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0] 우리말) 쭉신

조회 수 2891 추천 수 0 2016.04.22 08:39:29

가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구두를 닦는데 그때 혹시 구두를 신을 일이 있을까 봐 임시로 가져다 놓은 낡은 구두도 있습니다.
그런 구두를 '쭉신'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즐거운 수요일입니다. 오늘은 야근하지 않는 날이거든요. ^^*

저는 일터에 신이 4개 있습니다.

아침에 일터에 나올 때와 저녁에 집에 갈 때 신는 검은색 운동화가 있고요.
낮에 신는 구두가 있습니다.
가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구두를 닦는데 그때 혹시 구두를 신을 일이 있을까 봐 임시로 가져다 놓은 낡은 구두도 있습니다.
그런 구두를 '쭉신'이라고 합니다.
"해지고 쭈그러진 헌 신"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흔히 슬리퍼라고 하는 실내화도 있습니다.
슬리퍼(slipper)는 
실내에서 신는 신으로 뒤축이 없이 발끝만 꿰게 되어 있습니다.

같은 뜻으로 
뒤축은 없고 발의 앞부분만 꿰어 신는 신을 '끌신'이라고 합니다.
뒤축이 없어 끌고다니는 신이니 끌신이죠. ^^*

제 일터에는
운동화, 구두, 쭉신, 끌신 이렇게 신발 네 개가 있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징크스]



안녕하세요.


저는 징크스가 하나 있습니다.

우리말 편지를 보내면서 실수를 하면 연이어 몇 번 실수가 이어집니다.

평소보다 더 조심한다고 하는데도 꼭 실수가 연달아 이어집니다.



어제 제가 띄어쓰기를 잘못 설명드려서 실수했다는 말씀을 드렸는데 그 편지에도 틀린 게 있었네요.

'보건복지가족부의 '홈리스'라는 법률용어를 가름할 우리말을 찾고 있습니다.'라고 했는데,

'가름할'이 아니라 '갈음할'이 맞습니다.

가름은 쪼개거나 나누어 따로따로 만드는 것이고,

갈음은 다른 것으로 바꾸어 대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홈리스라는 낱말을 바꿀 우리말을 찾는 것은 가름할 우리말을 찾는다고 해야 바릅니다.



며칠 전에 보낸 편지에서도 실수가 있었습니다.

"곧게 펴거나 벌리는 모양"은 '쭉'이 아니라 '죽'입니다라고 말씀 드렸는데,

쭉은 죽의 센말입니다. 마땅히 표준말입니다.

제가 실수했습니다.



이런 게 바로 제 징크스입니다.

한번 실수하면 연달아 실수가 일어납니다. 거 참 이상합니다. ^^*



본디 징크스(jinx)는 

고대 그리스에서 불길한 징후를 나타내는 새의 이름에서 왔다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불길한 일', '재수 없는 일'로 다듬었습니다.



누가 그러더군요. 징크스는 깨라고 있는 것이라고...

우리말편지에서 실수했다면, 더 꼼꼼하게 봐서 다시는 그런 실수를 하지 않으면 제 징크스는 깨지는 거죠? 

그렇게 해 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3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59
2636 [2006/09/26] 우리말) 허접 쓰레기? 허섭스레기 id: moneyplan 2006-09-26 5314
2635 [2006/09/27] 우리말) 유감에 유감? id: moneyplan 2006-09-28 4900
2634 [2006/09/28] 우리말) 택배가 느리게 왔어요 id: moneyplan 2006-09-28 4875
2633 [2006/09/29] 우리말) 이걸 처먹으라고? id: moneyplan 2006-09-29 5097
2632 [2006/09/30] 우리말) 웜 비즈? 쿨 비즈? id: moneyplan 2006-09-30 4819
2631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6151
2630 [2006/10/04] 우리말) 즐거운 추석 되세요. -> 아니요. 싫은데요. id: moneyplan 2006-10-08 5617
2629 [2006/10/09] 우리말) 우리말 훼방꾼? 우리말 헤살꾼! id: moneyplan 2006-10-09 4576
2628 [2006/10/09] 우리말) 돈 될 천 원짜리 지폐 id: moneyplan 2006-10-09 4329
2627 [2006/10/10] 우리말) 밥먹고 삽시다 id: moneyplan 2006-10-10 5595
2626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644
2625 [2006/10/12] 우리말) 굽실대다 id: moneyplan 2006-10-12 4541
2624 [2006/10/13] 우리말) 알타리김치,총각김치,홀아비김치 id: moneyplan 2006-10-14 5851
2623 [2006/10/14] 우리말) 가을이 오는 속도 id: moneyplan 2006-10-14 6065
2622 [2006/10/16] 우리말) 아싸리 말해서 이거 똔똔입니다 id: moneyplan 2006-10-16 6030
2621 [2006/10/17] 우리말) 천상 제날짜에 가야지... id: moneyplan 2006-10-17 5420
2620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642
2619 [2006/10/19] 우리말) 명란젓과 창난젓 id: moneyplan 2006-10-19 4433
2618 [2006/10/20] 우리말) 닦달하다 id: moneyplan 2006-10-20 4972
2617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