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16] 우리말) 은근과 은근히

조회 수 3591 추천 수 0 2015.11.16 16:23:46

'은근히'를 쓸 자리에 '은근'을 쓰면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프랑스에서 테러가 일어나 많은 사람이 죽었습니다.
어떤 목적으로건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것은 안 됩니다.
전쟁과 테러는 없어져야 합니다.

아침 출근길에 주위를 보니, 단풍나무 없이 가로수만 있는데도 은근히 멋진 가을을 담고 있어 기분이 좋았습니다.
'은근'은 한자 慇懃입니다. 왜 괴로워할 은 자가 들어가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순우리말 같은데…….

'은근'이 이름씨(명사)로 쓰일 때는 "야단스럽지 아니하고 꾸준함."이라는 뜻입니다.
이를 어찌씨(부사)로 바꾸면 '은근히'가 되어 "야단스럽지 아니하고 꾸준하게."라는 뜻과 함께 "정취가 깊고 그윽하게.", "행동 따위가 함부로 드러나지 아니하고 은밀하게."라는 뜻을 지니게 됩니다.


어찌씨(부사)는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뜻을 분명하게 하는 품사입니다.
문장 전체 또는 서술부를 수식하는 역할이죠.

이름씨(명사)는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이렇게
이름씨와 어찌씨는 쓰임이 다르므로,
'은근히'를 쓸 자리에 '은근'을 쓰면 안 됩니다.

가로수만 있는데도 '은근히' 멋진 가을을 담고 있다
에서 '은근히'를 '은근'으로 쓰면 안 됩니다.

가을은 가을이네요. 
실내에 있어도 은근히 춥네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한자 읽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자 읽기를 알아볼게요.

그에 앞서,
우리말의 70% 이상이 한자로 되어 있다는 것은 아무 증거가 없는 말이라고 합니다.
우리말에 한자가 많이 있는 것은 사실이고, 뜻글자인 한자를 쓰면 글이 짧아질 수도 있긴 합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를 표현할 수 있는 것과 
특히 우리 삶과 문화를 담아 말과 글로 나타낼 때는 한자보다는 우리말이 훨씬 쉽고 다양하며 아름답습니다. ^^*

한자를 읽을 때,
한자의 부수로 사용되는 글자를 부수 이름으로 가리키는 말은 하나의 굳어진 합성어로 봐 붙여 씁니다.
물수변, 사람인변처럼 쓰는 게 바릅니다.
그러나 해당 글자를 그대로 가리킬 때는 띄어 씁니다.
사람 인 자, 물 수 자처럼 씁니다.

쉽게 봐서,
부수는 다 붙여 쓰고, 한자 글자를 읽을 때는 띄어 씁니다.

오늘은 날씨가 무척 좋을 것이라고 합니다.
화사한 봄날씨만큼이나 많이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9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01
1376 [2011/12/14]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1-12-14 6835
1375 [2011/12/12] 우리말) 절대절명 => 절체절명 머니북 2011-12-12 8624
1374 [2011/12/09] 우리말) 안전사고 머니북 2011-12-09 4247
1373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512
1372 [2011/12/07] 우리말) 질기둥이 머니북 2011-12-07 10807
1371 [2011/12/06] 우리말) 딸내미와 싸움 머니북 2011-12-06 3795
1370 [2011/12/05] 우리말) 땐깡과 지다위 그리고... 머니북 2011-12-05 13255
1369 [2011/12/02] 우리말) 한글의 우수성 머니북 2011-12-02 4993
1368 [2011/12/01] 우리말) 물때썰때 머니북 2011-12-01 3819
1367 [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머니북 2011-11-30 4819
1366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952
1365 [2011/11/28] 우리말) 이상과 이하 머니북 2011-11-28 3845
1364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763
1363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252
1362 [2011/11/23] 우리말) 백발 머니북 2011-11-23 3837
1361 [2011/11/22] 우리말) 아름되 머니북 2011-11-22 10164
1360 [2011/11/21] 우리말) 광어 -> 넙치 머니북 2011-11-21 3743
1359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395
1358 [2011/11/17] 우리말) 닭 벼슬과 닭 볏 머니북 2011-11-17 4173
1357 [2011/11/16] 우리말) 빼꼼과 빠끔 머니북 2011-11-16 4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