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피'를 '-고 싶다'를 떠올려 '-다싶이'로 쓰면 틀립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서
제가 신문기사를 따다 써도 법에 걸리지 않는지를 여쭤봤는데 아무도 답장을 안 주셨습니다.
아마 그쪽을 아시는 분이 안 계신가 봅니다. ^^*

오늘은 '-다시피'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시피'는 씨끝(어미)으로 
알다, 보다, 느끼다, 짐작하다 따위 지각을 나타내는 움직씨(동사) 뒤에 붙어)) '-는 바와 같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입니다.
너도 잘 알다시피 내게 무슨 힘이 있니?, 보시다시피 제 손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처럼 씁니다.
'-었-', '-겠-' 뒤에 붙어 어떤 동작에 가까움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시간이 없어서 거의 뛰다시피 급히 걸어갔다, 그는 연구실에서 살다시피 했다처럼 쓰는 게 그렇습니다.

'-다시피'를 '-고 싶다'를 떠올려 '-다싶이'로 쓰면 틀립니다.

아시다시피, 저는 이윤을 목적으로 우리말 편지를 보내는 게 아닙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신문기사를 따다 쓰고 어디서 따왔다고만 밝히면 별문제 없을 것 같기는 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독농가와 모범 농가]



안녕하세요.



어젯밤 12:11분에 KBS1에서 출연자가 "혼자 농사를 짓는 독농가..."라고 말을 했고,

자막에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독농가'는 혼자서 농사를 짓는 獨농가가 아닙니다.

'독농가'는 篤農家로 모범 농가라는 뜻입니다.



이 말은 일본말에서 왔습니다.

篤農이라 쓰고 とくのう[도꾸노우]라 읽으며 뜻은 "독실한 농사꾼"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독농가'가 아니라 '모범 농가'나 '우수 농가'가 바르다고 봅니다.



짧은 제 생각에,

우리 사전에는 우리가 거의 쓰지 않는 한자말이 너무 많이 실려 있다고 봅니다.

그래놓고 우리말의 70%가 한자라고 이야기한다면 앞뒤가 맞지 않는 게 아닐까요?

그냥 제 생각입니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독서칼럼이라는 곳에 제 글이 올랐네요.

마침 그 글이 '독농가'로 시작합니다.

http://www.nlcy.go.kr:8085/column/main/main.php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7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91
1556 [2012/04/17] 우리말) 문해율 머니북 2012-04-17 3556
1555 [2012/11/30]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2-11-30 3556
1554 [2014/11/14] 우리말) 불임과 난임 머니북 2014-11-14 3556
1553 [2016/12/16] 우리말) 거멀못 머니북 2016-12-19 3556
1552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556
1551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3557
1550 [2008/01/09] 우리말) 속긋 id: moneyplan 2008-01-09 3557
1549 [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5-10 3557
1548 [2013/06/11] 우리말) 압존법 머니북 2013-06-11 3558
1547 [2010/08/31] 우리말) 밍밍하다와 닝닝하다 moneybook 2010-08-31 3559
1546 [2017/01/31] 우리말) 벼슬과 볏 머니북 2017-01-31 3559
1545 [2007/06/26] 우리말) 판사는 ㄷㄹ지고 ㄷㄸ야합니다 id: moneyplan 2007-06-26 3560
1544 [2007/09/19] 우리말) 포도와 클러스터 id: moneyplan 2007-09-19 3560
1543 [2007/09/29] 우리말) '고향 방문을 환영합니다.'에서 틀린 곳이 있습니다. 어딜까요? id: moneyplan 2007-10-01 3560
1542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560
1541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560
1540 [2014/08/27] 우리말) 어떻게/어떡해 머니북 2014-08-27 3561
1539 [2016/08/01] 우리말) 굳이 머니북 2016-08-10 3562
1538 [2009/09/04] 우리말) 이런 젠장... id: moneyplan 2009-09-04 3563
1537 [2015/01/14] 우리말) 저녁과 저물녘 머니북 2015-01-14 3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