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11] 우리말) 굼적/꿈적/꿈쩍

조회 수 3444 추천 수 0 2016.01.11 16:43:40

몸을 둔하고 느리게 움직이는 모양은 '굼적'입니다.
이보다 조금 센 느낌을 주는 낱말은 '꿈적'입니다.
이보다 더 센 느낌을 주는 낱말이 '꿈쩍'입니다.
우리말은 일반적으로 쌍자음이 많을수록 센 느낌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쉬셨나요?
저는 예전부터 운동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거의 움직이지 않고 책만 봤습니다. ^^*
꿈쩍도 안 한 것은 아니고요... ^^*


몸을 둔하고 느리게 움직이는 모양은 '굼적'입니다.
이보다 조금 센 느낌을 주는 낱말은 '꿈적'입니다.
이보다 더 센 느낌을 주는 낱말이 '꿈쩍'입니다.
우리말은 일반적으로 쌍자음이 많을수록 센 느낌을 줍니다.

이를 연이어 쓰면,
굼적굼적, 꿈적꿈적은 낱말로 올라 있지만,
꿈쩍꿈쩍이라는 낱말은 없습니다.

주말에 별로 꿈적거리지 않았더니,
오늘도 꿈쩍하기 싫네요. ^^*

이번주도 열심히 꿈적꿈적하면서 잘 살아봅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생각과 生覺]

안녕하세요.

어제 보낸 편지에 죽음을 뜻하는 말이 몇 개 겹쳤네요.
여기저기서 따오다 보니 중복된 걸 미처 몰랐습니다.

어떤 분은 굳이 그런 한자를 소개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하시는 분도 계시네요. 
오늘은 한자 이야기를 해 볼게요.

언젠가 읽은 한 시집에 
'네 生覺에 잠못이루고...'라는 월이 있었습니다.

1.
굳이 생각을 生覺이라 써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한글로 쓸 수 있으면 되도록 한글로 쓰는 게 좋다고 봅니다.

2.
생각은 한자 生覺이 아닙니다.
생각은 순 우리말 그냥 생각입니다.
방구들을 '온통' '돌'로 깔아 놨다고 해서 '온돌'인데,
이를 굳이 溫突/溫이라고 한자에서 왔다고 표준국어대사전에 풀어놓은 까닭을 모르겠습니다.
우레라는 순 우리말을 雨雷(우뢰)라고 억지를 쓴 적도 있었습니다.
한자가 나오기 전부터 써온 우리말에다 나중에 나온 한자말을 곁들여, 
마치 그 한자말에서 우리말이 말미암은 것처럼 해 놓을 필요가 있을까요?
내 것을 깔보고 남의 것을 떠받드는 그런 버릇은 하루빨리 버려야 한다고 봅니다.

3.
한자는 거의 3000년 전에 생겨났다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한자가 있기 훨씬 전부터 말을 쓰고 살았습니다.
그 말이 밀, 콩, 가루, 찬물 같은 깨끗한 우리말입니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밀이라 쓰지 않고 소맥(小麥)이라 쓰며,
콩이라 쓰지 않고 대두(大豆)라 쓰고,
가루라 쓰지 않고 분말(粉末)이라 씁니다.
찬물 마시고 속 차려야 할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분들은 찬물이라 안 하고 냉수(冷水)라고 하는 그런 사람들입니다.

4.
누군가 그러더군요.
우리말에 한자가 70% 정도 된다고...
그게 맞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설사 맞다고 하더라도,
사전에 있는 한자말 70% 가운데는 온돌, 생각처럼 우리말에 억지로 한자를 입힌 것도 있을 것이며,
평소에 거의 쓰지 않는 한자말도 많을 겁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소장'을 찾아보면 아래처럼 18개가 나옵니다.
소장01(-場) 쇠장02
소장02(小將)[소ː-] 부장04(副將)
소장03(小將)[소ː-]『북한어』장령급의 맨 아래 군사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장령. 
소장04(小腸)[소ː-] 작은창자. 
소장05(少壯)[소ː-] 젊고 기운참.
소장06(少長)[소ː-] 젊은이와 늙은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소장07(少將)[소ː-] 장성 계급의 하나. 중장의 아래, 준장의 위이다. ≒이성 장군. 
소장08(所長)[소ː-] 연구소, 강습소, 출장소 따위와 같이 '소(所)'라고 이름 붙인 곳의 우두머리. 
소장09(所長)[소ː-] 자기의 재능이나 장기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재주. 
소장10(所掌)[소ː-] 맡아보는 일. 
소장11(所藏)[소ː-] 자기의 것으로 지니어 간직함. 또는 그 물건.
소장12(消長) 쇠하여 사라짐과 성하여 자라남.
소장13(素帳)[소ː-] 장사 지내기 전에 궤연(筵) 앞에 치는 하얀 포장. 
소장14(素粧)[소ː-] 화장으로 꾸미지 않고 깨끗이 차림.
소장15(梳匠) 조선 시대에, 관아에 속하여 머리빗을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소장16(疏章) 상소하는 글. 
소장17(訴狀)[-짱] 소송을 제기하기 위하여 제일심 법원에 제출하는 서류. 
소장18(蘇張) 중국 전국 시대의 세객(說客)인 소진(蘇秦)과 장의(張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이걸 우리가 다 알아야 할까요?
그것도 한자로 다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우리 것이 소중한 것입니다.
세계화의 첫걸음도 우리 문화를 바로 아는 데부터라고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2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39
1176 [2012/06/20] 우리말) 수탉과 수캉아지도 있습니다 머니북 2012-06-20 3427
1175 [2012/06/21] 우리말) 노인은 어르신으로 머니북 2012-06-21 3483
1174 [2012/06/22] 우리말) 암호같은 복지 용어 머니북 2012-06-22 3749
1173 [2012/06/25] 우리말) '엉큼하다'와 '응큼하다' 머니북 2012-06-25 3791
1172 [2012/06/26] 우리말) '폭염'과 '불볕더위' 머니북 2012-06-26 3438
1171 [2012/06/27] 우리말) '쿨비즈'는 '시원차림'으로 머니북 2012-06-27 3276
1170 [2012/06/28] 우리말) '안타깝다' 머니북 2012-06-28 3487
1169 [2012/06/29] 우리말) 같이 읽고 싶은 글 머니북 2012-06-29 3589
1168 [2012/07/02] 우리말) 천장과 천정 머니북 2012-07-02 3587
1167 [2012/07/03] 우리말) 천장과 천정(2) 머니북 2012-07-03 3877
1166 [2012/07/0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4 3615
1165 [2012/07/05]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5 3769
1164 [2012/07/06] 우리말) 장대비와 작달비 머니북 2012-07-06 3284
1163 [2012/07/09] 우리말) 빈소와 분향소 머니북 2012-07-09 3921
1162 [2012/07/10] 우리말) 주니 머니북 2012-07-10 3648
1161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6162
1160 [2012/07/12] 우리말) 한글로 된 국회의원 선서문 머니북 2012-07-12 11658
1159 [2012/07/13] 우리말) 연루/관련/버물다 머니북 2012-07-14 3470
1158 [2012/07/16] 우리말) '당분간'은 '얼마 동안'으로 머니북 2012-07-16 8632
1157 [2012/07/17] 우리말) '애당초'와 '애시당초' 머니북 2012-07-17 3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