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및 각종 언론에 나타나는 실생활에 밀접한 경제뉴스를 간단한 멘트와 함께 클리핑 해드립니다.

■?프리미엄 내세운 '꼼수 인상' 결국 공정위로

일부 식품업체들이 교묘한 방법으로 제품가격을 올려 소비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는데 공개적으로 가격을 올리기 부담이 되자 소비자를 현혹하는 편법을 쓰고 있는 것이라고. 이 같은 편법 가격인상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는 8일 "식품업체들이 프리미엄 제품이라는 이유로 가격을 올리면서 실제와 다른 과도한 광고를 하는 것은 관련 법을 어기는 것"이라며 "위반 여부를 조사해 내달 중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미 '신라면 블랙', 롯데제과의 '월드콘XQ', 코카콜라음료의 '조지아 오리지널 캔커피' 등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조선비즈] 기사 더 보기


■?돈만 떼먹는 ‘카페형 쇼핑몰’ 조심하세요

인터넷 포털사이트내에 이른바 '카페형' 쇼핑몰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면서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데 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전국 지방자치단체(서울 제외)에 등록된 카페형 온라인 쇼핑몰 108곳을 모니터링 한 결과 무려 78개 업체(72%)가 카페 초기화면에 공개한 정보와 실제 등록정보가 달랐다고. 카페형 쇼핑몰은 일반 온라인 쇼핑몰과 달리 '도메인'(인터넷 주소)과 서버가 필요없어 누구나 소자본으로 운영할 수 있는데 소비자로서는 보기 드문 수입품 등을 싸게 살 수 있다는 게 강점이지만, 등록정보가 부실하거나 구매비만 챙기고 물품 배송은 나몰라라 하는 쇼핑몰이 상당하다고.

[세계일보] 기사 더 보기


■?“요즘 재테 크 1년만기 금융상품 대세”

13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우세한데 양도성예금증서(CD) 3개월물 금리는 연 3.46%로 28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고 주식·부동산 시장 전망은 혼미하다고. 시중은행 PB 3명에게 조언을 청했는데 ▲단기 자금운용에 지나치게 몰두하지 말 것 ▲현재 갖고 있는 고금리 대출을 점검할 것 ▲연금 등 장기투자상품을 탐색할 것 등을 제안했다고.

[서울신문] 기사 더 보기


■?가계 13% 이자 연체… ‘빚폭탄’ 오나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10년 가계금융조사(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6개월 동안 이자 지급을 연체한 가구는 전체의 13.0%를 차지했으며 원급 미상환 가구는 10.3%로 조사됐다고. 이자 연체 이유로는 소득감소(47.3%)가 가장 많았고 ▲예상치 못한 지출 발생(24.5%) ▲자금융통 차질(15.2%) ▲이자지급일 착오 등 기타(13.0%) 순으로 집계됐으며 원금을 갚지 못한 이유로는 저축을 통한 상환자금 마련 실패(43.7%)가 첫번째 이유로 꼽혔고 ▲부동산 처분 등을 통한 상환자금 조달계획 차질(17.6%) ▲금융기관의 만기연장 불허(8.3%) 등이 뒤를 이었다. 소득감소·실직·입원 등 기타사유가 30.4%를 차지했다고.?

[서울신문] 기사 더 보기


■?리스크 측면에선 ‘전월세 보증금’도 부채

경제시스템의 '리스크' 측면을 생각한다면, 임대보증금도 가계부채에 포함시키는 게 더 설득력을 지닌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집값이 떨어지면서 임대보증금의 상환과 회수가 문제가 되는 '역전세난'을 경험한 바 있다.

[한겨레] 기사 더 보기


■?자존심 상하면 명품을 지른다

'우울할 때면 카드를 긁는다'고 말하는 여성들이 있다. 화려한 옷이나 가방을 보면 잠시나마 위안을 얻는다는 것. 실제 심리실험에서 자존심이 상했을 때 신용카드를 이용한 충동구매가 느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것도 명품 구매에서 두드러졌다고.( 영국 런던경영대학원과 미국 코넬대 연구진은 심리실험)

[조선비즈] 기사 더 보기


■?겁없이… 개인들 로또 사듯 파생상품 투기

파생상품은 주식이나 채권·통화 등의 자산가격 급변에 따른 투자 손실을 조금이라도 줄이거나 소액으로 높은 수익을 내는 '지렛대 효과'를 위해 만들어진 금융상품인데 우리나라가 거래량 기준으로 세계 1위를 자랑하는 시장이라고. 하지만 파생상품 시장은 이제 개인 투자자들에게 '대박'을 노리는 투기장으로 변질됐는데 세계 1위라는 화려한 성적표 이면에는 투기와 시세조종, 불법적인 돈거래가 판치고 있는 것이라고.

[조선비즈] 기사 더 보기


계좌통합 기능으로 가계부를 대신 써 주는 머니북(MoneyBook) www.moneybook.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58 [9/14] 가정경제뉴스 - "추석택배 반송됐으니 주민번호 말해라?"…'사기' 주의. file moneybook2 2010-09-14 4332
657 [06/25(月)] 가정경제뉴스 - 일은 하루 12시간 수입은 月100만원 ‘개미 사장’의 절규 머니북 2012-06-25 4332
» [05/09(月)] 가정경제뉴스 - 프리미엄 내세운 '꼼수 인상' 결국 공정위로 머니북 2011-05-09 4332
655 [07/05(木)] 가정경제뉴스 - 가계 은행빚 올해 100조 만기…가구당 8천만원 머니북 2012-07-05 4333
654 [05/13(月)] 가정경제뉴스 - 은행 정기예금 평균 금리 역대 최저 머니북 2013-05-13 4334
653 [10/14(金)] 가정경제뉴스 - 롯데제과 100% 성분 자일리톨껌 인증받고, 시중엔 60~80% 함유 제품 팔아 머니북 2011-10-14 4335
652 [01/18(水)] 가정경제뉴스 - 병원비 내기전 실손보험금 받는다 머니북 2012-01-18 4335
651 [09/24(月)] 가정경제뉴스 - 사라진 추석 대목..서민 지갑 '꽁꽁' 닫혔다 머니북 2012-09-24 4336
650 [06/05(水)] 가정경제뉴스 - 은행권 3%대 초반 '고정금리 재형저축' 7월 출시 머니북 2013-06-05 4338
649 [12/17] 가정경제뉴스 - 끝나지 않은 치킨전쟁… 목청 높이는 소비자들 머니북 2010-12-17 4339
648 [10/18(木)] 가정경제뉴스 - 작년 문 닫은 자영업자 83만명…4년來 최대 머니북 2012-10-18 4339
647 [10/29(月)] 가정경제뉴스 - 식기세척기, 국산이 더 ‘뽀득뽀득’ 머니북 2012-10-29 4339
646 [01/02(水)] 가정경제뉴스 - 올해 역시 소비 키워드는 '알뜰' 머니북 2013-01-02 4339
645 [12/08] 가정경제뉴스 - 수도권 미분양 15년來 최다..악성.대형 '눈덩이' 머니북 2010-12-08 4340
644 [03/18(금)] 가정경제뉴스 - 실손보험료 내달 최대10% 인상 머니북 2011-03-18 4340
643 [11/01(木)] 가정경제뉴스 - 자영업자들 희망이 안보인다… 대출로 버티다 430조 ‘빚더미’ 머니북 2012-11-01 4341
642 [03/07(월)] 가정경제뉴스 - 반찬?간식?나들이 줄여도…매달 지출은 늘었다 머니북 2011-03-07 4345
641 [02/24(목)] 가정경제뉴스 - 자동차 보험료 아끼는 7가지 방법은? moneybook 2011-02-24 4346
640 [10/16(火)] 가정경제뉴스 - 성장 따로 고용 따로…일자리는 제자리 머니북 2012-10-16 4346
639 [05/25(水)] 가정경제뉴스 - 카드 여러장 보유한 사람 신용등급 '뚝' 머니북 2011-05-25 4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