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20] 우리말) 조으다 -> 좋다

조회 수 2826 추천 수 0 2016.05.20 13:19:48

.

안녕하세요.

오늘은 세종시에서 편지를 씁니다.
어제저녁에 오랜만에 예전에 함께 일했던 동료를 만나서 재밌게 놀다가 이곳에서 잤거든요. 
거의 5년만에 다시 만났으니 마땅히 좋을 수밖에 없죠. ^^*

요즘 인터넷에서 좋은 것을  '조으다', 싫은 것을  '시르다'라고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고 합니다. 
좋으면 좋은 것이고, 싫으면 싫은 것이지, '조으다'는 뭐고 '시르다'는 뭔지 모르겠습니다.

한글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습니다.
'좋다'는 형용사로써 '용언'이며 '좋-'이 어간이고 '-은'이 어미입니다.
맞춤법 규정에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도록 되어 있으므로
'좋은'으로 적으면 됩니다. 소리나는 대로 '조으다'로 적으면 안 됩니다.
'싫다'도 마찬가지입니다. '시르다'가 아니라 '싫다'입니다.

친한 사람들이 만나면 술을 마실 때 건배사라는 것을 하는데요.
제가 요즘 잘 쓰는 게 있습니다.
어제도 그렇게 했습니다. ^^*
바로 '모내기'입니다.
요즘이 모내기 철인데다, 제가 농업과 관련된 일을 하잖아요.

모내기는
모 : 모처럼
내 :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기 : 기분 좋게 한잔하자
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코스모스와 살사리]

안녕하세요.

어제 제 일터 국감이 잘 끝나서 저녁에 동료와 한잔했습니다.
그 바람에 차를 일터에 두고가, 오늘 아침에는 애들과 같이 걸어서 일터에 나왔습니다.
일곱 살짜리 딸은 인라인을 타고,
다섯살짜리 아들은 자전거를 타고(뒤에 보조바퀴 달린 자전거),
저는 걷고... ^^*

천변을 걷다 보니 1킬로 넘게 코스모스 꽃길이 있네요.
출근길에 본 코스모스가 참 멋있더군요.

작년에던가 코스모스에 대한 편지를 쓴 적이 있습니다.
코스모스의 순 우리말은 살사리라고...
코스모스라고 하면 울긋불긋한 꽃만 생각나지만,
살사리꽃이라고 하면 가을바람에 살랑대며 바쁜 눈길을 잡는 멋진 꽃이 생각나지 않으세요?

우리 사전에
코스모스는 있지만 살사리나 살사리꽃은 없습니다.
어떤 사전에 보면 "코스모스의 잘못"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해바라기는 왜 선플라워의 잘못이라고 하지 않았나 모르겠습니다.

누가 뭐래도
선플라워보다는 해바라기가 멋지고,
클로버보다는 토끼풀이 예쁘고, 
코스모스보다는 살사리가 더 곱습니다.

솜다리꽃을 에델바이스라 하고,
붓꽃을 아이리스라 하며,
담쟁이덩굴을 아이비라고 해야 교양있는 사람으로 보이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오히려 살사리꽃이 사전에서 빠진 것을 두고 가슴 아파 하는 것이 더 멋진 사람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오늘 아침에 본 사랑밭새벽편지에 아래 글이 있네요.

세상에서 제일 불행한 사람은 웃지 않는 사람이고,
세상에서 제일 고통스러운 사람은 웃어지지 않는 사람이다. 

오늘이 한글날입니다.
오늘도 자주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1.
킬로그램과 킬로미터를 줄여 '킬로'라고 해도 됩니다.
따라서 앞에 쓴 '1킬로 넘게 코스모스 꽃길이 있네요.'가 틀린 게 아닙니다.

2.
한잔 : 간단하게 한 차례 마시는 차나 술 따위.
한 잔 : 한 잔, 두 잔할 때의 한 잔. 딱 한 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60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68
116 [2006/09/05] 우리말) 과일과 과실 id: moneyplan 2006-09-05 6412
115 [2006/12/06] 우리말) 우리나라 비단 자랑 id: moneyplan 2006-12-07 6450
114 [2007/01/31] 우리말) 회의자료 지참 --> 회의자료를 가지고 id: moneyplan 2007-01-31 6488
113 [2011/10/0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6 6496
112 [2013/09/13] 우리말) 고객관리 머니북 2013-09-13 6509
111 [2006/11/14] 우리말) 바람떡/개피떡 id: moneyplan 2006-11-14 6519
110 [2006/11/20] 우리말) 사바사바? 짬짜미! id: moneyplan 2006-11-20 6533
109 [2014/08/11] 우리말) "찻잔 속의 태풍"은 바른 말일까? 머니북 2014-08-11 6569
108 [2006/11/24]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06-11-24 6582
107 [2006/09/18] 우리말) 즐거운 비명 id: moneyplan 2006-09-18 6613
106 [2016/08/02] 우리말) 자처하다/자초하다 머니북 2016-08-10 6622
105 [2013/09/11] 우리말) 바른말 표어 공모 머니북 2013-09-11 6654
104 [2013/03/04] 우리말) 아파트를 쓸 때 @로 쓰시나요? 머니북 2013-03-04 6682
103 [2007/04/04] 우리말) 코사지, 꽃사지, 코르사주, 가슴꽃 id: moneyplan 2007-04-04 6684
102 [2006/12/05] 우리말) 어제 점심때 [달글] 먹었습니다 id: moneyplan 2006-12-05 6701
101 [2011/12/14]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1-12-14 6772
100 [2006/09/25] 우리말) 모듬과 모둠 id: moneyplan 2006-09-25 6778
99 [2010/01/11] 우리말) 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1-11 6798
98 [2013/09/09]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3-09-09 6814
97 [2006/09/02] 우리말) 저는 떠버리입니다 id: moneyplan 2006-09-04 6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