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22] 우리말) 마라고/말라고

조회 수 3992 추천 수 0 2016.03.22 10:27:47

'말다' 뒤에 간접적으로 인용됨을 나타내는 '-라고'를 합칠 때는 '말라고'로 씁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참 좋네요. ^^*

제 일터에서는 가끔 고라니가 뛰놉니다.
아마도 예전에 고라니 놀이터였던 데를 다져서 회사 건물을 올린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고라니 터전을 빼앗은 거죠. ^^*

가끔 밖을 내다볼 때 고라니가 뛰어다니는 것을 보면 기분이 참 좋습니다.
그래서 직원들에게 절대 같이 뛰지 말라고 이야기합니다. 애들 놀란다고... ^^*

오늘은 마라고/말라고를 갈라 보겠습니다.

'말다'의 어간 '말'에 명령형 어미 '-아라'를 합쳐 '마, 말아, 마라, 말아라'로 씁니다.
'말다' 뒤에 간접적으로 인용됨을 나타내는 '-라고'를 합칠 때는 '말라고'로 씁니다.
그래서 직원들에게 고라니와 같이 뛰지 말라고 이야기합니다가 바릅니다.

같이 뛰지 마라고...가 아니라, 같이 뛰지 말라고...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졸리다와 졸립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7:25에 SBS 뉴스에서

'프랑스 제 20회 열기구 축제'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수사 앞에 붙어 "그 숫자에 해당하는 차례"를 뜻하는 '제'는 앞가지(접두사)이므로 뒤에 오는 말과 붙여 써야 합니다.

(아마도 이 말을 백 번은 한 것 같은데... 아직도 뉴스 자막에 이런 게 나옵니다. 참으로 가슴이 아픕니다.)



오늘도 덥겠죠?

요즘 아침에 일찍 나오고 저녁에는 늦게 들어가다 보니 낮에 졸릴 때가 잦습니다.

가끔은 점심 먹고 낮잠을 좀 자기는 하지만,

그것도 쉽지는 않네요. 



흔히 졸리다를 졸립다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어제저녁에 방송한 우리말 겨루기에서도 어떤 분이 졸립다를 표준말로 선택해서 틀렸습니다.



그러나

"자고 싶은 느낌이 들다."는 뜻의 낱말은 '졸리다'로 

졸리어, 졸려, 졸리니 따위로 씁니다.



본디

졸리다는 졸다에 피동접미사 '리'가 붙어 만들어진 낱말이긴 하지만,

지금은 피동의 뜻이 없습니다.



아마도,

"사랑하는 마음으로 간절히 생각하다."는 뜻의 '그리다'를 떠올려 그 그림씨(형용사)인

'그립다'를 떠올리시는 것 같은데,

'그립다'는 있어도 '졸립다'는 없습니다. ^^*



졸리다는 움직씨(동사)이지만,

요즘은 그림씨(형용사)로도 많이 씁니다.



잠을 못 잤으니 졸리는 것은 마땅합니다.(움직씨)

어제도 늦게 들어갔더니 지금도 졸리네요.(움직씨)

졸린 제 표정을 남들이 보면 아마도 웃을 겁니다.(그림씨)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5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69
2096 [2017/10/11] 우리말) 바람직한 국어 순화방향 학술대회 안내 머니북 2017-11-06 4086
2095 [2017/09/07] 우리말) 우리말 바로 쓰기에 앞장섭시다 머니북 2017-09-07 4086
2094 [2011/05/02] 우리말) 오뚜기와 오뚝이 moneybook 2011-05-02 4082
2093 [2017/07/10] 우리말) 토마토 머니북 2017-07-11 4079
2092 [2007/04/10] 우리말) 싸 군과 국제전화 id: moneyplan 2007-04-10 4079
2091 [2017/08/08] 우리말) 미어지다 머니북 2017-08-09 4077
2090 [2011/10/13] 우리말) 연방과 연신 머니북 2011-10-13 4076
2089 [2007/04/14] 우리말) 만발? 활짝 핌! id: moneyplan 2007-04-16 4071
2088 [2017/09/29] 우리말) 갯벌과 개펄 머니북 2017-11-06 4070
2087 [2015/10/12]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머니북 2015-10-13 4069
2086 [2012/10/1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10-19 4069
2085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4064
2084 [2007/09/07] 우리말) 내외빈 id: moneyplan 2007-09-07 4064
2083 [2007/09/05]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 id: moneyplan 2007-09-05 4063
2082 [2013/03/19] 우리말) 바다나물과 먼산나물 머니북 2013-03-19 4061
2081 [2007/07/09] 우리말) 평창이 안타까워서... id: moneyplan 2007-07-09 4061
2080 [2012/01/10] 우리말) 신발을 구겨 신는다? 머니북 2012-01-10 4058
2079 [2015/09/16] 우리말) 정의 -> 뜻매김 머니북 2015-09-16 4053
2078 [2009/06/10] 우리말) 불임과 난임 id: moneyplan 2009-06-10 4053
2077 [2013/04/02] 우리말) 만개 머니북 2013-04-02 4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