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14] 우리말) 게으르다/개으르다

조회 수 3448 추천 수 0 2016.01.17 16:46:21

우리말에는 '게으르다'와 '개으르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뜻도 비슷합니다.

안녕하세요.

새해 들어 되도록이면 우리말을 빼먹지 않고 보내고,
이왕이면 예전 것으로 갈음하는 것은 하지 않으려 애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늦게라도 보내지만, 
무엇보다 제가 개을러서 이런 겁니다. ^^*

개을러서……. 게을러서……. 어떤 게 바를까요?

우리말에는 '게으르다'와 '개으르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뜻도 비슷합니다.

'개으르다'는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성미나 버릇이 있다."는 뜻을 나타내는 그림씨로
'그렇게 개을러서 뭘 제대로 하겠니?'처럼 씁니다.

'게으르다'는 "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성미나 버릇이 있다."는 뜻입니다. 
마찬가지 그림씨로
'게으른 사람이 성공하는 것 봤어?, 그렇게 게을러서야 입에 풀칠이라도 하겠니?/처럼 씁니다.

저는 두 낱말을 다른 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게을러서 여기저기 자료를 찾아보지 않아서 그러겠죠?

우리말 속담에 
'게으른 선비 책장 넘기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뜻인지 바로 떠오르시죠?

딱 저를 두고 하는 말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처, 아내, 지어미, 마누라, 옆지기 ]

안녕하세요.

즐거운 화요일입니다. 오늘도 자주 웃으며 삽시다. ^^*

그제, 일요일 밤 9:40, EBS에서 한 출연자가 자기의 아내를 '부인'이라고 했습니다.
화장품을 손에 들고 "내 부인이 아끼는..."이라고 말했고,
자막도 '부인'이라고 나왔습니다.
도대체 그 '부인'이 누구인지 모르겠습니다. 
내 아내가 아닌 남의 아내는 많기도 한데, 그 가운데 어떤 사람을 이르는지... ^^*

며칠 전에 '어부인'이야기를 하면서 내 아내를 남에게 소개할 때 '부인'이라는 말도 쓰면 안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면서 처나 아내라는 말을 써야 한다고 했는데,
그 글에 대한 댓글이 많네요.
'처'는 한자이니 '아내'라고 만 써야 한다는 분도 계시고,
'지어미'나 '마나님'이라고 써야 한다는 분도 계시며,
'마누라'가 좋다는 분도 계시고,
'옆지기'라는 멋진 말을 만들어서 써야 한다는 분도 계시네요.
모두 고맙습니다.
이렇게 다 같이 힘을 쓰기에 우리말이 맑아지고 곱게 쓰일 수 있다고 믿습니다.

사전에 오른 뜻으로 낱말을 살펴보면,
'지어미'는 웃어른 앞에서 자기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입니다.
'마나님'은 나이가 많은 부인을 높여 이르는 말이므로 자기 아내에게는 쓸 수 없습니다.
'마누라'는 "중년이 넘은 아내를 허물없이 이르는 말"이기도 하지만, 중년이 넘은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도 씁니다.
자기 아내에게는 쓸 수 있어도 남에게 쓰면 좀 거시기합니다. 
옆지기는 사전에 오른 말은 아니지만 친근감이 드는 낱말로 자주 써서 우리말로 만들고 사전에도 올리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내 아내를 남에게 소개할 때는,
처, 아내, 지어미, 마누라, 옆지기를 쓸 수 있겠네요.
이 밖에도 아내를 이르는 다른 말이 더 있을 수 있겠지만 제가 잘 몰라서 소개를 못 하겠네요. ^^*

밖에 비가 내리네요.
오늘 아침에 이렇게 아내 이야기를 하는 까닭은
'마누라' 덕에 아침밥 얻어먹고 건강하게 잘 사니 지금 아내에게 고맙다는 전화 한번 드리는 게 어떤가 해서요. ^^*
여자분들도 '옆지기'에게 그런 전화 한번 드리시고...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짝꿍'이나 '짝지'는 
짝을 이루는 동료나 뜻이 맞거나 매우 친한 사람을 이르는 말로는 쓰이지만
아내나 남편을 이르는 말로는 쓰이지 않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6
1456 [2012/04/12] 우리말) 농업 속 우리말 머니북 2012-04-12 3138
1455 [2012/04/10] 우리말) 광어가 아닌 넙치 머니북 2012-04-10 3075
1454 [2012/04/09] 우리말) 낼모레 머니북 2012-04-09 3559
1453 [2012/04/06] 우리말)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2-04-09 3716
1452 [2012/04/05] 우리말) 한식 머니북 2012-04-05 3550
1451 [2012/04/04] 우리말) 서식과 자생 머니북 2012-04-04 3477
1450 [2012/04/03] 우리말) 꽃샘잎샘 머니북 2012-04-03 3285
1449 [2012/04/02] 우리말) 잔불과 뒷불 머니북 2012-04-02 3213
1448 [2012/03/30] 우리말) 비거스렁이 머니북 2012-03-30 3985
1447 [2012/03/29] 우리말) 한글날을 공휴일로 머니북 2012-03-29 3299
1446 [2012/03/28] 우리말) 봄 내음 머니북 2012-03-28 4113
1445 [2012/03/27] 우리말) 먼산바라기 머니북 2012-03-27 3294
1444 [2012/03/26] 우리말) 느지막하다 머니북 2012-03-26 3708
1443 [2012/03/23] 우리말) 곤달걀 머니북 2012-03-23 5891
1442 [2012/03/22]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2-03-22 7154
1441 [2012/03/21] 우리말) 보라 머니북 2012-03-21 3400
1440 [2012/03/20] 우리말) 냉이국이 아니라 냉잇국 머니북 2012-03-20 3257
1439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3630
1438 [2012/03/16] 우리말) 일쩝다 머니북 2012-03-16 3103
1437 [2012/03/15] 우리말) 싱싱하다와 안슬프다 머니북 2012-03-15 3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