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18] 우리말) 알맹이와 알갱이

조회 수 2830 추천 수 0 2016.05.18 11:50:15

.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침부터 좀 바쁘네요.
예전에 보낸 편지로 오늘 치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알맹이와 알갱이]

안녕하세요.

아침 뉴스에서 보니 황금벌판이 보이네요.
이런 때는 들판에 나가 눈을 기쁘게 해 줘야 만수무강이 좋을 것 같은데 이렇게 사무실에만 박혀 있네요. ^^*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합니다.
벼 알갱이가 꽉 찰수록 고개를 숙이는 게 마치 사람의 삶 같습니다.
알수록 겸손하고, 가질수록 나누고, 높이 오늘 록 아래를 봐야 하는 우리네 삶...

오늘은 알맹이와 알갱이를 갈라 볼게요.
벼 낟알을 알갱이라고 해야 하는지 알맹이라고 해야 하는지...
포도 알맹이가 맞는지 알갱이가 맞는지...

'알갱이'는 
곡식, 모래 따위와 같이 작고 동글동글하며 단단한 물질을 말하고,
'알맹이'는 
껍질이나 껍데기에 싸여 있는 작은 물질을 뜻합니다.

쉽게 가르자면,
껍데기가 있으면 '알맹이'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알갱이'를 쓰시면 됩니다.
다음 월 하나 외워두시면 헷갈리지 않으시겠네요.
'모레 알갱이가 묻어 포도 알맹이만 빼 먹고 껍질은 버렸다.'

오늘도 날씨가 무척 좋네요.
이 좋은 날씨만큼 기분 좋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껍질과 껍데기의 다른 점은 아시죠?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는 '껍질'이고,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이 '껍데기'입니다.

화투에서
끗수가 없는 패 짝을 피라고 하기도 하지만, 껍질이나 껍데기라고도 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3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08
56 [2013/04/26] 우리말) 군대 간 아들에게 책 소개 머니북 2013-04-26 9020
55 [2007/03/13] 우리말) 숫자 읽기 id: moneyplan 2007-03-13 9031
54 [2010/04/05] 우리말) 박진감 id: moneyplan 2010-04-05 9052
53 [2008/06/18] 우리말) 방귀 뀌다와 방구 끼다 id: moneyplan 2008-06-18 9121
52 [2006/08/21] 우리말)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합니다. id: moneyplan 2006-08-21 9155
51 [2006/08/22] 우리말) 잔치는 벌리는 게 아니라 벌이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6-08-22 9257
50 [2012/09/24] 우리말) 착한 남자 머니북 2012-09-24 9311
49 [2006/08/24] 우리말) 그게 희귀병이라고요? id: moneyplan 2006-08-24 9361
48 [2007/09/20] 우리말) 기울이다와 기우리다 id: moneyplan 2007-09-20 9450
47 [2006/08/15] 우리말) 갈마들다 id: moneyplan 2006-08-17 9464
46 [2011/08/04]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1-08-04 9486
45 [2006/08/16] 우리말) 고참의 구타 id: moneyplan 2006-08-17 9519
44 [2006/08/17] 우리말) 연루보다는 관련이, 관련보다는 버물다가 낫습니다 id: moneyplan 2006-08-17 9525
43 [2013/03/20] 우리말) '가사 피고가 경락을 경료해'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3-20 9622
42 [2015/05/26] 우리말) 끝물과 맏물 머니북 2015-05-28 9651
41 [2013/02/28] 우리말) 짐벙지다 머니북 2013-02-28 9746
40 [2006/08/26] 우리말) 공중화장실 ‘여성 변기’ 늘린다 id: moneyplan 2006-08-28 9820
39 [2006/12/21] 우리말) 기여가 아니라 이바지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1 9832
38 [2007/02/09] 우리말) 개조식/서술식 id: moneyplan 2007-02-09 9974
37 [2011/11/22] 우리말) 아름되 머니북 2011-11-22 1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