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05] 우리말) 대로/데로

조회 수 4487 추천 수 0 2016.04.05 11:01:05

'대로'와 '데로'가 헷갈릴 때, 
'대'를 '곳'과 바꾸어서 말이 되면 '데로'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대로'를 쓰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날씨가 좋네요. ^^*

오늘은 퇴근하는 대로 목포에 다녀와야 합니다.
가깝게 지내는 분의 어머님이 돌아가셨거든요.
어머님이 좋은 데로 가시길 빌며, 오늘은 '대로'와 '데로'를 갈라보겠습니다. 

'대로'는 의존명사로 아래와 같이 씁니다.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 본 대로, 느낀 대로, 그린 대로, 들은 대로 이야기하다.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 집에 도착하는 대로 편지를 쓰다, 내일 동이 트는 대로 떠나겠다.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족족", 기회 있는 대로 정리하는 메모, 틈나는 대로 찾아보다, 달라는 대로 다 주다.
"어떤 상태가 매우 심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지칠 대로 지친 마음, 약해질 대로 약해지다, 애정이 식을 대로 식었다.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오다, 들 수 있는 대로 들어라.

이렇게 '대로'의 쓰임이 여러 가지이고, 다 잘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대로'가 '데로'와 헷갈린다는 겁니다.

'데로'의 '데'도 장소를 뜻하는 의존명사입니다.
'곳'이나 '장소'를 뜻할 때는 의지할 데 없는 사람, 예전에 가 본 데가 어디쯤인지 모르겠다처럼 씁니다.
'일'이나 '것'을 나타낼 때는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다, 사람을 돕는 데에 애 어른이 어디 있겠습니까?처럼 씁니다.
'경우'를 뜻할 때는 머리 아픈 데 먹는 약, 이 그릇은 귀한 거라 손님을 대접하는 데나 쓴다처럼 씁니다.

'대로'와 '데'... 써놓고 보니 더 헷갈립니다. ^^*

이렇게 갈라보면 어떨까요?
'데'는 주로 장소를 뜻하므로,
'대로'와 '데로'가 헷갈릴 때, '대'를 '곳'과 바꾸어서 말이 되면 '데로'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대로'를 쓰는 겁니다.

어제 돌아가신 가깝게 지내는 분의 어머님이
좋은 '데로' 가시길 빌며, 퇴근하는 '대로'  상가에 갈 생각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마음눈과 마음자리]



안녕하세요.



안타깝게도 또 큰 별이 지셨네요.

올해는 이상합니다.

김수환 추기경께서 돌아가시고, 얼마 되지 않아 노무현 전 대통령이 돌아가시더니,

그러고 나서 채 100일도 되지 않아 김대중 전 대통령이 돌아가셨네요.

참으로 가슴 아픕니다.



제가 아는 김대중 전 대통령은 사물의 참모습을 보시는 분이었습니다.

세계적인 안목으로 길게 보고 나라를 이끄셨던 분으로 기억합니다.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큰 기둥이셨고, 민주주의의 꽃이셨습니다.

그 후덕하신 목소리를 다시 듣고 싶습니다.



우리말에 '마음눈'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사물의 참모습을 똑똑히 식별하는 마음의 힘이나 사물을 살펴 분별하는 능력을 뜻합니다.

'마음자리'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마음의 본바탕이라는 뜻입니다.



돌아가신 김대중 전 대통령은

마음자리가 착하시고 마음눈이 트인 분이셨습니다.

그래서 더 안타깝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3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02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258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3979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617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787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176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370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650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244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31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857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412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137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286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263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751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269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171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