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 고등학생이 쓴 기사를 함께 보고자합니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800&key=20160405.22020185142

학교서 쓰는 일제 잔재 단어 없애야

광복 70주년이 넘었지만, 학교와 학생들 사이에는 여전히 일제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어 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단어 사용이다. '운동회 계주 나갈 사람' '매점 가자' '쓰레빠라도 신고 다녀라' '마이 입어라' 등은 학교생활 중 학생과 교사들이 흔히 쓰는 말들이다. 하지만 계주, 매점, 쓰레빠, 마이는 모두 일제 강점기 영향이 남은 잔재 단어다. 이는 각각 이어달리기, 가게, 슬리퍼, 재킷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도 일상적으로 일본어나 일본어에서 유래한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김재민(경남고 1) 군은 "와꾸라든지 노가다, 다라이, 와사비 등 일상생활 속에서도 일본어를 많이 쓰고 있다. 우리말을 해치고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지만, 너무 익숙하기도 하고 일본어인지 잘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털어놓았다.

이처럼 일본식 용어는 생활 속에서 너무나 자연스럽게 자주 사용돼 학교나 학생 모두 심각성을 제대로 깨닫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학교나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의식적으로 하나씩 고치고 바꿔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동해중학교 조희선(국어) 교사는 "학생들이 일제 잔재 단어에 대해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며 "우리의 생각 자체가 언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어떤 언어를 쓰는지는 굉장히 중요한 문제다. 일제 잔재 단어를 고칠 수 있도록 학생 스스로가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승준 학생기자· 경남고 1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한글문화연대 소개]



안녕하세요.



아침에는 쌀쌀하고 낮에는 더워 기온차가 크네요. 건강 조심하시길 빕니다.



어제 제가 보낸 편지에서 제 실수가 있었네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에서 하고 있는 일을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보건복지가족부의 '홈리스'라는 법률용어를 가름할 우리말을 찾고 있습니다.

http://www.urimal.org/scrpt/board/board_show.asp?board_no=23&serial_no=4277

에 들어가서 보시고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urimal1@paran.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다음은 '기쁘고 슬픈 일을 한글로 나누자'는 운동입니다.

곧, 경조사 봉투를 우리말로 쓰자는 겁니다.

http://www.urimal.org/scrpt/board/alrim_show.asp?board_no=22&serial_no=253

에 들어가 보십시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35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82
2416 [2008/08/05] 우리말) 리더쉽과 리더십 id: moneyplan 2008-08-05 4986
2415 [2006/10/20] 우리말) 닦달하다 id: moneyplan 2006-10-20 4986
2414 [2008/12/30] 우리말) 보다 빠르게... id: moneyplan 2008-12-30 4979
2413 [2014/09/17] 우리말) 구어먹다 보다는 구워먹다 머니북 2014-09-17 4971
2412 [2013/05/08] 우리말) 어버이와 관련된 글 머니북 2013-05-08 4958
2411 [2009/12/10] 우리말) [바른말 고운말] 표어 공모전을 소개합니다 file [4] id: moneyplan 2009-12-10 4954
2410 [2017/11/06]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나라 머니북 2017-11-06 4943
2409 [2011/07/27] 우리말) 칠삭둥이 머니북 2011-07-27 4931
2408 [2017/11/13] 우리말) 금도 머니북 2017-11-16 4930
2407 [2011/09/22] 우리말) 더펄이/곰살갑다/구순하다 머니북 2011-09-22 4927
2406 [2017/06/0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7-06-13 4925
2405 [2011/10/17] 우리말) 걸리적거리다와 거치적거리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7 4925
2404 [2012/08/27] 우리말) 여지껏/여태껏 머니북 2012-08-27 4920
2403 [2012/06/15] 우리말) 토박이말 살려쓴 이름 머니북 2012-06-15 4916
2402 [2006/09/27] 우리말) 유감에 유감? id: moneyplan 2006-09-28 4914
2401 [2017/11/22] 우리말) 머니북 2017-11-23 4907
2400 [2006/11/13] 우리말) 싸가지/소갈머리 --> 늘품/늧 id: moneyplan 2006-11-13 4907
2399 [2006/11/27] 우리말) 저희 집 애들은 참 띠앗이 참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6-11-27 4899
2398 [2017/11/09] 우리말) 사열 머니북 2017-11-10 4895
2397 [2006/12/28] 우리말) 용서하고 풀치고... id: moneyplan 2006-12-28 4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