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조회 수 3088 추천 수 0 2016.04.29 19:16:34

우리말 ‘주접’은 이런저런 탓으로 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일을 표현하는 말이다.

안녕하세요.

반가운 주말입니다. ^^*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주접스럽다]
우리말 ‘주접’은 이런저런 탓으로 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일을 표현하는 말이다. “아기가 주접 한번 끼는 법 없이 무럭무럭 잘 자랍니다.”라고 쓸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주접’은 또, 옷차림이 초라하고 너절한 것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오랜 노숙 생활에 코트며 바지에 주접이 가득 끼었다.” 하고 말한다.
이 말이 동사로 쓰이면 ‘주접부리다’고 하는데, 추하고 염치없는 짓을 한다는 뜻이다. 이런 행동을 흔히 ‘주접떨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재미있는 것은, ‘주접대다’라고 표현하면 조금 색다른 뜻이 된다는 것이다. 잔칫집이나 뷔페에 가면 먹다 남은 음식을 눈치껏 비닐봉지에 싸서 손가방에 챙겨가는 사람이 있는데, 그러한 행동을 ‘주접대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말은 “음식에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는 짓을 한다.”는 뜻이다.
주접이 형용사로 쓰인 ‘주접스럽다’도 가령, “그 아주머니는 잔칫집만 가면 주접스럽게 뭘 싸가지고 온다.”처럼 음식에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는 짓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남편 옷차림이 주접스러워서 같이 못 다니겠다.”처럼, 볼품이 없고 어수선한 모습을 ‘주접스럽다’고 한다. 이 말에 더럽다는 뜻이 강조되어 ‘추접스럽다’란 말이 쓰이게 된 것이다. 그러나 경상도 지방에서 쓰고 있는 ‘추접다’라는 말은 표준말이 아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목메다와 목매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낱말 하나 갈라볼게요.

'목매다'와 '목메다'입니다.

소리가 비슷하고 쓰는 것도 비슷해서 저도 늘 헷갈립니다.

하긴, 헷갈릴 때는 사전 찾아보는 게 으뜸이죠. ^^*



'목매다'는 죽거나 죽이려고 끈이나 줄 같은 것으로 높은 곳에 목을 걸어 매다는 것과, 어떤 일이나 사람에게 전적으로 의지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목메다'는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는 뜻입니다.



쉽게 갈라,

'목매다'는 죽는 것이고, '목메다'는 기쁜 겁니다. ^^*

한 끗 차이로 삶과 죽음을 오가네요.



우리말 속담에

'목맨 송아지'라는 게 있습니다.

남의 제어를 받아 끌려다니는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오늘은 왠지

'목매다'는 잊고 '목메다'만 외우고 싶습니다. ^^*



오늘도 기쁘고 즐거운 일이 많이 일어나 목메고 싶네요.(말이 되나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내기)



밑에서 둘째 줄 '목메고 싶네요'라고 '-네요'를 썼는데요.

그 자리에 '네요'를 쓰지 않고 '싶습니다'를 쓰니 좀 어색하네요.

바로 앞에서도 썼고... 그래서 그냥 '네요'를 썼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625
2456 [2008/05/07] 우리말) 족적과 발자취 id: moneyplan 2008-05-08 3053
2455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053
2454 [2014/11/17] 우리말) 막냇동생 머니북 2014-11-17 3056
2453 [2015/12/04] 우리말) 엉터리와 터무니 머니북 2015-12-07 3056
2452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3056
2451 [2010/08/12] 우리말) 야코 moneybook 2010-08-12 3057
2450 [2017/01/12] 우리말) 흔줄 머니북 2017-01-13 3057
2449 [2009/07/24] 우리말) 직수굿하다 id: moneyplan 2009-07-24 3059
2448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3059
2447 [2015/05/26] 우리말) 불을 켜고 물을 켜고 기지개 켜고 머니북 2015-05-26 3061
2446 [2016/03/17] 우리말) '잎새'도 표준말입니다. 머니북 2016-03-18 3061
2445 [2009/05/25] 우리말) 조문의 뜻풀이 id: moneyplan 2009-05-26 3063
2444 [2009/03/10] 우리말) 스킨십도 외래어? id: moneyplan 2009-03-10 3064
2443 [2009/03/18] 우리말) 사람 소개하는 방법 id: moneyplan 2009-03-18 3064
2442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3065
2441 [2009/05/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5-12 3066
2440 [2010/07/08] 우리말) 처서가 아니라 소서 moneybook 2010-07-08 3066
2439 [2008/12/1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12-13 3068
2438 [2009/07/09] 우리말) 도리기와 도르리 id: moneyplan 2009-07-09 3068
2437 [2014/03/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ㄴㄲ하다) 머니북 2014-03-18 3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