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조회 수 3075 추천 수 0 2016.04.29 19:16:34

우리말 ‘주접’은 이런저런 탓으로 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일을 표현하는 말이다.

안녕하세요.

반가운 주말입니다. ^^*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주접스럽다]
우리말 ‘주접’은 이런저런 탓으로 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일을 표현하는 말이다. “아기가 주접 한번 끼는 법 없이 무럭무럭 잘 자랍니다.”라고 쓸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주접’은 또, 옷차림이 초라하고 너절한 것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오랜 노숙 생활에 코트며 바지에 주접이 가득 끼었다.” 하고 말한다.
이 말이 동사로 쓰이면 ‘주접부리다’고 하는데, 추하고 염치없는 짓을 한다는 뜻이다. 이런 행동을 흔히 ‘주접떨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재미있는 것은, ‘주접대다’라고 표현하면 조금 색다른 뜻이 된다는 것이다. 잔칫집이나 뷔페에 가면 먹다 남은 음식을 눈치껏 비닐봉지에 싸서 손가방에 챙겨가는 사람이 있는데, 그러한 행동을 ‘주접대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말은 “음식에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는 짓을 한다.”는 뜻이다.
주접이 형용사로 쓰인 ‘주접스럽다’도 가령, “그 아주머니는 잔칫집만 가면 주접스럽게 뭘 싸가지고 온다.”처럼 음식에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는 짓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남편 옷차림이 주접스러워서 같이 못 다니겠다.”처럼, 볼품이 없고 어수선한 모습을 ‘주접스럽다’고 한다. 이 말에 더럽다는 뜻이 강조되어 ‘추접스럽다’란 말이 쓰이게 된 것이다. 그러나 경상도 지방에서 쓰고 있는 ‘추접다’라는 말은 표준말이 아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목메다와 목매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낱말 하나 갈라볼게요.

'목매다'와 '목메다'입니다.

소리가 비슷하고 쓰는 것도 비슷해서 저도 늘 헷갈립니다.

하긴, 헷갈릴 때는 사전 찾아보는 게 으뜸이죠. ^^*



'목매다'는 죽거나 죽이려고 끈이나 줄 같은 것으로 높은 곳에 목을 걸어 매다는 것과, 어떤 일이나 사람에게 전적으로 의지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목메다'는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는 뜻입니다.



쉽게 갈라,

'목매다'는 죽는 것이고, '목메다'는 기쁜 겁니다. ^^*

한 끗 차이로 삶과 죽음을 오가네요.



우리말 속담에

'목맨 송아지'라는 게 있습니다.

남의 제어를 받아 끌려다니는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오늘은 왠지

'목매다'는 잊고 '목메다'만 외우고 싶습니다. ^^*



오늘도 기쁘고 즐거운 일이 많이 일어나 목메고 싶네요.(말이 되나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내기)



밑에서 둘째 줄 '목메고 싶네요'라고 '-네요'를 썼는데요.

그 자리에 '네요'를 쓰지 않고 '싶습니다'를 쓰니 좀 어색하네요.

바로 앞에서도 썼고... 그래서 그냥 '네요'를 썼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3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401
2556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195
2555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6181
2554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6178
2553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6158
2552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6144
2551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143
2550 [2013/09/30] 우리말) 굉장히 머니북 2013-09-30 6134
2549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6117
2548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6109
2547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6102
2546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6088
2545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6083
2544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6062
2543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6061
2542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6060
2541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6057
2540 [2006/12/13] 우리말) 시간 참 잘가죠? id: moneyplan 2006-12-13 6054
2539 [2006/11/16] 우리말) 난이도가 있다? 난이도가 높다? id: moneyplan 2006-11-16 6049
2538 [2006/10/14] 우리말) 가을이 오는 속도 id: moneyplan 2006-10-14 6027
2537 [2013/08/29] 우리말) 점잔과 점잖 머니북 2013-08-29 6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