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06] 우리말) 감치다(2)

조회 수 4093 추천 수 0 2016.04.06 10:27:04

우리말 '감치다'는
맛이 맛깔스러워 당기다는 뜻뿐만 아니라
어떤 사람이나 일, 느낌 따위가 눈앞이나 마음속에서 사라지지 않고 계속 감돌다는 뜻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며칠 전 '감치다'는 낱말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맛이 맛깔스러워 당기다는 뜻뿐만 아니라
어떤 사람이나 일, 느낌 따위가 눈앞이나 마음속에서 사라지지 않고 계속 감돌다는 뜻도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아침에
막내와 같이 자전거를 타고 일터에 나왔습니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같이 노래를 부르면서 왔는데요.
그때 같이 불렀던 노래가 머릿속에 감치고 잊히질 않네요.
오늘 막내와 함께 불렀던 노래는 이겁니다.
원숭이 똥구멍 빨~게.  
빨간 것은 사~과
사과는 맛있어, 맛있는 건 바나나
바나나는 길~어
긴 것은 기차, 기차는 빨라, 빠른 것은 비행기, 비행기는 높아, 높은 것은 백두산...
저는 여기까지만 알고 있었는데,
애가 더 가르쳐주더군요.
백두산은 뾰족해, 뾰족한 건 바늘
바늘은 싫어, 싫으면 시집가,
시집가면 쉬~싸, 쉬 싸면 혼나~

글을 쓰면서도 자꾸 되뇌면서 중얼거립니다. ^^*

오늘 종일
막내와 노래 부른 게 아련하게 감쳐 오는 것을 느끼며 보낼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3.31.에 보내드린 편지입니다.


안녕하세요.

벌써 목요일입니다 .^^*
어제는 오랜만에 예전에 같이 일했던 후배들과 한잔했습니다.
갑자기 자리를 옮기는 바람에 별다른 인사도 못 하고 나왔는데,
어제는 이런저런 이야기도 해주고, 많이 들어주기도 하면서 새벽까지 정다운 시간을 이어갔습니다. ^^*

우리말에 '감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음식 맛이 맛깔스러워 당기다."는 뜻으로 많이 알고 있지만,
"어떤 사람이나 일, 느낌 따위가 눈앞이나 마음속에서 사라지지 않고 계속 감돌다."는 뜻도 있습니다.
'그때의 일이 두고두고 머릿속에 감치고 잊히질 않는다, 큰길에 나서자 나는 어느새 그녀가 누나처럼 따뜻하게 감쳐 오는 것을 느끼며...'처럼 씁니다.

자리를 옮기고 나서 늘 감치고 떠오르던 후배들과의 자리...
오랜만에 편한 마음으로 함께하는 자리였습니다. ^^*

여러분도 그런 동료나 후배가 있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보태기)
좋은 자리에서 한잔할 때는 가끔 건배사를 하는데요.
어제 제가 한 건배사는 '변사또'였습니다.
변하지 않는
사랑으로
또만나자~
^^*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깨단하다]



안녕하세요.



어제 위성을 쏘지 못했네요. 왜 이리 안타까운 일이 많이 일어나는지 모르겠습니다.



돌아가신 분에 대한 평가도 참으로 여러 가지네요.

저는 안타까운 마음이 하늘을 찌를 정도지만, 그렇지 않으신 분도 계시고, 그런 제가 밉게 보이는 분도 계시나 봅니다.



우리말 편지는 어디까지나 개인이 보내는 편지이므로, 그냥 제 개인으로만 봐 주십시오. 

돌아가신 김대중 전 대통령을 안타까워하는 마음도 제 마음일 뿐입니다. 남들에게 강요하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말에 '깨단하다'는 움직씨(동사)가 있습니다.

"오랫동안 생각해 내지 못하던 일 따위를 어떠한 실마리로 말미암아 깨닫거나 분명히 알다."는 뜻입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을 왜 인동초라고 하는지 이제야 깨단할 수 있다,

그가 남북통일에 얼마나 정성을 쏟았는지 돌아가신 다음에 내 놓은 다른 나라의 평가를 듣고야 깨단할 수 있었다처럼 씁니다.



올 들어 부쩍 커버린 느낌입니다.

김수환 추기경 돌아가실 때 많이 반성했고, 노무현 전 대통령 돌아가실 때 크게 후회했었는데,

이번에는 허전한 마음을 억누르기 어려워 갈피를 못잡겠네요.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759
1036 [2013/01/31] 우리말) 인공위성 상식 몇 가지 머니북 2013-01-31 3963
1035 [2013/02/01] 우리말) 거나하다/건하다 머니북 2013-02-01 5238
1034 [2013/02/04] 우리말) 목도리 친친 머니북 2013-02-04 3689
1033 [2013/02/05] 우리말) 신줏단지 머니북 2013-02-05 4203
1032 [2013/02/06] 우리말) 시가와 싯가 머니북 2013-02-06 4030
1031 [2013/02/07] 우리말) 햇님과 해님 머니북 2013-02-07 3667
1030 [2013/02/12] 우리말) 홀몸노인과 홀로노인 머니북 2013-02-12 3667
1029 [2013/02/13] 우리말) 시계제로 머니북 2013-02-13 3991
1028 [2013/02/14] 우리말) 자잘못과 잘잘못 머니북 2013-02-14 4862
1027 [2013/02/15] 우리말) 물물이 머니북 2013-02-15 3317
1026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789
1025 [2013/02/19] 우리말) 바락바락 머니북 2013-02-19 4110
1024 [2013/02/20] 우리말) 봄꿈 머니북 2013-02-20 7562
1023 [2013/02/21] 우리말) 걷어붙이다 머니북 2013-02-21 4521
1022 [2013/02/22] 우리말) 인이 박이다 머니북 2013-02-26 4439
1021 [2013/02/2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진돗개 [1] 머니북 2013-02-26 4513
1020 [2013/02/27] 우리말) 진돗개와 진도견 머니북 2013-02-27 3863
1019 [2013/02/28] 우리말) 짐벙지다 머니북 2013-02-28 9815
1018 [2013/03/04] 우리말) 아파트를 쓸 때 @로 쓰시나요? 머니북 2013-03-04 6733
1017 [2013/03/05] 우리말) 아파트는 @를 ㉵로 ^^* file 머니북 2013-03-05 3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