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05] 우리말) 알은척

조회 수 3353 추천 수 0 2016.01.06 14:12:10

'알은척하다, 알은체하다'는 한 낱말이므로 붙여 써야 하고,
'아는 체하다, 아는 척하다'는 한 낱말이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네요.
겨울이니까 추운 거겠지만, 그동안 따뜻하다가 추워지니까 적응이 잘 안되네요. ^^*

어제 회사 직원들이 모두 모여 서로 인사하고 덕담을 나누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직원이 워낙 많다 보니 제가 다 알지 못합니다. 
또, 저는 그 분을 알지만, 그 분이 저를 모를 수 있고,
반대로, 저는 모르지만, 그분은 저를 알 수도 있고요.

서로 잘 아는 것처럼 반갑게 인사를 나누긴 했지만, 속으로는 조금 죄송한 마음도 있었습니다. ^^*

오늘은 제가 잘 몰랐던 어떤 분께 미안한 마음을 갖고
알은체하다, 아는 체하다, 알은척하다, 아는 척하다를 갈라보겠습니다.

'알은척하다, 알은체하다'는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임"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지음"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안면이 있음을 뜻하는 말이죠.
'다음에 만나면 알은척이나 해라.' 
'누가 너에게 알은척하던데, 잘 알아?'처럼 씁니다.

'아는 체하다, 아는 척하다'는 어떠한 사실에 대해서 알지 못하면서 아는 것처럼 꾸민다는 뜻입니다.
'잘 모르면서 아는 척하면 큰 코 다친다.'처럼 씁니다.

'알은척하다, 알은체하다'는 한 낱말이므로 붙여 써야 하고,
'아는 체하다, 아는 척하다'는 한 낱말이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합니다.

어제 인사를 나누면서 잘 모르는 사람과 '알은체'한 것이고,
제가 날마다 편지를 보내는 것은 우리말을 잘 알지 못하면서 '아는 체'하고 있는 겁니다.
다른 점을 아시겠죠?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김과 푸서리]

안녕하세요.

어제는 다섯 탕이나 뛰었더니 아침에 일어나기가 좀 버겁네요. 
이제 이렇게 보낼 날도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교육이 이번 주에 끝나거든요. ^^*

그동안 맘 편하게 잘 놀았는데 이번 주가 마지막이라니 무척 섭섭합니다.
교육을 받는 동안에는 주말에도 맘 편하게 애들과 함께 놀 수 있었는데 일터로 돌아가면 그러기도 어려울 것 같네요.

저는 지난 주말에도 애들과 함께 이천 누나 집에서 흙을 만지면서 놀았습니다.
파프리카도 심고 고추도 심고 지지난 주에 심은 고구마순도 좀 정리하면서 애들과 놀았습니다.

우리말에 '푸서리'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푸'는 '풀'에서 왔고, '서리'는 '사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푸서리'는 '풀과 풀 사이'라는 뜻이죠.
사전에는 "잡초가 무성하고 거친 땅"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김'이라는 낱말을 아세요?
수증기도 김이고, 입에서 나오는 더운 기운도 김이며, 김밥을 싸는 검은색 조류도 김입니다.
또, '김'에는 "논밭에 난 잡풀"일는 뜻도 있습니다.
풀은 풀이되 논이나 밭에 난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는 여러 가지 풀이 바로 김입니다.
그런 잡풀을 뽑는 것을 김맨다고 하잖아요.

제가 애들과 같이 뒹구는 곳은 
푸서리는 아니지만 애들과 함께 김을 맬 풀은 무척 많은 곳입니다. ^^*

푸서리, 김, 논, 밭... 이런 낱말만 들어도 고향 생각이 나네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탕'은 "어떤 일을 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를 뜻하는 표준말입니다. 속어가 아닙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루에 두 탕이나 뛰다처럼 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34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964
1656 [2010/12/13] 우리말) 희소병 moneybook 2010-12-13 3366
1655 [2010/12/22] 우리말) 못 잊다 moneybook 2010-12-22 3366
1654 [2008/06/03] 우리말) 떠나는 순자 씨가 아쉬워서...... id: moneyplan 2008-06-05 3367
1653 [2009/07/21] 우리말) 체면치레 id: moneyplan 2009-07-21 3367
1652 [2012/01/19] 우리말) 알뜰 주유소 머니북 2012-01-19 3367
1651 [2012/11/13] 우리말) 자배기 머니북 2012-11-13 3367
1650 [2009/06/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6-16 3368
1649 [2010/12/07] 우리말) 추스르다 moneybook 2010-12-07 3368
1648 [2011/05/06]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moneybook 2011-05-06 3368
1647 [2008/04/23] 우리말) 꽃잎이 떨어지더라도 아쉬워 말자 id: moneyplan 2008-04-23 3369
1646 [2008/07/01] 우리말) 리터당과 리터에... id: moneyplan 2008-07-02 3369
1645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369
1644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369
1643 [2011/12/27] 우리말) 짬 머니북 2011-12-27 3369
1642 [2012/11/09] 우리말) 내년부터 한글날 쉽니다(2) 머니북 2012-11-09 3369
1641 [2014/03/10] 우리말) 붚대다 머니북 2014-03-10 3369
1640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370
1639 [2009/02/05]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id: moneyplan 2009-02-05 3370
1638 [2012/05/10] 우리말) 금실과 금슬 머니북 2012-05-10 3370
1637 [2014/11/07]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7 3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