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19] 우리말) 괘꽝스럽다

조회 수 3662 추천 수 0 2015.11.23 08:52:35

우리말에 '괘꽝스럽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말이나 행동이 엉뚱하고 괴이한 데가 있다."는 뜻을 지닌 그림씨(형용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안녕하지 못합니다. ^^*
요즘 들어 술을 마시면 자주 기억이 끊깁니다.
남들은 모르지만, 저는 기억이 안 나는 때가 잦습니다.
어제도 그랬고요.
이러다 치매가 일찍 올까 걱정입니다. 정말로…….

우리말에 '괘꽝스럽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말이나 행동이 엉뚱하고 괴이한 데가 있다."는 뜻을 지닌 그림씨(형용사)로
이렇게 손자를 달래다가 청승스러운 자기 목소리에 문득 돌아간 자기 마누라의 생각이 되살아나서 괘꽝스럽게 눈물이 핑 돌기도 했다처럼 씁니다.

제가 괘꽝스레 놀지 않았기에 남들은 몰랐겠지만 저는 어젯밤 일이 기억나지 않습니다.
걱정입니다.
오늘도 술, 내일도 술인데…….
진짜 걱정입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햇님과 해님]


안녕하세요.

햇볕이 참 좋죠?
오늘도 해님이 저를 반겨주시네요. ^^*

어제 점심때 누군가 저에게 묻기를
왜 '햇님'이 아니라 '해님'이 맞냐고 물으시더군요.
[핸님]으로 소리가 나니 마땅히 사이시옷을 넣어서 적어야 하지 않냐면서...

1.
먼저,
해님은 해를 인격화하여 높이거나 다정하게 이르는 말입니다.
해님의 발음은 [핸님]이 아니라 [해님]입니다.

2.
사이시옷은 두 낱말이 합쳐져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났을 때 쓰는 'ㅅ'입니다.
해님은 
해라는 낱말과 님이라는 접미사가 합쳐진 겁니다.
낱말과 낱말의 결합이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따뜻한 기운으로 꽃을 피게 만드는 '해님'은
[해님]으로 소리내고 '해님'으로 쓰는 게 바릅니다.
제 일터에 있는 벚꽃이 활짝 피었네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0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40
2256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518
2255 [2008/01/31] 우리말) 철들다 id: moneyplan 2008-01-31 3353
2254 [2008/02/01] 우리말) 술 좀 마셨습니다 id: moneyplan 2008-02-01 4137
2253 [2008/02/02] 우리말) 뉘누리... id: moneyplan 2008-02-02 3432
2252 [2008/02/04] 우리말) 물찌똥 id: moneyplan 2008-02-04 3730
2251 [2008/02/05] 우리말) 설빔 준비하셨나요? id: moneyplan 2008-02-05 3430
2250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588
2249 [2008/02/12] 우리말) 아! 숭례문... id: moneyplan 2008-02-12 3306
2248 [2008/02/13] 우리말) 몹쓸과 못쓸 id: moneyplan 2008-02-13 3423
2247 [2008/02/14] 우리말) 꼴등과 꽃등 id: moneyplan 2008-02-14 3481
2246 [2008/02/15] 우리말) 간첩의 순 우리말은? id: moneyplan 2008-02-15 4134
2245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88
2244 [2008/02/19] 우리말) 지름길과 에움길 id: moneyplan 2008-02-19 3939
2243 [2008/02/20] 우리말) 빚쟁이 id: moneyplan 2008-02-20 3623
2242 [2008/02/21] 우리말) 농촌진흥청이 감치도록 야젓하게 일할 겁니다 id: moneyplan 2008-02-21 3445
2241 [2008/02/22] 우리말) 득돌같다와 득달같다 id: moneyplan 2008-02-22 4761
2240 [2008/02/23] 우리말) 우리말이 아니라 제 이야기입니다 id: moneyplan 2008-02-24 3439
2239 [2008/02/25] 우리말) 가장자리 id: moneyplan 2008-02-25 3649
2238 [2008/02/26] 우리말) 떡 도르라면 덜 도르고 말 도르라면 더 도른다 id: moneyplan 2008-02-26 3369
2237 [2008/02/27] 우리말) 좌우명 id: moneyplan 2008-02-27 3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