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 도어를 안전문으로 바꿔 말하는 것은 우리말을 지키고 살리는 일이기도 하지만,
스크린 도어의 뜻을 모르는 국민들이 쉬운 안전문을 들으므로써 '안전'을 되새기게 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지난 토요일 안타까운 지하철 사고가 있었습니다.
구의역에서 안전문을 고치던 분이 전동차에 치여 돌아가셨네요.
이런 일이 가끔 일어나 대책을 마련했다는 데도 또 이런 사고가 나네요.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안전문은
지하철이나 경전철 승강장 위에 선로와 분리되는 고정 벽과 문을 달아 지하철 출입문과 함께 열고 닫히도록 하는 문입니다.
뜻하지 않은 사고로 지하철 선로로 떨어지는 것을 막고자 만든 겁니다.

예전에는 그 문을 '스크린 도어'라고 했는데,
2012년 9월 4일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가꿈이 친구들이 '서울시 공공언어 시민돌봄이 한마당'에서 서울시장에게
'안전문'이라는 우리말로 바꿔달라는 건의를 해서 바뀌게 되었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007650

지금도
서울도시철도회사는 안전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서울메트로는 아직도 스크린 도어라고 합니다.
지난 주말에 나온 뉴스에서도 스크린 도어라고 하는 언론이 꽤 있었습니다.

스크린 도어를 안전문으로 바꿔 말하는 것은 우리말을 지키고 살리는 일이기도 하지만,
스크린 도어의 뜻을 모르는 국민들이 쉬운 안전문을 들으므로써 '안전'을 되새기게 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쉬운 우리말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기도 한 겁니다.

영어를 써야만 더 낫게 보이는 게 아닙니다.
그건 더 낮게 보일 뿐입니다.
아름다운 우리말이 말하기 쉽고 알아듣기 편해 소통에 더 큰 도움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수자와 숫자]

안녕하세요.


어제보다는 좀 덜 추웠죠?


오늘은 한자를 읽어보겠습니다.

한자 '數字'를 여러분은 어떻게 읽고 그 뜻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아마 대부분은 '숫자'라고 읽으시고

1, 2, 3 같은 수를 나타내는 글자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맞습니다.

그러나 '數字'를 읽는 방법은 하나 더 있습니다.

[수:자]라고 읽고 "두서너 글자."라는 뜻으로도 씁니다.


지난주에 제가 바쁘다는 핑계로 우리말 편지를 자주 쓰지 못했는데,

그게 영 마음에 걸립니다.

그래서 오늘도 아침부터 바쁘기는 하지만 '수자'써서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그래서 오늘은 '수자' 써서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라는 게 좀 어색합니다.

'수자'는 '몇 글자'라 바꿔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096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6603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039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3765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344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574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1963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238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515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082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018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711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264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028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178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064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620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143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056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3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