 익혔을 때와 비교하면 절반도 못 배운다. 한국의 기초과학은 외국으로 유학갈 것을 아예 상정하고 가르치는 셈이다.

깊이 있게 사고해야 세계적 

교수들은 기초과학 분야의 명저들이 제대로 번역되지 않아서라고 말을 하는데, 이렇게 원서로 가르치니 번역할 의미가 없어진다. 한국어라면 열 권도 더 읽었을 전공서적을 한 권 파악하는 것도 힘겨우니 기본사양에서 한국 대학생들이 일본 대학생들보다 처지는 것은 당연하다. 대학을 나와도 배운 게 없다는 것도 바로 이래서 생긴다.

대학의 기초과학 교육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외국의 석학들을 모셔오는데 나라에서 돈을 아끼지 않겠다고 한다. 듣기에는 근사하다. 그런데 과연 전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과학실험은 맘껏 할 수 있는가. 초 중등 대학과정에서 과학을 바르게 이해할 기초는 마련되어 있는가. 세계적인 수준에서 사고한다는 것은 영어로 사고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깊이 사고한다는 것을 실천할 바탕은 마련되어 있는가. 한글날이라서 하는 소리가 아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대로와 데로]

안녕하세요.

어제는 오랜만에 일찍 일터를 나서 동료와 대폿집에 들러 소주를 한 잔 했습니다.
('한잔'일까요 '한 잔'일까요?)
당구장에 들러 당구도 쳤습니다. 제 실력은 80입니다. ^^*
오랜만에 마시는 술이라 붓는 대로 잘도 들어가더군요.

오늘은 '대로'와 '데로'를 갈라볼게요.

'대로'는 매인이름씨(의존명사)고
'데로'는 매인이름씨 '데'에 방향을 나타내는 토씨 '로'를 합친 겁니다.

'대로'는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라는 뜻입니다.
본 대로, 느낀 대로, 오는 대로, 달라는 대로처럼 씁니다.

'데로'는 "장소, 일, 상황"이라는 뜻이 있는 '데'와 토씨(조사)'로'를 합친 것으로,
네가 있는 데로 갈게처럼 씁니다.

헷갈리신가요?
좀 쉽게 갈라보면,
장소, 일 또는 방향이 들어가면 '데로'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대로'를 쓴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래 두 월을 보죠.
집을 짓는 '데로' 돈을 다 썼다.
집을 짓는 '대로' 이사갈거다.

위에 있는 '데로'는 집을 지으면서 그곳에 돈을 다 썼다는 뜻으로 일과 방향이 있으므로 '데'를 쓰고,
'대로'는 집을 짓고 그 뒤에 바로 그 집으로 이사할 거라는 뜻으로,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라는 뜻이 있으므로 '대로'를 씁니다.

이렇게 가르는 게 문법으로 보면 말이 잘 안 되겠지만 외우기는 쉬울 것 같습니다.

어젯밤에 주는 '대로' 받아 먹었더니 아침까지 속이 쓰리네요.
배 속을 비우고 근심과 걱정을 비울 수 있는 '데로' 빨리 가야겠네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4403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49707
2236 [2015/10/23] 우리말) 군더더기 말은 불룩 나온 뱃살 머니북 2015-10-26 8097
2235 [2015/10/22] 우리말) 웃옷과 윗옷 머니북 2015-10-23 5625
2234 [2015/10/21] 우리말) 낯익다와 귀 익다 머니북 2015-10-21 7126
2233 [2015/10/20] 우리말) 희색만면하다 머니북 2015-10-20 6126
2232 [2015/10/19] 우리말) 밭은기침 머니북 2015-10-20 5065
2231 [2015/10/16] 우리말) 사열/빠름 머니북 2015-10-16 4545
2230 [2015/10/15] 우리말) 헌화/꽃 바침 머니북 2015-10-16 4534
2229 [2015/10/14] 우리말) 들러/들려 머니북 2015-10-15 6482
2228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3759
2227 [2015/10/12]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머니북 2015-10-13 7780
» [2015/10/08] 우리말) 우리말로 학문하기 머니북 2015-10-13 5559
2225 [2015/10/07] 우리말) 벌에 쏘이다 머니북 2015-10-13 5641
2224 [2015/10/06] 우리말) 살무사와 살모사(2) 머니북 2015-10-06 5094
2223 [2015/10/05] 우리말) 살무사와 살모사 머니북 2015-10-05 7336
2222 [2015/10/02] 우리말) 객쩍다 머니북 2015-10-02 4825
2221 [2015/10/01] 우리말) 풋머리 머니북 2015-10-01 4188
2220 [2015/09/30] 우리말) 다음 한가위를 기다리며 머니북 2015-09-30 5397
2219 [2015/09/25] 우리말) 추석과 한가위 머니북 2015-09-30 5235
2218 [2015/09/24] 우리말) 다르다와 틀리다 머니북 2015-09-30 5650
2217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4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