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1] 우리말) 곡우

조회 수 3938 추천 수 0 2016.04.22 08:40:06

24절기의 하나로, 청명과 입하 사이에 들어 있는 절기 곡우.
穀雨에서 볼 수 있듯이, 이맘때 비가 내려 여러 가지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부터 비가 내렸습니다.
곡우 때 비가 오면 좋다는데, 저는 별로...
비가 내리면 애와 같이 자전거 타고 일터에 나올 수 없거든요. ^^*

24절기의 하나로, 청명과 입하 사이에 들어 있는 절기 곡우.
穀雨에서 볼 수 있듯이, 이맘때 비가 내려 여러 가지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입니다.
예전에 하늘만 바라보고 농사지을 때는 가장 중요한 절기였으리라 봅니다.
이날은 마땅히 비가 내려야 하고,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가 말라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말이 있습니다.

오늘은 좀 다른 이야기...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를 때가 곡우 무렵이라고 합니다. 이맘때 나무 수액을 마시고자 곡우 전에 미리 상처 낸 나무에 통을 달아두고 여러 날 동안 나무에서 물을 받습니다.
경칩 무렵에 나오는 고로쇠물은 여자 물이라 하여 남자들에게 더 좋고, 곡우때 자작나무에서 나오는 거자수는 남자 물이라 하여 여자들에게 더 좋다고 합니다.
또, 곡우 때가 되면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북상하여 격렬비열도 근처로 올라오는데 그때 잡는 조기는 살이 적지만 연하고 맛있어 '곡우살이'라고 해서 귀하게 여깁니다.
찻잎을 따서 녹차를 만드는데, 곡우 전에 딴 잎으로 만든 차는 '우전'이라고 해서 특별하게 만드는데, 우전이, 곡우 전이라는 뜻입니다.

자연과 함께하는 것은 좋은데, 자연을 너무 착취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해봅니다.
환경은, 내가 누릴 대상이 아니라, 아끼고 잘 쓰다가 후손에게 물려줘야 할 유산입니다.
달리 보면, 자연환경은 후손으로부터 잠시 빌려와 우리가 쓰고 있는 겁니다.

꽃도 자연입니다.
아름다운 꽃을 보고 느끼며 사랑하듯,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며 자연과 하나 되는 삶을 살고자 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이런 젠장...]


안녕하세요.


뭔가 뜻에 맞지 않고 불만스러울 때 혼자 욕으로 하는 말이 '젠장'입니다.

딱 어제 같은 경우죠.

기껏 사과하면서 제대로 알려 드린다고 해놓고 또 틀렸으니 '젠장'보다 더한 말이 나오지 않는 게 다행입니다. ^^*



'젠장'은 '제기 난장'에서 왔다고 합니다.

'제기'는 '제기랄'할 때의 '제기'로 "형사고발하다"라는 뜻입니다.

'난장'은 고려나 조선시대 때 이곳저곳을 마구 때리던 형벌의 일종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제기 난장'이라고 하면 '형사고발하여 여기저기 두들겨 맞다'라는 뜻이 되죠.

좀 억지스럽긴 하지만 

어쨌든 뭔가 제 뜻에 맞지 않은 때 쓰는 말입니다.



오늘은 '제기랄'이나 '젠장'이라고 혼자 중얼거릴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9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80
2516 [2017/01/12] 우리말) 흔줄 머니북 2017-01-13 3004
2515 [2017/01/11] 우리말) 우리말 사랑 머니북 2017-01-13 3472
2514 [2017/01/10] 우리말) 트롯트와 트롯 머니북 2017-01-10 3397
2513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3527
2512 [2017/01/02] 우리말) 끄트머리와 실마리 머니북 2017-01-02 3373
2511 [2016/12/29] 우리말) 올 한 해 읽은 책을 정리했습니다. 머니북 2016-12-29 3490
2510 [2016/12/28] 우리말) 올 한 해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를 모았습니다. 머니북 2016-12-29 3051
2509 [2016/12/27] 우리말) 해끝 머니북 2016-12-29 3564
2508 [2016/12/26] 우리말) 해넘이와 해맞이 머니북 2016-12-26 4452
2507 [2016/12/23] 우리말) 잉꼬부부와 원앙부부 머니북 2016-12-25 3724
2506 [2016/12/22] 우리말) 날개짓과 날갯짓 머니북 2016-12-23 3775
2505 [2016/12/21] 우리말) 첫걸음 머니북 2016-12-23 3732
2504 [2016/12/20] 우리말) 뚝배기와 곱빼기 머니북 2016-12-21 3720
2503 [2016/12/19] 우리말) 성 중립 언어 머니북 2016-12-20 3198
2502 [2016/12/16] 우리말) 거멀못 머니북 2016-12-19 3284
2501 [2016/12/15] 우리말) 혼밥, 혼술, 혼영, 혼말? 머니북 2016-12-19 3524
2500 [2016/12/14] 우리말) ‘살처분’에 숨겨진 의미 머니북 2016-12-15 4554
2499 [2016/12/13] 우리말) 자치동갑 머니북 2016-12-14 3313
2498 [2016/12/12] 우리말) 짐승의 어미와 새끼 머니북 2016-12-13 3673
2497 [2016/12/09] 우리말) AI, 우리말에 숙제를 던지다 머니북 2016-12-12 3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