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13] 우리말) 컬러와 칼라

조회 수 3212 추천 수 0 2015.11.13 12:01:37

.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컬러와 칼라
빛깔을 뜻하는 영어는 한글로 “컬러”라고 적는다. 이 [컬러]가 아직까지 우리 언어 환경에 남아 있는 일본식 발음의 영향으로 “칼라”라고 잘못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말에서는 [ㅓ] 모음이 없어서 이를 대부분 [ㅏ]로 발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말과 소리가 비슷한 낱말로, 서양식 옷의 목 부분에 있는 깃을 말하는 외래어는 “칼라”가 맞다. 이 또한 일본말의 영향으로 아직 [카라]로 소통되는 경우가 흔한데, [칼라]로 발음해야 한다. 빛깔을 말하는 외래어는 “컬러”이고, 옷의 목 부분의 깃을 뜻하는 외래어는 “칼라”이다.

이처럼 우리말 가운데에는 일제강점기부터 이어 온 일본말의 영향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외래어들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영어 “clinic”[클리닉]을 “크리닉”으로 쓰고 있는 것도, 받침소리의 제약을 안고 있는 일본 사람들의 발음을 그대로 따라한 것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일본말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외래어 오용이 모두 일본식 발음 탓만은 아니다. 컷과 커트처럼 발음의 혼동으로 잘못 쓰는 경우도 많다.

거리를 지나다 보면, 문 앞에 “남성 컷 8,000원”이라고 써놓은 미용실을 볼 수 있다. “남성 커트 8,000원”이라고 고쳐 써야 올바른 표기가 된다. 미용실에서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은 “커트”가 맞다. “컷”은 책 중간 중간에 그려 넣는 작은 그림이나 또는 영화를 제작할 때 필름을 잘라내는 것을 뜻하는 말이 된다. 될 수 있는 대로 “컬러”는 “빛깔”, “칼라”는 “깃”, “클리닉”은 “진료소”, “커트”는 “자르기” 들처럼 순화하여 쓰면 더욱 좋겠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밖에]

안녕하세요.

집에서 애들 노는 것을 보고 있으면 참으로 재밌는 게 많습니다.

"야, 저기 문 좀 닫아줘."
"누나가 해! 왜 나만 시키는 거야?"
"그럼 내가 너 말고 누굴 시키냐? 너밖에 없잖아! 빨리 문 닫아."

남동생이라 가끔 누나를 때리기도 하지만 그래도 평상시에는 누나 말을 잘 듣습니다.
누나도 동생 눈치를 봐 가며 시킬만하면 시키고, 동생 기분이 좀 좋지 않은 것 같으면 시키지 않고 뭐... 이러는 것 같더군요.
애들이 그렇게 크면서 사회성을 익혀가나 봅니다.

오늘은 '밖에'를 알아볼게요.
너 밖에 없다가 맞는지, 너밖에 없다가 맞는지...

가르는 방법은 무척 쉽습니다.
뜻을 보면 됩니다. 
안이 아닌 밖이란 뜻이면 앞말과 띄어 쓰고,
"앞말에만 해당하는 것"이라는 뜻이면 앞말과 붙여 씁니다.

쓰레기를 집 밖에 버려라, 그 밖에 많은 상품이 있다처럼 쓰고,
내가 시킬 사람은 너밖에 없다, 돈이 천 원밖에 없다, 놀부는 돈밖에 모른다, 저밖에 믿을 사람이 없죠?처럼 씁니다.
두 번째 밖에는 뒤에 꼭 부정어나 부정의 뜻으로 해석되는 말이 옵니다.

저는 여러분 전자우편 주소밖에 없습니다.
다른 개인정보는 가지고 있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6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96
776 [2013/01/02] 우리말) 제야 머니북 2013-01-02 3264
775 [2011/03/15] 우리말) 꽃샘과 꽃샘추위 moneybook 2011-03-15 3264
774 [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moneybook 2010-06-16 3263
773 [2010/04/06] 우리말) 꽃봉오리 id: moneyplan 2010-04-06 3263
772 [2012/11/19] 우리말) 낙엽과 진 잎 머니북 2012-11-19 3262
771 [2009/02/17] 우리말) 큰 별이 지셨네요 id: moneyplan 2009-02-17 3261
770 [2009/02/13]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3 3261
769 [2011/01/20] 우리말) 우연찮다 moneybook 2011-01-20 3259
768 [2014/10/210] 우리말) 비가 그치겠죠? 머니북 2014-10-21 3257
767 [2009/09/23] 우리말) 신경 끄다 id: moneyplan 2009-09-23 3257
766 [2009/11/24] 우리말) 한말글 이름 잘 짓는 열두 가지 방법 id: moneyplan 2009-11-24 3256
765 [2017/02/08] 우리말) 분수와 푼수 머니북 2017-02-09 3255
764 [2010/05/11] 우리말) 주꾸미 id: moneyplan 2010-05-11 3255
763 [2016/09/02] 우리말) 드레지다 머니북 2016-09-07 3253
762 [2010/05/26] 우리말) 로마자 이름을 왜 쓰는가? id: moneyplan 2010-05-26 3253
761 [2013/07/05] 우리말) 보라 머니북 2013-07-05 3251
760 [2008/01/31] 우리말) 철들다 id: moneyplan 2008-01-31 3251
759 [2014/07/16] 우리말) 담/담장 머니북 2014-07-16 3250
758 [2017/07/27] 우리말) 굴레와 멍에 머니북 2017-07-27 3249
757 [2013/10/16] 우리말) 비거스렁이 머니북 2013-10-16 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