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27] 우리말) 남자와 여자

조회 수 5899 추천 수 0 2016.05.30 16:54:26

.

안녕하세요.

즐거운 주말입니다. ^^*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남자와 여자]
남자에 관한 우리말에는 주로 ‘바깥’이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바깥손님은 남자 손님, 바깥식구는 한 집안의 남자 식구, 바깥양반은 남편을 가리키는 말이다. 남편을 바깥양반이라 하는 데 반하여 아내를 안사람이라 한다. 남편(바깥)은 ‘양반’이라 올려주었고 아내(안)는 그저 ‘사람’을 붙여 구별 지었기 때문에, 바깥양반/안사람은 남녀를 차별하는 말이라고 볼 수 있다.

여자에 관한 말 가운데, ‘고명딸’이라 하면 아들 많은 이의 외딸을 가리킨다. 고명은 음식 맛을 돋우려고 음식 위에 살짝 얹어 놓는 것들(실고추, 버섯, 잣가루 등)을 일컫는 순 우리말이다. ‘까막과부’는 약혼한 남자가 혼인식을 하기도 전에 죽어서 시집도 가보지 못한 과부를 말한다. 시집 가지 않은 딸은 ‘아가딸’이라고 불렀다.

웃어른 앞에서는 자기 남편을 낮추어 ‘지아비’라 일컫는다. 아재나 아재비는 아저씨의 낮춤말이다. 다만, 경상도 지방에서 아저씨를 ‘아제’라 부르는 것은 방언일 뿐 낮춤말이라 볼 수 없다. 웃어른 앞에서 자기 아내를 낮추어 부르는 말은 ‘지어미’이다. 이 밖에도, ‘핫어미’는 유부녀를 말하고 ‘홀어미’는 과부를 일컫는 말이다. 한편, 남자끼리의 동성애에서 그 상대되는 친구를 ‘살친구’라 하고, ‘어린 놈’의 준말인 ‘언놈’은 손아래 사내아이를 귀엽게 부르는 말로 쓰였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가차없다'와 '가차 없다']


안녕하세요.


어제 보낸 편지에 실수가 있었네요.

1.

가차는 거짓 가 자와 빌릴 차 자를 쓴다고 하면서

한자를 모두 借만 썼네요.

거짓 가(假) 자와 빌릴 차(借) 자입니다.



2. 

보태기에서

'가차없다'고 붙여 쓰셔도 된다고 말씀 드렸는데,

국립국어원 연구원께서 틀렸다는 편지를 보내주셨네요.



붙여 씀을 허용하는 것은 '본용언 보조용언' 구성일 때입니다.

용언끼리 나란히 있을 때의 문제라는 거죠.

설명하신 것처럼 

'가차 없다'는 '명사 용언' 구성이므로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붙여 쓸 수는 없고 띄어 씀이 맞습니다.

라는 편지를 보내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



3. 

아침에 본 SBS 뉴스에서 신문 기사를 보여줬는데,(6시 45분쯤)

정재환 씨가 연극 하는 것을 소개하면서 "작품 곳곳서 완벽한 우리 말 사용 최선"이라는 꼭지를 보여줬습니다.

우리말에서 띄어쓰기는 참 어려운데요.

'우리'가 들어간 낱말 가운데 뒷말과 붙여 쓰는 것은,

'우리말', '우리글', '우리나라' 이렇게 딱 세 개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것은 모두 띄어 써야 합니다.

우리 집, 우리 회사, 우리 것...



오늘 아침에 받은 행복한 경영이야기라는 편지에

얼굴과 낙하산은 펴져야 산다는 게 있네요.

얼굴 펴시고,

자주 웃고 삽시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1.

국민일보 신문에 '작품 곳곳서...'라고 했는데,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는 '-서'가 아니라 '-에서'가 바릅니다.

작품 곳곳에서...가 바릅니다.



2. 

'가차없다'를 합성어로 봐서 붙여 써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그러나 '가차없다'는 아직 사전에 오르지 못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320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37697
1216 [2010/11/23] 우리말) 골덴과 코르텐 moneybook 2010-11-23 4847
1215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4846
1214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4845
1213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4845
1212 [2007/09/12] 우리말) 선선한 가을입니다 id: moneyplan 2007-09-12 4844
1211 [2015/08/25] 우리말) 간이 크다와 붓다 머니북 2015-08-25 4843
1210 [2013/08/28] 우리말) 거섶 머니북 2013-08-28 4843
1209 [2011/04/12] 우리말) 예부터 moneybook 2011-04-12 4843
1208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4843
1207 [2013/10/30] 우리말) 신랄하다 머니북 2013-10-30 4842
1206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4842
1205 [2008/04/24] 우리말) 북돋우다 id: moneyplan 2008-04-24 4842
1204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4841
1203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4841
1202 [2010/03/16] 우리말) 등쌀과 눈살 id: moneyplan 2010-03-16 4841
1201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4840
1200 [2011/12/21] 우리말) 종군위안부(2) 머니북 2011-12-21 4839
1199 [2013/04/19] 우리말) 보니 -> 보늬 머니북 2013-04-19 4838
1198 [2012/01/13] 우리말) 소소하다 머니북 2012-01-13 4838
1197 [2008/10/07] 우리말) 염치와 얌치 id: moneyplan 2008-10-07 4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