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센트 포인트는 백분율이 아니라, 기존에 제시된 퍼센트 숫자에 비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든 수만을 나타낸 것이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날씨가 좋겠죠? 주말도 날씨가 좋을 것 같습니다. ^^*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신문 경제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어 가운데, “아파트값이 몇 퍼센트 올랐다.” 또는 “금리가 몇 퍼센트 포인트 올랐다.”와 같은 표현들이 있다. 이때의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는 전혀 다른 의미인데, 이를 잘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퍼센트 올랐다는 것은, 기존의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올라간 수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반면에, 몇 퍼센트 포인트 올랐다는 것은, 기존에 제시된 퍼센트가 숫자상으로 얼마나 늘어났는지를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40 퍼센트만큼 올라 있는 어떤 물건의 가격이 다시 올라 60 퍼센트만큼 오른 셈이 되었다면, 이 물건의 가격은 퍼센트로는 50 퍼센트 오른 것이고, 퍼센트 포인트로는 20 퍼센트 포인트 오른 것이다. 또 50 퍼센트만큼 진척되어 있는 아파트 공사가 60 퍼센트로 변화되었다면, 퍼센트로는 20 퍼센트 더 진척된 것이고, 퍼센트 포인트로는 10 퍼센트 포인트 더 진척된 것이다.

그러므로 퍼센트는 100 퍼센트 안에 있는 어떤 기준에 대한 변화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고, 퍼센트 포인트는 백분율이 아니라, 기존에 제시된 퍼센트 숫자에 비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든 수만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퍼센트’는 ‘프로’와 같은 말이므로, “몇 퍼센트 올랐다.”를 “몇 프로 올랐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퍼센트 포인트’를 “몇 포인트 올랐다.”처럼 ‘포인트’로 줄여서 쓰는 것은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해쌀과 햅쌀]



안녕하세요.



오늘은 긴팔을 입고 나왔습니다. 반소매를 입고 나오다보니 좀 쌀쌀하더군요. ^^*



어제 말씀드린 대로 

"그해에 난"이라는 뜻의 앞가지는 '해'이고 뒤에 오는 낱말에 따라 사이시옷을 넣어 적습니다.

햇감자, 햇과일, 햇것, 햇병아리, 햇비둘기, 햇솜, 햇순, 햇나물로 쓰고,

해쑥, 해팥, 해땅콩으로 쓰는 게 바르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다만,

그 해에 난 쌀은 '해쌀'이 아닌 '햅쌀'인데 이 까닭은 '쌀'이 중세국어에서 'ㅂ살'처럼 낱말 첫머리에 'ㅂ' 소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게 현대국어에서 홀로 쓰일 때 'ㅂ' 소리가 나타나지 않다가 '입쌀', '찹쌀', '멥쌀', '햅쌀'처럼 몇몇 다른 낱말이나 앞가지(접두사)와 붙어 쓰일 때에는 'ㅂ' 소리가 살아나기 때문입니다.

현대국어에서는 이들의 실제 소리(발음)를 고려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고 있는 것이죠.



글을 쓰다 보니 햅쌀로 지은 밥을 먹고 싶네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긴팔'은 "길게 만든 옷소매 또는 그런 옷."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따라서 '긴팔을 입다'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3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401
316 [2009/04/30] 우리말)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5-06 3090
315 [2015/12/28] 우리말) 무엇이든 '가져야' 할까? 머니북 2015-12-28 3089
314 [2010/11/16] 우리말) 연패 moneybook 2010-11-17 3088
313 [2008/11/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8 3088
» [2016/05/13]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6-05-13 3086
311 [2009/07/06] 우리말) 두절개 id: moneyplan 2009-07-06 3087
310 [2015/11/20] 우리말) 엔담 머니북 2015-11-23 3086
309 [2014/08/13] 우리말) 머리숱 머니북 2014-08-13 3086
308 [2014/02/21] 우리말) 야로/개염/더펄이 머니북 2014-02-21 3086
307 [2009/05/21] 우리말) 이모씨 id: moneyplan 2009-05-21 3085
306 [2013/05/07] 우리말) 꽃비와 꽃보라 머니북 2013-05-07 3084
305 [2015/07/10] 우리말)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반대합니다. 머니북 2015-07-10 3083
304 [2014/09/16] 우리말) 매다와 메다 머니북 2014-09-16 3083
303 [2013/12/04] 우리말) 당초에 머니북 2013-12-06 3083
302 [2010/06/24] 우리말) 한켠과 한편 moneybook 2010-06-24 3083
301 [2014/04/10] 우리말) 정부 보도자료 평가단 머니북 2014-04-10 3082
300 [2008/10/08] 우리말) 해외와 나라밖 id: moneyplan 2008-10-08 3082
299 [2014/08/21] 우리말) 헹글헹글하다 머니북 2014-08-21 3081
298 [2014/01/29] 우리말) 커피 나오셨습니다 머니북 2014-01-29 3081
297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3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