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아시는 것처럼 '잎새'가 표준말에 올랐습니다.
이제는 이파리, 잎, 잎사귀, 잎새 뭐든 다 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참 좋네요.
집을 나서다 보니 이제는 이파리가 나오고 꽃이 핀 게 여기저기서 보입니다.
바야흐로 봄입니다. ^^*

잘 아시는 것처럼 '잎새'가 표준말에 올랐습니다.
이제는 이파리, 잎, 잎사귀, 잎새 뭐든 다 쓸 수 있습니다.

갑자기 윤동주 님의 서시가 떠오릅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한가하다와 느긋하다]


안녕하세요.



새벽 5시에 나와 급한 불 좀 끄고 나니 지금 이 시간이네요.

좀 한가로이 살고 싶은데 그게 쉽지가 않네요. ^^*



저는 요즘 중국어를 배우고 있습니다. 

아내와 함께 공부하는 것도 사는 재미 가운데 하나더군요. ^^*

어제 들은 이야기입니다.

요즘 중국은 간자체라는 한자를 쓰는데, 이 글자체에는 중국의 문화와 중국의 넋이 들어 있지 않다고 하여

다시 예전의 글자로 돌아가자는 운동이 일고 있다고 합니다.

예전의 글자는 바로 우리가 쓰는 그런 복잡한 한자를 말합니다.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우리가 쓰는 말과 글에는 우리의 삶과 넋이 오롯이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일본말을 쓰면 그 순간만큼은 우리를 짓밟은 일본의 넋이 내 머릿속에 있는 것이고,

좋은 우리말을 두고 한자를 쓰면 아직도 중국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한 옛날이 생각나고,

언죽번죽 영어를 쓰면 내 넋이 길을 잃고 헤매는 겁니다.



앞에서 느긋하고 한가로이 살고 싶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겨를이 생겨 여유가 있다."는 뜻의 한가는 막을 한 자(閑)와 겨를 가(暇) 자를 쓴 한자말입니다.

이보다는 '한갓지게'나 '느긋하게'가 더 좋습니다.

저는 한갓지고 느긋하게 살고 싶습니다. ^^*



스스로 얼마나 마음을 쓰느냐에 따라 우리말을 찾아 쓰고 다듬을 수 있다고 봅니다.

더 나은 말과 더 깨끗한 말, 더 고운 말을 찾아 쓰고자 힘쓰는 것은

내 삶과 내 넋을 깨끗하게 하는 일이라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50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90
2336 [2007/10/16] 우리말) 발쇠 id: moneyplan 2007-10-16 3178
2335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3715
2334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513
2333 [2007/10/19] 우리말) 구설과 구설수 id: moneyplan 2007-10-19 3673
2332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3371
2331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376
2330 [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id: moneyplan 2007-10-24 4298
2329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519
2328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3226
2327 [2007/10/27]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0-27 3687
2326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772
2325 [2007/10/30]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7-10-30 3407
2324 [2007/10/31] 우리말) 가시버시 id: moneyplan 2007-10-31 3163
2323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4009
2322 [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id: moneyplan 2007-11-02 3784
2321 [2007/11/03] 우리말)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id: moneyplan 2007-11-05 3706
2320 [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id: moneyplan 2007-11-05 3743
2319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3315
2318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139
2317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