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19] 우리말) 밭은기침

조회 수 3117 추천 수 0 2015.10.20 07:47:57

'밭은기침'이라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병이나 버릇으로 소리도 크지 아니하고 힘도 그다지 들이지 않으며 자주 하는 기침"을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날씨는 좋은데,
아침저녁으로 온도차이가 커서 감기에 걸리는 사람이 많네요.

저희 집 셋째도 감기에 걸렸습니다.
'컹컹'하며 밭은기침을 자주합니다.

어제 저녁에는 방을 따뜻하게 해놓고 제 품에 꼭 안고 잤습니다.
이렇게 해서 딸내미 감기가 떨어진다면 며칠이라도 품고 잘 것이고,
그 감기가 제게 옮겨와 애가 힘들어하지 않을 수 있다면 뭐든지 할 겁니다.


'밭은기침'이라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병이나 버릇으로 소리도 크지 아니하고 힘도 그다지 들이지 않으며 자주 하는 기침"을 뜻합니다.
밤에는 식은땀에 이불이 젖고 밭은기침이 났다, 노파 방에서 불이 켜지고 노파의 밭은기침 소리가 들려왔다처럼 씁니다.
읽기는 [바튼기침]으로 읽습니다.

꼬맹이가 열난 것을 참으며 힘들어하는 것을 보니 안타깝기 그지없네요.
하루빨리 감기가 떨어지면 좋으련만...

모두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엥꼬와 엔꼬]

안녕하세요.

아침에 보니 제가 몰고 다니는 차가 이제 막 10만km를 넘게 달렸네요.
지난 2004년 여름에 샀으니 일 년에 2만 킬로 넘게 탄 셈입니다.
고향에 몇 번 가고 애들과 주말에 좀 놀러다녔더니 그러네요.

오늘은 자동차 이야기 하나 해 볼게요.
흔히 자동차에 연료가 다 떨어져 더는 갈 수 없을 때 '엥꼬'났다고 하고, 
이 말이 영어 empty를 일본어 투로 읽은 것이라고 합니다.

그게 아닙니다.
일본말에 えんこ[엔꼬]가 있습니다.
"자동차가 고장으로 움직이지 않음."이라는 뜻입니다.
기름이 떨어졌건, 펑크가 났건, 운전대가 빠졌건 자동차가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은 모두 えんこ[엔꼬]입니다.
꼭 기름이 떨어져서 못 움직일 때만 쓰는 낱말은 아닙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자동차 기름이 다 닳아 움직일 수 없을 때 그런 말을 씁니다.
이제는 버립시다.
엥꼬도 버리고 엔꼬도 버리고... ^^*

오늘 편지는
일본말 えんこ[엔꼬]를 알자는 게 아닙니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을 바로잡고자 하는 것뿐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앞에서 '2만 킬로'라고 썼는데요.
'킬로'는 '킬로그램'과 '킬로미터'의 줄임말입니다.
따라서 몸무게가 3킬로 빠졌다나 차를 2만 킬로 넘게 탔다고 써도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1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12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633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644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696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00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09
2671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730
2670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732
2669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33
2668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34
2667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745
2666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747
2665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752
2664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757
2663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768
2662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770
2661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773
2660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774
2659 [2015/08/26] 우리말) 붓다(2) 머니북 2015-08-26 2778
2658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782
2657 [2014/06/02] 우리말) 들차다 머니북 2014-06-02 2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