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16] 우리말) 은근과 은근히

조회 수 3513 추천 수 0 2015.11.16 16:23:46

'은근히'를 쓸 자리에 '은근'을 쓰면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프랑스에서 테러가 일어나 많은 사람이 죽었습니다.
어떤 목적으로건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것은 안 됩니다.
전쟁과 테러는 없어져야 합니다.

아침 출근길에 주위를 보니, 단풍나무 없이 가로수만 있는데도 은근히 멋진 가을을 담고 있어 기분이 좋았습니다.
'은근'은 한자 慇懃입니다. 왜 괴로워할 은 자가 들어가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순우리말 같은데…….

'은근'이 이름씨(명사)로 쓰일 때는 "야단스럽지 아니하고 꾸준함."이라는 뜻입니다.
이를 어찌씨(부사)로 바꾸면 '은근히'가 되어 "야단스럽지 아니하고 꾸준하게."라는 뜻과 함께 "정취가 깊고 그윽하게.", "행동 따위가 함부로 드러나지 아니하고 은밀하게."라는 뜻을 지니게 됩니다.


어찌씨(부사)는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뜻을 분명하게 하는 품사입니다.
문장 전체 또는 서술부를 수식하는 역할이죠.

이름씨(명사)는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이렇게
이름씨와 어찌씨는 쓰임이 다르므로,
'은근히'를 쓸 자리에 '은근'을 쓰면 안 됩니다.

가로수만 있는데도 '은근히' 멋진 가을을 담고 있다
에서 '은근히'를 '은근'으로 쓰면 안 됩니다.

가을은 가을이네요. 
실내에 있어도 은근히 춥네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한자 읽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자 읽기를 알아볼게요.

그에 앞서,
우리말의 70% 이상이 한자로 되어 있다는 것은 아무 증거가 없는 말이라고 합니다.
우리말에 한자가 많이 있는 것은 사실이고, 뜻글자인 한자를 쓰면 글이 짧아질 수도 있긴 합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를 표현할 수 있는 것과 
특히 우리 삶과 문화를 담아 말과 글로 나타낼 때는 한자보다는 우리말이 훨씬 쉽고 다양하며 아름답습니다. ^^*

한자를 읽을 때,
한자의 부수로 사용되는 글자를 부수 이름으로 가리키는 말은 하나의 굳어진 합성어로 봐 붙여 씁니다.
물수변, 사람인변처럼 쓰는 게 바릅니다.
그러나 해당 글자를 그대로 가리킬 때는 띄어 씁니다.
사람 인 자, 물 수 자처럼 씁니다.

쉽게 봐서,
부수는 다 붙여 쓰고, 한자 글자를 읽을 때는 띄어 씁니다.

오늘은 날씨가 무척 좋을 것이라고 합니다.
화사한 봄날씨만큼이나 많이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20
1316 [2010/11/24] 우리말) 금도 moneybook 2010-11-24 3545
1315 [2010/03/3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10-03-31 3545
1314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544
1313 [2017/04/24] 우리말) 국어를 잘 배우자 머니북 2017-04-24 3543
1312 [2012/02/13] 우리말) 쏜살같다 머니북 2012-02-13 3543
1311 [2008/07/08] 우리말) 모찌와 찹쌀떡 id: moneyplan 2008-07-08 3543
1310 [2008/11/11] 우리말) 겹말 id: moneyplan 2008-11-11 3542
1309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41
1308 [2013/07/12] 우리말) 마음눈 머니북 2013-07-15 3541
1307 [2012/04/05] 우리말) 한식 머니북 2012-04-05 3541
1306 [2011/04/27] 우리말) 국어사전 moneybook 2011-04-27 3541
1305 [2015/10/29] 우리말) 으레/의례 머니북 2015-10-29 3539
1304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3539
1303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538
1302 [2011/01/19] 우리말) 굴레와 멍에 moneybook 2011-01-19 3537
1301 [2014/04/02] 우리말) 다좆치다 머니북 2014-04-02 3536
1300 [2011/10/19] 우리말) 공부 말뿌리 머니북 2011-10-19 3536
1299 [2013/11/04] 우리말) 난임과 촌스럽다 머니북 2013-11-04 3536
1298 [2009/06/05] 우리말) 어부인이 아니라 그냥 부인입니다. id: moneyplan 2009-06-05 3536
1297 [2016/08/22] 우리말) 여튼, 여하튼, 여하간 머니북 2016-08-24 3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