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피'를 '-고 싶다'를 떠올려 '-다싶이'로 쓰면 틀립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서
제가 신문기사를 따다 써도 법에 걸리지 않는지를 여쭤봤는데 아무도 답장을 안 주셨습니다.
아마 그쪽을 아시는 분이 안 계신가 봅니다. ^^*

오늘은 '-다시피'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시피'는 씨끝(어미)으로 
알다, 보다, 느끼다, 짐작하다 따위 지각을 나타내는 움직씨(동사) 뒤에 붙어)) '-는 바와 같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입니다.
너도 잘 알다시피 내게 무슨 힘이 있니?, 보시다시피 제 손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처럼 씁니다.
'-었-', '-겠-' 뒤에 붙어 어떤 동작에 가까움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시간이 없어서 거의 뛰다시피 급히 걸어갔다, 그는 연구실에서 살다시피 했다처럼 쓰는 게 그렇습니다.

'-다시피'를 '-고 싶다'를 떠올려 '-다싶이'로 쓰면 틀립니다.

아시다시피, 저는 이윤을 목적으로 우리말 편지를 보내는 게 아닙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신문기사를 따다 쓰고 어디서 따왔다고만 밝히면 별문제 없을 것 같기는 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독농가와 모범 농가]



안녕하세요.



어젯밤 12:11분에 KBS1에서 출연자가 "혼자 농사를 짓는 독농가..."라고 말을 했고,

자막에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독농가'는 혼자서 농사를 짓는 獨농가가 아닙니다.

'독농가'는 篤農家로 모범 농가라는 뜻입니다.



이 말은 일본말에서 왔습니다.

篤農이라 쓰고 とくのう[도꾸노우]라 읽으며 뜻은 "독실한 농사꾼"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독농가'가 아니라 '모범 농가'나 '우수 농가'가 바르다고 봅니다.



짧은 제 생각에,

우리 사전에는 우리가 거의 쓰지 않는 한자말이 너무 많이 실려 있다고 봅니다.

그래놓고 우리말의 70%가 한자라고 이야기한다면 앞뒤가 맞지 않는 게 아닐까요?

그냥 제 생각입니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독서칼럼이라는 곳에 제 글이 올랐네요.

마침 그 글이 '독농가'로 시작합니다.

http://www.nlcy.go.kr:8085/column/main/main.php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1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0
336 [2016/04/08] 우리말) 떡볶이와 떡볶기 머니북 2016-04-11 3705
335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083
334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3057
333 [2016/04/14] 우리말) 수도가 -> 수돗가 머니북 2016-04-16 3196
332 [2016/04/15] 우리말) 아름다운 바라지 머니북 2016-04-16 3032
331 [2016/04/18] 우리말) 쓰임새 많은 바둑 용어 머니북 2016-04-19 3024
330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3069
329 [2016/04/20] 우리말) 쭉신 머니북 2016-04-22 2872
328 [2016/04/21] 우리말) 곡우 머니북 2016-04-22 4155
327 [2016/04/22] 우리말) 생사여부 머니북 2016-04-22 3910
326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795
325 [2016/04/26] 우리말) 얘기와 예기 머니북 2016-04-27 3698
324 [2016/04/27] 우리말) 에누리와 차별 머니북 2016-04-29 3311
» [2016/04/28] 우리말) '~다시피'와 '~다싶이' 머니북 2016-04-29 3464
322 [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머니북 2016-04-29 3120
321 [2016/05/02] 우리말) 토끼풀과 클로버 머니북 2016-05-02 3205
320 [2016/05/03] 우리말) 밖에 없다/뿐이다 머니북 2016-05-03 3013
319 [2016/05/04] 우리말) 어휘 부족, 국한문 혼용 머니북 2016-05-09 2933
318 [2016/05/09] 우리말) 집가심과 볼가심 머니북 2016-05-10 4634
317 [2016/05/10] 우리말) 수고하세요 머니북 2016-05-11 3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