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25]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조회 수 3143 추천 수 0 2016.03.25 08:32:17

누룽지는 밥이 솥바닥에 눌어붙어 딱딱하게 굳은 것을 말하고, 눌은밥은 솥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을 말한다.

안녕하세요.

기분 좋은 금요일 아침입니다. ^^*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누룽지와 눌은밥-성기지 운영위원



음식점에 따라 밥을 먹은 뒤에 입가심으로 구수한 국물이 있는 ‘눌은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음식점에서는 이를 두고 ‘누룽지’라 하는데, 그렇게 먹는 것은 누룽지가 아니라 눌은밥이다. 누룽지는 밥이 솥바닥에 눌어붙어 딱딱하게 굳은 것을 말하고, 눌은밥은 솥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을 말한다. 흔히 식사 후에 입가심으로 먹는 구수한 국물이 있는 밥은 누룽지가 아니라 눌은밥이다.

가끔 ‘생선을 졸이다’, ‘사과를 설탕물에 졸이다’고 적는 경우가 있는데,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졸이다’는 ‘마음을 졸이다’처럼 조마조마한 마음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양념을 한 고기나 생선을 국물과 함께 바짝 끓여서 양념이 배어들게 한다든지, 채소나 과일을 설탕물에 넣고 계속 끓여서 단맛이 배어들게 하는 것은 모두 ‘조리다’라고 해야 한다. 음식점에서 ‘고등어 졸임’이라 써 붙인 것은 ‘고등어 조림’이라 고쳐 적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음식점 차림표를 보면 잘못된 표기들이 자주 눈에 뜨인다. 가장 흔하게 보이는 것이 김치찌개나 된장찌개에서 ‘찌개’를 ‘찌게’로 적어 놓은 차림표이다. ‘찌개’는 동사 ‘찌다’(→익히다)의 어간 ‘찌-’와, 간단한 기구 등의 뜻을 가진 접미사 ‘-개’가 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ㅔ]와 [ㅐ] 의 발음을 잘 구별하여 소리내지 못한 까닭에, ‘찌개’를 ‘찌게’로 적는 잘못이 생긴 듯하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문제를 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떻게 된 게 7:30에 일터에 나왔는데도

책상에 앉은 게 지금 이시간입니다. 쩝...



오늘은 문제를 내겠습니다.

예전에는 문제를 내기 하루 앞서 말씀을 드리고, 다음 날 문제를 내면서 맨 먼저 답을 보낸 분께 선물을 드렸습니다.

그랬더니,

어쩔 수 없이 오후에 편지를 보는 사람도 있는데 일찍 보낸 사람에게만 선물을 주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말씀이 많으셨습니다.



그래서 제 맘대로 이렇게 바꿨습니다. ^^*

문제는

제가 내고 싶을 때 내겠습니다.

그리고 선물도 댓글을 다신 분 가운데서 제가 드리고 싶은분께 드리겠습니다.

다만, 선물을 드리고 그 다음날 왜 그분께 선물을 드렸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문제를 내겠습니다.

어제와 그제는 무척 더웠습니다.

오늘도 그렇게 더울 것 같습니다.

밖에 나가면 손바닥만한 그늘만 있어도 그 밑으로 들어가고 싶을 정도입니다.



가끔, 하늘에 새가 날아갈 때 그 그림자가 순식간에 앞을 스치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그렇게 아주 작은 그늘, 마치 날아다니는 새만큼 아주 작게 지는 그늘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좀 뚱겨 드리자면,

하늘에 솔개가 날아갈 때도 그런 그늘이 생깁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70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337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4020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720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834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229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383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672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268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51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880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437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153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309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300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762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284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188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