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않아도 될 말은 빼고, 꼭 할 말만 하되, 되도록 좋은 말로 남을 먼저 생각하고 말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책을 보는 것도 좋아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사극도 좋아합니다. ^^*
어제 본 육룡이 나르샤에서 상대방을 배려하는 멋진 말이 나와서 소개합니다.

이방원이 왕자의 난을 일으켜 정도전을 죽이는 장면입니다.
이방원이 정도전에게 "요동정벌을 하지 않겠다."고 말하자
정도전이 "그 또한 살아남을 자가 결정할 일이다. 생자가 고민하고 생각해 시대를 이끌어나가는 것이다. 망자가 시대를 이끌어서야 되겠느냐. 고단하구나 방원아"라고 말합니다.
이방원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하다가 끝내 칼을 뽑아 정도전을 죽입니다.
그러면서 주위 사람들에게 "쥐새끼처럼 도망갔다는 것은 뺍시다."라고 말합니다.
한때 스승이었던 정도전을 배려하는 말입니다.

모름지기 말은 이렇게 상대방을 배려해야 합니다.
그냥 입으로 나온다고 다 뱉으면 안 됩니다.
하지 않아도 될 말은 빼고, 꼭 할 말만 하되, 되도록 좋은 말로 남을 먼저 생각하고 말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틀린 자막 몇 개]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보내드린 편지에

예전에 보내드린 편지 내용에 '은행 잎'이 사전에 올라 있지 않다고 말씀 드렸는데,

지금 보니 올라 있네요.

2007년 이후에 인터넷 사전에 올렸나 봅니다.



며칠 전에 보낸 편지에서 비의 종류를 소개해 드렸는데,

소낙비, 안개비, 보슬비, 가랑비, 이슬비도 있다는 댓글을 주셨네요.

고맙습니다.



토요일 아침 6:47, KBS2에서 '제 13회'라고 했습니다.

수사 앞에 붙어 '그 숫자에 해당하는 차례'를 의미하는 '제(第)'는 접두사이니 붙여 써야 바릅니다.



일요일 아침 8:48분부터 MBC에서 나온 자막입니다.

'서재필씨'라고 했는데, 

호칭은 이름과 띄어 써야 바릅니다. '서재필 씨'가 맞습니다.

'한선배'와 '안기자'라는 자막도 나왔는데,

마찬가지 성과 호칭을 함께 쓸 때도 띄어 씁니다.

'한 선배'와 '안 기자'가 맞습니다.

정리하면,

성과 이름, 성과 호는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따위는 띄어 씁니다.



'대학원에 진학하던가'라는 자막이 나왔는데,

'-던'은 과거형에 쓰고,

조건에는 '-든'을 씁니다.

'대학원에 진학하든가 (말든가)'처럼 쓰셔야 바릅니다.



월요일입니다.



이번 주도 자주 웃으시길 빕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9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01
2496 [2008/12/08] 우리말) 숫눈 id: moneyplan 2008-12-08 3111
2495 [2015/07/15] 우리말) 온종일 머니북 2015-07-15 3111
2494 [2016/08/29] 우리말) 낫다/났다/낮다 머니북 2016-08-30 3112
2493 [2013/12/09] 우리말) '사리'와 '개비' 머니북 2013-12-09 3114
2492 [2016/03/17] 우리말) '잎새'도 표준말입니다. 머니북 2016-03-18 3114
2491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3114
2490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3114
2489 [2014/12/11] 우리말) 군드러지다 머니북 2014-12-11 3115
2488 [2015/08/17] 우리말) 투잡 머니북 2015-08-17 3115
2487 [2009/01/14] 우리말) 짜집기와 짜깁기 id: moneyplan 2009-01-14 3117
2486 [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머니북 2015-05-06 3119
2485 [2014/09/19] 우리말) 눈시울과 가선 머니북 2014-09-19 3121
2484 [2015/06/03] 우리말) 늦장과 늑장 머니북 2015-06-03 3121
2483 [2009/08/19] 우리말) 마음눈과 마음자리 id: moneyplan 2009-08-19 3122
2482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3123
2481 [2010/07/30] 우리말) 스리와 쓰리 moneybook 2010-07-30 3123
2480 [2015/12/09] 우리말) 안녕'과 '하세요' 머니북 2015-12-10 3125
2479 [2016/06/20] 우리말) 관청은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한다 머니북 2016-06-21 3125
2478 [2009/03/27] 우리말)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3-27 3126
2477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3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