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30] 우리말) 머와 뭐

조회 수 3096 추천 수 0 2016.03.31 07:05:41

'뭐'는 모르는 사실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인 '무엇'의 준말입니다.
'머'는 '뭐'의 구어적 표현으로, 표준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날씨가 무척 좋을 것 같네요.

저는 일터에 오갈 때 늘 손에 책을 들고 있습니다.
예전에 말씀드렸듯이 책 제목이 보이지 않게 종이로 싸서 가지고 다닙니다.
어제 퇴근하면서 책을 들고 가는데, 누군가 "그게 머야?"라고 묻더군요.
책인 줄 뻔히 알면서 그렇게 묻는 것을 보면, 아마도 어떤 책인지를 묻는 것이었을 겁니다.
그래서 "애덤 그랜트의 오리지널스입니다."라고 말해줬습니다.
요즘 제가 그 책을 읽고 있습니다.

'뭐'는 모르는 사실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인 '무엇'의 준말입니다.
'머'는 '뭐'의 구어적 표현으로, 표준말입니다.
그래서,
"그거 뭐야?"라고 해도 되고 "그거 머야?"라고 해도 바릅니다.

'뭐'건 '머'건
늘 책을 가까지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틀린 말 몇 개]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거라고 하네요. 건강하게 잘 보내시길 빕니다.



토요일 밤 10:10, KBS1에서 "고참님"이라고 했습니다.

고참은 こさん[고산]이라는 일본말에서 온 낱말로, 국립국어원에서 선임으로 다듬은 말입니다.



일요일 아침 MBC 8:17에 '뱃속'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뱃속이 편안하지 않다, 그 사람 뱃속을 도무지 알 수가 없다처럼 씁니다.

창자가 있는 배의 속은 '배 속'이 맞습니다.



어제 일요일 오전에 늦잠을 자다 고향 친구로부터 전화를 받았습니다.

다른 고향 친구 한 명이 심장마비로 세상을 떴다고...

이제 겨우 40대 중반인데, 벌써 심장마비를 걱정하는 나이가 되었나 봅니다.

애들이 이제 겨우 초등학생과 중학생인데, 그 녀석들을 두고 어찌 눈을 감았나 모르겠습니다.



오늘 아침에 받은 고도원의 아침편지를 보니,

우리가 보낸 

하루하루를 모두 더하였을 때

그것이 형체 없는 안개로 사라지느냐, 

아니면 예술 작품에 버금가는 모습으로 형상화되느냐는 

바로 우리가 어떤 일을 선택하고 그 일을 

어떤 방식으로 하는가에 달려 있다.

라는 글이 있네요.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야지 싶습니다.



그 친구 만나러 영안실로 가는데 마침 CD에서 정태춘의 사망부가라는 노래가 나오더군요.

아래에 붙입니다.



내 친구 기룡이의 명복을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사망부가(思亡父歌) 

정태춘





저 산꼭대기 아버지 무덤

거친 베옷 입고 누우신 그 바람 모서리

나 오늘 다시 찾아가네

바람 거센 갯벌 위로 우뚝 솟은 그 꼭대기

인적 없는 민둥산에 외로워라 무덤 하나

지금은 차가운 바람만 스쳐갈 뿐

아, 향불 내음도 없을

갯벌 향해 뻗으신 손발 시리지 않게

잔 부으러 나는 가네



저 산꼭대기 아버지 무덤

모진 세파 속을 헤치다 이제 잠드신 자리

나 오늘 다시 찾아가네

길도 없는 언덕배기에 상포자락 휘날리며

요랑 소리 따라 가며 숨 가쁘던 그 언덕길

지금은 싸늘한 달빛만 내리비칠

아, 작은 비석도 없는

이승에서 못다하신 그 말씀 들으러

잔 부으러 나는 가네



저 산꼭대기 아버지 무덤

지친 걸음 이제 여기 와

홀로 쉬시는 자리

나 오늘 다시 찾아가네

펄럭이는 만장너머 따라오던

조객들도 먼 길 가던 만가소리

이제 다시 생각할까

지금은 어디서 어둠만 내려올 뿐

아, 석상 하나도 없는

다시 볼 수 없는 분 그 모습 기리러

잔 부으러 나는 가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9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38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533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4137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950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950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351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434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734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329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97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922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484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204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358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345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800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320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226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