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16] 우리말) 사열/빠름

조회 수 2712 추천 수 0 2015.10.16 10:09:13

빠르다는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뜻으로 속도가 빠른 것이고,
시기가 대중이나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설 때는 '이르다'를 써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에는 KBS방송에서 잘 못 나온 게 두 개나 보이네요.

1. 6:33쯤, 동아일보 기사를 소개하면서 "대통령이 사열을 받고 있다."고 했습니다.
'사열'은 "부대의 훈련 정도, 사기 따위를 열병과 분열을 통하여 살피는 일"로
대통령이 사열을 '하는 것'입니다.
사열을 받는 것은 부대입니다.
'대통령이 미국 부대를 사열하고 있다.'고 해야 바릅니다.

2. 7:17쯤, 단풍을 소개하면서 "올해는 단풍이 빨리 온다."고 했습니다.
빠르다는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뜻으로 속도가 빠른 것이고,
시기가 대중이나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설 때는 '이르다'를 써야 합니다.
올해는 단풍이 이른 것입니다.

주말에 집 앞에 있는 황방산에 올라 단풍 맛 좀 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임과 님]

안녕하세요.

오늘이 경칩이라네요.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깬다는 경칩...
바야흐로 이제 봄인가 봅니다. 이게 곧 꽃도 피겠죠? ^^*

우리 익은말(속담)에
'꽃 피자 님 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그런 좋은 일이 많이 일어나면 좋겠습니다. ^^*

익은말에서는 사모하는 사람을 '임'이라 하지 않고 '님'이라 썼습니다.
현재 맞춤법에서는 사모하는 사람을 '님'이라 하지 않고 '임'이라 해야 바릅니다.
임을 그리는 마음, 임을 기다리다, 임을 못 잊다, 임과 이별하다처럼 씁니다.

속담에
'임 없는 밥은 돌도 반 뉘도 반'이라는 게 있고,
우리가 잘 아는
'임도 보고 뽕도 딴다'도 있잖아요. 
이런 속담에는 모두 '임'이라고 쓰는데,
'님'이라고 쓰는 속담이 몇 개 있습니다.
고와도 내 님 미워도 내 님(좋으나 나쁘나 한번 정을 맺은 다음에야 말할 것이 없다는 말)
내 님 보고 남의 님 보면 심화 난다(자기 님이 더 훌륭하기를 바라는 뜻에서 잘난 남의 님을 보면 마음이 편치 아니하다는 말)
꽃 피자 님 온다(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 바로 그런 보기입니다.

속담까지 맞춤법에 맞춰 '님'을 '임'으로 다 바꿔야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냥 그런 속담이 있다는 것을 말씀드릴 뿐입니다.

봄입니다.
저도 제 임과 함께 즐겁게 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186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7489
2516 [2014/10/27] 우리말) 치 머니북 2014-10-27 2693
2515 [2009/08/19] 우리말) 마음눈과 마음자리 id: moneyplan 2009-08-19 2694
2514 [2010/08/03] 우리말) 미덥다와 구덥다 moneybook 2010-08-03 2694
2513 [2016/08/29] 우리말) 낫다/났다/낮다 머니북 2016-08-30 2694
2512 [2014/04/11] 우리말) 멋쟁이를 만드는 멋장이 머니북 2014-04-11 2695
2511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2695
2510 [2016/01/18] 우리말) 안틀다 머니북 2016-01-19 2696
2509 [2012/04/24] 우리말) 송춘종 어르신이 방송인에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4-24 2698
2508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698
2507 [2015/06/25] 우리말) 정종과 청주 머니북 2015-06-26 2698
2506 [2014/12/11] 우리말) 군드러지다 머니북 2014-12-11 2699
2505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700
2504 [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머니북 2016-04-29 2700
2503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701
2502 [2014/12/31] 우리말) 요즘 쓸 말 머니북 2014-12-31 2701
2501 [2016/10/17] 우리말) 오늘 하루도 즐겁게 머니북 2016-11-01 2701
2500 [2015/10/26]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머니북 2015-10-27 2702
2499 [2009/07/23] 우리말) 옷깃 id: moneyplan 2009-07-23 2703
2498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703
2497 [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머니북 2015-05-06 2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