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07] 우리말) 마을/마실

조회 수 3244 추천 수 0 2016.01.09 08:37:07

마실/마을
이쁘다/예쁘다
찰지다/차지다
~고프다/~고 싶다
를 복수표준어로 올렸습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추울 거라고 했는데, 생각보다는 따뜻하네요. 겨울에는 추워야 제 맛인데, 걱정입니다. ^^*

지난해 12월 14일, 국립국어원은 낱말 11개를 표준말로 올린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011년에 짜장면, 먹거리 따위를 표준말로 올렸고,
2014년에는 꼬시다 등 13개를 표준말로 올린데 이어 1988년 표준어 규정을 고시한 이후 세 번째입니다.
표준이 자주 바뀌는 것 같아 걱정도 되지만, 사전이 그만큼 현실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좋다고 봅니다.

기나긴 겨울 밤, 심심한데 '마실'이나 나갈까?
이제 막 걷기 시작한 자네 셋째, 참 '이쁘네'. 

위에 있는 월을
기나긴 겨울 밤, 심심한데 '마을'이나 나갈까?
이제 막 걷기 시작한 자네 셋째, 참 '예쁘네'. 
라고 하면 말맛이 조금 달라집니다.

이런 현실을 반영하여,
마실/마을
이쁘다/예쁘다
찰지다/차지다
~고프다/~고 싶다
를 복수표준어로 올렸습니다.

잎새/잎사귀
푸르르다/푸르다
도 별도 표준어로 올렸습니다.

이렇게 사전은 새 뜻을 넣으면서 발전합니다.

앞으로는 '촌스럽다'에도
"어울린 맛과 세련됨이 없이 어수룩한 데가 있다."는 뜻과 함께
"유달리 시골을 좋아하는 사람"이나
"여유로운 삶을 찾아 촌으로 들어가는 사람"과 같은 뜻도 사전에 같이 올리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몇 년째 이렇게 떠들고 있는데도 사전에 안 올라가네요. ^^*

저는 무척 촌스럽습니다.
촌에서 나서, 촌과 관련된 일을 하고, 촌을 좋아하며, 지금도 촌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도 촌에서 살 것이니
저는 당연히 촌스럽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안녕과 앞날]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편지를 쓰다 보니 글을 쓰는 손이 좀 어색하네요. 
우리는 지난주에 노무현 전 대통령을 편안히 쉴 수 있는 곳으로 보내드렸습니다.
허전하고, 아쉽고, 미련이 남지만 그래도 보내드렸습니다.

우리말에 헤어질 때와 만날 때 모두 쓰는 낱말이 있습니다.
만날 때도 쓰고 헤어질 때도 그 낱말을 씁니다.

'안녕'이 그런 낱말입니다.
우리는 아침에 동료를 만나면 "안녕!"이라고 반갑게 인사합니다.
어젯밤에 잘 잤냐는 안부를 묻는 거죠.
저녁에 집에 가면서도 "안녕!"이라고 합니다.
아무 탈 없이 잘 갔다가 내일 다시 보자는 말이겠죠.
사전에 오른 뜻은
감탄사로 "편한 사이에서, 서로 만나거나 헤어질 때 정답게 하는 인사말."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만날 때도 '안녕'이라고 말하고, 헤어질 때도 '안녕'이라 말합니다.

'앞날'도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앞날은 이전의 어느 날이나 얼마 전이라는 뜻을 지녀 "전날"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닥쳐올 날"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우리는 지난주에 '안녕'하지 못했고 
쓰린 가슴을 부여잡고 노 전 대통령에게 '안녕'이라고 인사하며 보내드렸습니다.
그분이 살아오신 '앞날'을 지지한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겠지만,
그분의 뜻에 따라,
우리 '앞날'은 서로 싸우지 않고 살아야 할 겁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8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89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755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78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806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825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834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848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850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61
2668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71
2667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71
2666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72
2665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80
2664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80
2663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891
2662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92
2661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894
2660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896
2659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96
2658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97
2657 [2015/03/17] 우리말) 햇빛/햇살/햇볕 머니북 2015-03-17 2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