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및 각종 언론에 나타나는 실생활에 밀접한 경제뉴스를 간단한 멘트와 함께 클리핑 해드립니다.

머니북(www.moneybook.co.kr)에서는 가정경제에 관련한 주요 뉴스들을 중심으로 뉴스브리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놓치면 아쉬운 뉴스들을 훑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l   “배추 값 저리가라꽃 값도 천정부지


배추 등 채소값만 오르는 것이 아니라 꽃 값도 많이 오르고 있다는 소식. 폭우와 폭염, 태풍 등 최근 기상악화로 꽃 반입량이 작년 동월 대비 70~80%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야채 같은 경우에는 비싸도 어느 정도는 사먹을 수밖에 없는데 꽃은 비싸면 안 사게 돼있다며 소매상들이 울상이라고.


[헤럴드경제] 기사 더 보기



l  국내 저가 항공사 이용객쑥쑥는다


국내선 항공기 탑승객 3명 중 1명이 이용하고 있는데 저가 항공의 이용이 증가하는 이유는 안전성에 대한 선입견이 줄고 항공수요 증가와 더불어 실속 여행을 택하는 이용객이 늘어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저비용 항공사들의 경영실적도 빠른 속도로 호전되고 있다고


[세계일보] 기사 더 보기



l  "더 싼거" vs "더 예쁜거"


11번가에서 KAIST정보미디어연구센터와 함께 '뉴로 마케팅'에 대한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한 결과로 보면 남성은 가격 등 상품정보에, 여성은 상품이미지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시아경제] 기사 더 보기



l  ‘농민들 신음하는데…’ 농협, 15천억돈잔치


농협중앙회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금으로만 6000억원이 넘는 등 방만한 경영을 하면서도 직원들에게 5년간 성과급으로 15000억원 넘게 쓴 것으로 밝혀졌다고 경향신문이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조진래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보도


농협이 농민을 위한 협동조합이 아닌 것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지만 이번 배추 값 파동을 보면서 다시 한번 농협을 생각해 보게 됩니다.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농산물 유통구조의 여러 문제점들은 농협이 농민들을 위해 해야 할 일을 외면하고 있음이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기사 더 보기



l  약속 제대로 못 지킨 '오세훈의 수해방지대책'


오세훈 서울시장이 취임한 이후 2년간 저지대 침수 등 수해를 막기 위한 빗물 펌프장을 전혀 증설하지 않았고 특히 52개소 증설 약속도 12개소 증설에 그쳤다고 오마이뉴스가 보도


빗물펌프장이란 장맛비나 국지성 폭우가 내릴 때 펌프를 가동해서 빗물을 하천으로 퍼내는 시설로 자연배수가 안 되는 지역에 설치를 하며 이는 저지대 침수를 막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오마이뉴스] 기사 더 보기



l  "배추 파동은 절대 날씨 탓 아니지, 심을 데가 없는기라"


l  “배추 파동은 천재지변 … 30년 농사에 처음


같은 사안을 놓고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접근 방식이 다르고 보도 내용이 다를 수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내용입니다.


프레시안에서는 농민들의 입을 빌어 농사 지을 곳이 없음을 얘기하고 있고 중앙일보에서는 밭떼기 중간 상인들의 입을 빌어 이상 기후에 대한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프레시안] 기사 더 보기


[중앙일보] 기사 더 보기



l  바른말 고운말 사라진다…'욕설'에 중독된 청소년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가 한글날을 앞두고 지난 7일 전국 유치원과 초··고교 교원 455명을 대상으로 학생 언어사용 실태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하였는데 응답자의 52.7% '학생 대화에서 욕설과 비속어 비율이 20∼50%는 된다'고 답했고 '비속어 등 비율이 50∼70%'라는 응답도 22.4%나 됐다고.


어느 시대나 동 시대의 청소년들은 기성 세대에 비해 비속어 등을 더 많이 사용을 한다지만 어른들의 역할이 줄어들고 인터넷 문화 등의 영향으로 점점 바른말 고운말이 사라져가는 안타까움이 있는 한글날 입니다. 주변 자녀들은 어떠한지 스스로는 어떠한지를 한번쯤 돌아보는 시간은 어떨까요.


[뉴시스] 기사 더 보기



가계부를 대신 써 주는 머니북(MoneyBook) www.moneybook.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58 [02/12(水)] 가정경제뉴스 - 작년 개인·자영업자 세금만 늘었다 머니북 2014-02-12 4997
57 [02/13(木)] 가정경제뉴스 - 금융거래 필수 개인정보… 3월부터 6개로 줄인다 머니북 2014-02-13 5208
56 [02/17(月)] 가정경제뉴스 - "고소득층, 집 사지 않고 전월세 선택했다" 머니북 2014-02-17 6798
55 [02/18(火)] 가정경제뉴스 - 전·월세도 주택 매매처럼 신고 의무화 추진 머니북 2014-02-18 4666
54 [02/19(水)] 가정경제뉴스 - 車보험료 4월부터 2~3% 오른다 머니북 2014-02-19 4662
53 [02/20(木)] 가정경제뉴스 - 재건축 규제 확 풀어…수도권 전매제한도 사실상 폐지 머니북 2014-02-20 5131
52 [02/21(金)] 가정경제뉴스 - 매출 줄고, 세무검증은 강화되고.. 자영업자는 어디로 머니북 2014-02-21 5223
51 [02/24(月)] 가정경제뉴스 - 고소득층 월 교육비 50만4300원 저소득층의 7배 지출 ‘양극화 심화’ 머니북 2014-02-24 5009
50 [02/25(火)] 가정경제뉴스 - 거대한 사기판, 집값 바닥론 - 선대인 선대인경제연구소장 머니북 2014-02-25 5700
49 [02/26(水)] 가정경제뉴스 - ‘집 사라’는 정책, 가계빚 더 빨리 늘렸다 머니북 2014-02-26 5263
48 [02/27(木)] 가정경제뉴스 - 월세 50만원 내는 5000만원 연봉자 … 연말정산 때 60만원 돌려받아 머니북 2014-02-27 6836
47 [02/28(金)] 가정경제뉴스 - 악성 가계빚 느는데… 느긋한 당국 “관리 가능” 되풀이 머니북 2014-02-28 6159
46 [03/03(月)] 가정경제뉴스 - 소형주택 투자자 '나 어떡해' 머니북 2014-03-03 5018
45 [03/04(火)] 가정경제뉴스 - 연봉 8000만원대, 소득세 108만원 더 낸다 머니북 2014-03-04 5354
44 [03/05(水)] 가정경제뉴스 - 자영업자 687만명·과세미달자 516만명엔 감세 혜택 '0' 머니북 2014-03-05 5300
43 [03/06(木)] 가정경제뉴스 - ‘집주인 대책’으로 변질된 전·월세 대책 머니북 2014-03-06 6237
42 [03/07(金)] 가정경제뉴스 - 요동치는 전·월세시장 '5대 포인트' 머니북 2014-03-07 5756
41 [03/10(月)] 가정경제뉴스 - 고령자·저소득층 금융이해력 낮다 머니북 2014-03-10 5744
40 [03/12(水)] 가정경제뉴스 - [2014 재테크, 변수는 세금이다] 올 금융소득 2500만원 되면 500만원은... 머니북 2014-03-12 5036
39 [03/13(木)] 가정경제뉴스 - "3000만원 투자로 월세 50만원" 오피스텔의 비밀 머니북 2014-03-13 4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