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02] 우리말) 닻별?

조회 수 3994 추천 수 0 2016.06.02 09:45:50

북극성을 중심으로 북두칠성의 맞은편에 W자 꼴로 있는 별자리는 카시오페이아자리입니다.
우리네 선조는 W자 꼴을 배를 정박할 때 내리는 닻처럼 생긴 것으로 봤나 봅니다.
그래서 카시오페이아자리를 닻별이라고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수원에 살 때는 못 느꼈는데, 이곳 전주로 와서 살다 보니 가끔 밤늦게 하늘에 있는 별을 보게 됩니다.
제가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전주로 와서 그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어젯밤에도 셋째와 같이 별을 보며 국자 꼴로 생긴 북극성을 이야기해줬습니다.

서쪽 하늘에 뜬 밝은 별이 금성입니다.
그 금성을 순우리말로 개밥바라기나 샛별이라고 합니다.
저녁에 개밥을 주러 갈 즈음 뜬다고 해서 개밥바라기이고,
그다음 첫새벽 여명을 틈타서 뜬다 하여 샛별이라고 한 것 같습니다.

북극성은 작은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위치가 거의 바뀌지 않습니다.
그런 별자리를 항성이라고 하고, 우리말로는 붙박이별이라고 합니다.
항성보다는 훨씬 멋진 말이죠. ^^*

북극성을 중심으로 북두칠성의 맞은편에 W자 꼴로 있는 별자리는 카시오페이아자리입니다.
우리네 선조는 W자 꼴을 배를 정박할 때 내리는 닻처럼 생긴 것으로 봤나 봅니다.
그래서 카시오페이아자리를 닻별이라고 했습니다.
닻별, 참 멋진 낱말 아닌가요?

요즘 하루가 멀다고 사고가 터지고
즐거운 일이 별로 없는 그런 날이 많지만,
그래도 가끔은 하늘을 보고, 별자리도 찾아보는 그런 여유도 갖는 게 어떨까요?
마음의 여유는 누가 주는 게 아니라, 나 스스로가 만드는 것입니다.

오늘은 좀 천천히 움직이며 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희아리가 뭔지 아세요?]

안녕하세요.

지난주까지 국회 국정감사가 끝났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제 일터는 농촌진흥청입니다.
농촌진흥청은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의 소관기관이라 농식품위의 감사를 받습니다.
농식품위 위원장이 이낙연 국회의원입니다.
국감 동안 이낙연 위원장의 멋진 말씀이 있어 오늘 소개하고자 합니다.

위원장은 위원회의 장으로서 사회를 보기 때문에 따로 질문을 하지는 않으시지만
이낙연 위원장은 필요한 경우 질문도 하십니다. 낱말 설명도 하시고, 가끔은 농담도 하십니다. ^^*

중국산 물고추가 문제가 된다는 의원님들의 지적이 끝나자,
이 방송을 듣고 계시는 국민이 '희아리'를 모르실 것 같아 설명을 드린다고 말씀하시면서,
희아리는 "약간 상한 채로 말라서 희끗희끗하게 얼룩이 진 고추"를 뜻한다고 설명해 주셨습니다.
희아리... 참 멋진 우리말인데 많은 분이 모르고 계십니다.

그날 국산 천일염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소금'을 가장 비싸게 파는 방법이 뭔지 아시느냐는 재밌는 문제를 내셔서 많은 분을 웃게 하셨습니다.
여러분은 아세요? 소금을 가장 비싸게 파는 방법이 뭔지?

바로,
소 따로, 금 따로 파는 거랍니다. ^^*

또,
한 의원이 "이것과 저것이 이렇게 천편일률로 다르다."고 말씀하시자
"천편일률이 아니라 천차만별"이라고 바로잡아 주셨습니다.

이낙연 국회의원을 보면서,
사회는 저렇게 보는 거라는 생각을 많이 하고,
상대방을 점잖게 꾸짖을 때는 저렇게 하는 것이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이 무엇이며,
고급 우스갯소리가 뭔지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근엄한 국회 분위기를 국민의 눈높이에 맞출 수 있을지를 꾸준히 고민하시는 위원장을 보면서 국회의원 가운데 저런 분이 계시다는 게 참 다행이라 생각했습니다.
이번 주에 보궐선거가 있고, 새로운 국회의원 다섯 분이 생깁니다.
아무쪼록 맑고 투명하게 정치하시고, 
국민의 편에서 말씀하실 수 있고, 
서민과 함께 고민할 수 있는 분이 뽑히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5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63
176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741
175 [2012/10/04] 우리말) 밀리는 길과 막히는 길 머니북 2012-10-04 5742
174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750
173 [2011/05/09] 우리말) 매다와 메다 moneybook 2011-05-09 5761
172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761
171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768
170 [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머니북 2017-11-10 5772
169 [2017/11/24] 우리말) 엄중과 엄정 머니북 2017-11-24 5781
168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789
167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796
166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797
165 [2006/10/13] 우리말) 알타리김치,총각김치,홀아비김치 id: moneyplan 2006-10-14 5802
164 [2017/11/02] 우리말) 차담회 머니북 2017-11-06 5809
163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812
162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816
161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817
160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19
159 [2006/11/10]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6-11-10 5844
158 [2012/03/23] 우리말) 곤달걀 머니북 2012-03-23 5866
157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889