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16] 우리말) 사열/빠름

조회 수 2713 추천 수 0 2015.10.16 10:09:13

빠르다는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뜻으로 속도가 빠른 것이고,
시기가 대중이나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설 때는 '이르다'를 써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에는 KBS방송에서 잘 못 나온 게 두 개나 보이네요.

1. 6:33쯤, 동아일보 기사를 소개하면서 "대통령이 사열을 받고 있다."고 했습니다.
'사열'은 "부대의 훈련 정도, 사기 따위를 열병과 분열을 통하여 살피는 일"로
대통령이 사열을 '하는 것'입니다.
사열을 받는 것은 부대입니다.
'대통령이 미국 부대를 사열하고 있다.'고 해야 바릅니다.

2. 7:17쯤, 단풍을 소개하면서 "올해는 단풍이 빨리 온다."고 했습니다.
빠르다는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뜻으로 속도가 빠른 것이고,
시기가 대중이나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설 때는 '이르다'를 써야 합니다.
올해는 단풍이 이른 것입니다.

주말에 집 앞에 있는 황방산에 올라 단풍 맛 좀 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임과 님]

안녕하세요.

오늘이 경칩이라네요.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깬다는 경칩...
바야흐로 이제 봄인가 봅니다. 이게 곧 꽃도 피겠죠? ^^*

우리 익은말(속담)에
'꽃 피자 님 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그런 좋은 일이 많이 일어나면 좋겠습니다. ^^*

익은말에서는 사모하는 사람을 '임'이라 하지 않고 '님'이라 썼습니다.
현재 맞춤법에서는 사모하는 사람을 '님'이라 하지 않고 '임'이라 해야 바릅니다.
임을 그리는 마음, 임을 기다리다, 임을 못 잊다, 임과 이별하다처럼 씁니다.

속담에
'임 없는 밥은 돌도 반 뉘도 반'이라는 게 있고,
우리가 잘 아는
'임도 보고 뽕도 딴다'도 있잖아요. 
이런 속담에는 모두 '임'이라고 쓰는데,
'님'이라고 쓰는 속담이 몇 개 있습니다.
고와도 내 님 미워도 내 님(좋으나 나쁘나 한번 정을 맺은 다음에야 말할 것이 없다는 말)
내 님 보고 남의 님 보면 심화 난다(자기 님이 더 훌륭하기를 바라는 뜻에서 잘난 남의 님을 보면 마음이 편치 아니하다는 말)
꽃 피자 님 온다(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 바로 그런 보기입니다.

속담까지 맞춤법에 맞춰 '님'을 '임'으로 다 바꿔야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냥 그런 속담이 있다는 것을 말씀드릴 뿐입니다.

봄입니다.
저도 제 임과 함께 즐겁게 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190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7522
2236 [2015/10/23] 우리말) 군더더기 말은 불룩 나온 뱃살 머니북 2015-10-26 3026
2235 [2015/10/22] 우리말) 웃옷과 윗옷 머니북 2015-10-23 2921
2234 [2015/10/21] 우리말) 낯익다와 귀 익다 머니북 2015-10-21 3338
2233 [2015/10/20] 우리말) 희색만면하다 머니북 2015-10-20 3077
2232 [2015/10/19] 우리말) 밭은기침 머니북 2015-10-20 2863
» [2015/10/16] 우리말) 사열/빠름 머니북 2015-10-16 2713
2230 [2015/10/15] 우리말) 헌화/꽃 바침 머니북 2015-10-16 2732
2229 [2015/10/14] 우리말) 들러/들려 머니북 2015-10-15 3148
2228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539
2227 [2015/10/12]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머니북 2015-10-13 3275
2226 [2015/10/08] 우리말) 우리말로 학문하기 머니북 2015-10-13 2904
2225 [2015/10/07] 우리말) 벌에 쏘이다 머니북 2015-10-13 2945
2224 [2015/10/06] 우리말) 살무사와 살모사(2) 머니북 2015-10-06 2858
2223 [2015/10/05] 우리말) 살무사와 살모사 머니북 2015-10-05 3470
2222 [2015/10/02] 우리말) 객쩍다 머니북 2015-10-02 2725
2221 [2015/10/01] 우리말) 풋머리 머니북 2015-10-01 2626
2220 [2015/09/30] 우리말) 다음 한가위를 기다리며 머니북 2015-09-30 2904
2219 [2015/09/25] 우리말) 추석과 한가위 머니북 2015-09-30 2829
2218 [2015/09/24] 우리말) 다르다와 틀리다 머니북 2015-09-30 2861
2217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