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14] 우리말) 금슬과 금실

조회 수 3366 추천 수 0 2016.03.15 07:19:20

지금은 부부간의 사랑을 이를 때 '금슬'도 바르고 '금실'도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알파고 이야기는 하지 않으려고 했는데... 괜히 구글 선전만 해주는 것 같아서...

내리 세 판을 졌던 이세돌 사범이 드디어 한 판을 이겼습니다. ^^*
세 판을 진 뒤, "인간이 진 것이 아닌 이세돌이 졌다."는 말을 했을 때는 너무나 안타까웠습니다.
역사에는 사람이 진 게 아니라 인류의 진보로 기록될 것이지만, 지는 순간은 힘들었을 겁니다.
다행스럽게도 어제는 이겼습니다. 괜히 눈물이 글썽이더군요. ㅠㅠ
오늘은 쉬고 내일 다섯째 판이 있습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어제 오전에 텔레비전을 보는데 타이타닉에 탔던 한 부부가 살 수 있는 보트를 포기하고 다른 사람에게 양보했다면서 '금슬 좋은 부부'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금슬'은 비파 금 자(琴)와 거문고 슬 자(瑟)를 써서 "거문고와 비파를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이 말은 거문고와 비파의 음률이 잘 어울린다는 뜻인 '금슬지락(琴瑟之樂)'에서 왔습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음운 변화와 뜻이 바뀌면서 지금은 "부부간의 사랑"을 나타낼 때 '금실'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말인 '금슬'과 함께 '금실'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거문고와 비파를 나타낼 때는 원래대로 '금슬'을 써야 합니다.)

금슬 좋은 부부.
둘 사이에 얼마나 다정하면 그런 말을 들을 수 있을까요?
저도 금슬 좋은 부부인지를 생각해봅니다. ^^*

고맙습니다.


보태기)
제 기억에 2~3년 전까지만해도 부부간의 사랑을 이를때는 '금실'만 바르고 '금슬'을 틀렸습니다.
근데 지금은...
어쨌든, 지금은 부부간의 사랑을 이를 때 '금슬'도 바르고 '금실'도 맞습니다. ^^*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외래어표기법 받침]


안녕하세요.


해남에는 비가 많이 내렸다는데,

이곳 수원은 햇볕이 쨍쨍 이네요. 


기획실에 있다 보면 이곳에서 나가는 거의 모든 문서를 다 보게 됩니다.

그 문서에 쓰인 글의 문법이 거의 다 맞지만,

가끔 맞춤법에 맞지 않는 낱말이나, 앞뒤가 맞지 않는 어색한 월이 들어 있기도 합니다.

특히 자주 틀리는 게 바로 외래어 쓰기입니다.

외래어표기법이 엉망이라서 그런다고 볼 수도 있지만,

어찌 되었건 공무원이 만드는 공문서에 맞춤법이 틀린 게 들어 있으면 안 된다고 봅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외래어를 우리말로 나타낼 때 받침은 딱 7개만 쓰게 되어 있습니다.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이렇게 일곱 개입니다.

ㄷ을 받침으로 쓰지 않습니다.

이것만 봐도 '로케ㄷ'이 아니라 '로켓'이 맞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ㄷ을 쓰지 않는 까닭은,

뒤에 다른 말이 붙었을 때 소리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rocket를 로켓으로 쓰면 뒤에 '을'이 와도 [로케슬]로 소리 내면 되지만,

로케ㄷ으로 쓰면 뒤에 '을'이 왔을 때 [로케들]로 소리내야 됩니다.

옳은 소리(발음)는 [로케슬]입니다.



이런 까닭으로 외래어를 우리말로 나타낼 때 받침은 일곱 개만 씁니다.

ㄷ을 받침으로 쓰지 않는다는 것을 꼭 알아두십시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5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54
2336 [2007/10/16] 우리말) 발쇠 id: moneyplan 2007-10-16 3324
2335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3819
2334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703
2333 [2007/10/19] 우리말) 구설과 구설수 id: moneyplan 2007-10-19 3733
2332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3558
2331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576
2330 [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id: moneyplan 2007-10-24 4321
2329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735
2328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3431
2327 [2007/10/27]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0-27 3860
2326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887
2325 [2007/10/30]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7-10-30 3492
2324 [2007/10/31] 우리말) 가시버시 id: moneyplan 2007-10-31 3271
2323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4081
2322 [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id: moneyplan 2007-11-02 3826
2321 [2007/11/03] 우리말)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id: moneyplan 2007-11-05 3821
2320 [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id: moneyplan 2007-11-05 3824
2319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3542
2318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181
2317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