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21] 우리말) 갑부

조회 수 3572 추천 수 0 2016.01.21 17:36:02

'갑부'는 甲富입니다. [갑뿌]로 읽습니다.
'갑'이 '첫째'라는 뜻이므로
'갑부'는 첫째가는 부자 단 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슬슬 퇴근시간이 다가옵니다. ^^*

어제도 저녁에 약속이 있었고, 오늘도, 내일도 저녁에 약속이 있습니다.
이런 저를 보고 누군가 제가 갑부중의 갑부라고 하더군요.
친구가 많아서 갑부이고, 자주 모임에 나갈 만큼 돈이 많아서 갑부라고…….
쩝…….
친구가 많은 것은 맞지만, 돈이 많아서 모임에 자주 나가는 것은 아닌데…….

'갑부'는 甲富입니다. [갑뿌]로 읽습니다.
'장안의 갑부가 돈 한 푼을 아까워하다니, 그가 이 바닥에서 갑부다.'처럼 씁니다.

'갑'이 '첫째'라는 뜻이므로
'갑부'는 첫째가는 부자 단 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따라서 이를 '갑부중의 한 사람'이나, '열손가락 안에 드는 갑부'라고 쓰면 잘못입니다.

저는 
늘 은행 빚에 쪼들리고,
적은 용돈에 허덕이지만,
마음만은 늘 갑부라고 생각하고 삽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음식 맛]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어제 아침 9:48, MBC에서 '동생이 엄마 뱃속에 있다'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뱃속이 편안하지 않다, 그 사람 뱃속을 도무지 알 수가 없다처럼 씁니다.
배의 안쪽은 '배 속'입니다.

텔레비전에서 주말에는 주로 맛집을 소개하는 게 많더군요.
그때 음식 맛을 소개하는 말이 주로 담백하다와 고소하다 입니다.

고소하다는 "볶은 깨, 참기름 따위에서 나는 맛이나 냄새와 같다."는 뜻으로
말 그대로 고소한 것입니다.
담백하다는 아무 맛이 없이 싱겁다는 뜻과 음식이 느끼하지 않고 산뜻하다는 뜻이 있는데,
달리 나타내면 맹물에 조약돌을 넣고 끓일 때 나는 맛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아무 맛이 없는 것이죠.
우리 말에는 이 두 낱말 말고도 음식 맛을 이르는 낱말이 많습니다.

먼저 상을 차려볼까요?
음식 따위가 가짓수가 많고 푸짐하면 '걸다'고 하고,
양은 적지만 맛있으면 '맛바르다'고 합니다.

차린 음식에 국물은 많고 건더기는 적은 상태는 '흥덩흥덩하다'고 하고,
국물이 많이 담기거나 괴어서 가장자리까지 거의 찰듯한 모양을 '그렁그렁하다'고 합니다.
국물은 거의 없고 건더기만 가득한 상태, 곧, 국물보다 건더기가 가들막하게 많을 때는 '빡빡하다'고 합니다.

이제 먹어 보겠습니다. ^^*
음식의 맛이 산뜻하고 시원하면 개운하다고 하고,
맛이나 냄새 따위가 입맛이 당기도록 좋으면 구수하다고 합니다.
개운하다, 산뜻하다, 구수하다, 시원하다, 앙그러지다처럼 음식 맛이 입에 맞거나 마음에 들면 '맛깔스럽다'고 합니다.
밥이나 국이 보기에는 변변치 않아 보이나 막상 먹어보면 맛이 제법 구수해 먹을 만할 때는 '구뜰하다'고 합니다.

모든 음식이 다 맛있는 것은 아니겠죠? ^^*
비위에 맞지 아니할 만큼 음식에 기름기가 많거나, 
맛이나 냄새 따위가 비위에 맞지 아니하면 '느끼하다'고 합니다.
음식의 맛이나 냄새가 신선하지 못하거나 입맛이 개운하지 않으면 '타분하다'고 하고,
생선이 신선한 맛이 덜하고 조금 타분하면 '모름하다'고 합니다.
탑탑하다나 텁텁하다도 음식 맛이 개운하거나 산뜻하지 못할 때 쓰는 낱말입니다.

아무리 맛있는 음식도 지저분하게 먹으면 안 되겠죠?
음식을 먹는 태도를 먹음새라고 합니다.
보기에 먹음새가 좋아서 탐스러운 데가 있으면 '걸쌍스럽다'고 합니다.
맛있게 먹긴 하되 채신머리없이 입맛을 자꾸 짝짝 다시며 먹는 것은 '짜금거리다'고 합니다.ㄷ입맛을 다신다’는 말은 음식을 먹을 때처럼 침을 삼키며 입을 놀린다는 뜻이다. ‘다시다’라는 말에는 음식을 조금 먹는다는 뜻(물론 요즘에는 조미료의 이름이기도 하지만)도 있다.
감칠맛이 나도록 맛있게 씹으면 '감씹는다'고 하고,
감칠맛 나게 쪽쪽 빠는 것을 '감빨다'고 합니다.

아무리 먹고 싶어서 상황에 따라 먹을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음식을 먹을 때처럼 침을 삼키며 입을 놀리고만 있는 것을 '다시다'고 합니다.
입맛만 다시는 것이죠. ^^*
맘껏 먹고싶어도 그러지 못하고 음식을 조금 먹을 때도 '다시다'고 합니다.
그는 일찍 길을 떠나느라 아무것도 다시지 못해 몹시 시장했다처럼 쓸 때의 '다시다'가 그런 뜻입니다.

음식은 뭐니뭐니해도 손맛이라고 합니다.
정성이 들어가야 한다는 말이겠죠.
오늘 점심도 맛있게 드시길 빕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내일은 문제를 내겠습니다.
9:00에 편지를 보내는 거 아시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0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00
1436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33
1435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22
1434 [2011/05/20] 우리말) 실수와 잘못 moneybook 2011-05-20 3774
1433 [2011/05/23] 우리말) 주기, 주년, 돌 moneybook 2011-05-23 4348
1432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489
1431 [2011/05/25]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moneybook 2011-05-25 3917
1430 [2011/05/26] 우리말) 햇빛, 햇살, 햇볕 moneybook 2011-05-26 3673
1429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334
1428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17
1427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671
1426 [2011/06/01] 우리말) 흐리멍덩하다 moneybook 2011-06-01 3410
1425 [2011/06/02] 우리말) 하루이틀 moneybook 2011-06-02 3670
1424 [2011/06/03] 우리말) 야로와 야코죽다 moneybook 2011-06-07 4155
1423 [2011/06/07] 우리말) 밴댕이와 벤뎅이 moneybook 2011-06-07 3654
1422 [2011/06/08] 우리말) '찢어발기다'와 '까발리다' 머니북 2011-06-09 4156
1421 [2011/06/09] 우리말) 하릴없이 놀며 세월만 허비하는 짓 머니북 2011-06-09 3668
1420 [2011/06/10] 우리말) 단초와 실마리 머니북 2011-06-13 3453
1419 [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머니북 2011-06-13 3616
1418 [2011/06/14] 우리말) 한자 교육 머니북 2011-06-14 3700
1417 [2011/06/15] 우리말) 따까리 머니북 2011-06-16 3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