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04] 우리말) 엉터리와 터무니

조회 수 3042 추천 수 0 2015.12.07 15:45:28

'지레'를 쓸 자리에 '지례'를 쓰면 안 됩니다.
'지례'는 한자 地禮로 "땅에 지내는 제사의 예"를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엉터리와 터무니-성기지 운영위원
‘엉터리’는 본디 “사물의 기초”라는 뜻을 가진 말이다. 그래서 ‘엉터리없다’고 하면 어떤 일의 기초나 근거가 없다, 곧 이치에 맞지 않다는 뜻이 된다. 이 말을 응용하여 허황된 말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켜서 ‘엉터리없는 사람’이라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엉터리없는 사람’을 그냥 ‘엉터리’라고 하는 것도 표준말로 인정하고 있다. 이것은 잘못 알려진 말이 널리 쓰이게 되니까 할 수 없이 표준으로 삼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엉터리’와 비슷한 말 가운데 ‘터무니’가 있다. ‘터무니’는 “터를 잡은 자취”를 뜻하는 말로서, “수십 년 만에 고향에 갔더니 우리 가족이 살던 터무니가 사라졌다.”고 쓸 수 있다. 이 말은 또, 정당한 근거나 이유를 나타내는 말로도 널리 쓰여 왔다. “변명을 하더라도 터무니가 있어야 통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정당한 근거나 이유가 없을 때, ‘터무니없다’고 말한다. 다만 ‘엉터리있다’는 말이 없는 것처럼, ‘터무니있다’는 말은 쓰지 않는다.

‘엉터리없다’, ‘터무니없다’ 들처럼 ‘없다’가 붙어 쓰이는 말 가운데 ‘어처구니없다’는 말이 있는데, 이 또한 ‘어처구니있다’고 하지는 않는다. ‘어처구니’는 ‘상상 밖에 엄청나게 큰 물건이나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지금도 건설 장비 가운데, 큰 바위를 깨뜨리는 커다란 쇠망치를 어처구니라 한다. 이 말을 응용하여 ‘어처구니없다’고 하면, 하도 기가 막혀 어찌할 줄을 모른다는 뜻이 된다.

고맙습니다. ^^*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큰 교통사고가 있었군요. 안타깝습니다.

오늘 아침 6:40, KBS2에서 "코사지"라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프랑스 말로 corsage 옷깃, 가슴, 허리 등에 다는 꽃묶음은 '코사지'가 아니라 '코르사주'입니다.
저는 이 낱말을 '가슴꽃'이라 다듬어서 씁니다.
사전에 오른 낱말은 아니지만 누구나 다 알아먹더군요. ^^*

며칠 전에 탤크와 탈크에 대한 이야기를 보내드렸죠?
그 편지를 어떤 분이 식약청으로 보내서 여쭤봤나 봅니다.
그 답변을 보내왔기에 같이 보고자 합니다.

kjg???@empal.com 2009-04-23
식품의약청에 talc 관련 질의를 하였는데 아래와 같이 전화와 답변이 왔습니다. 
민원처리 서비스가 매우 좋아졌습니다. ㅎㅎ
[고객님께 전화통화를 드린 우리청 의약품안전정책과 ○○○ 선생님께서 의약품안전국 각 부서에 메모보고를 통하여, 
- 고객님께서 '표준국어대사전' 중 TALC 는 '탤크'가 올바른 표현이며, '탈크'는 '북한어'로 정의되어 있으며, 올바른 외래어 표기법에 중에서 'message'는 '메세지' 가 아니라 '메시지'가 올바른 표현임을 알려주셨음을 통보하고 약전 개정 및 게시판 작성 시 참고하여 주시기를 통보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그래도 바꾸려고 노력하는 것 같아 기분이 좋았습니다. 

고맙습니다.
정말 우리나라 행정의 질도 많이 올라갔군요. ^^*

오늘은 기분 좋은 식약청의 편지로 우리말편지를 갈음합니다. 

주말 잘 보내십시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64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213
2436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3038
2435 [2013/11/07] 우리말) 족집게와 [족찝께] 머니북 2013-11-08 3039
2434 [2016/08/03] 우리말) 코스프레 머니북 2016-08-10 3040
2433 [2016/04/07]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머니북 2016-04-07 3041
2432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3042
2431 [2007/12/28] 우리말) 아구탕과 아귀탕 id: moneyplan 2007-12-28 3043
2430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3043
2429 [2009/03/18] 우리말) 사람 소개하는 방법 id: moneyplan 2009-03-18 3043
2428 [2009/12/18] 우리말) 댓글을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12-18 3043
2427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3043
2426 [2013/11/28] 우리말) 오지랖 머니북 2013-11-28 3043
» [2015/12/04] 우리말) 엉터리와 터무니 머니북 2015-12-07 3042
2424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3044
2423 [2013/01/04] 우리말) 쇄정이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1-04 3044
2422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3044
2421 [2015/06/19] 우리말) 주책 머니북 2015-06-22 3046
2420 [2007/12/11] 우리말) 캐롤과 캐럴 id: moneyplan 2007-12-11 3047
2419 [2009/12/30] 우리말) 댓글 소개 id: moneyplan 2009-12-30 3047
2418 [2013/07/19] 우리말) 벌써와 벌써부터 머니북 2013-07-19 3047
2417 [2010/09/03] 우리말) 도복 moneybook 2010-09-04 3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